{{{#!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 | ||||||||||||||||||||||||||||
천하제일복지천 | |||||||||||||||||||||||||||||
| | ||||||||||||||||||||||||||||
| 청와대 관저 | ||||||||||||||||||||||||||||
청와대 본관 | 청와대 녹지원 | | | ||||||||||||||||||||||||||
칠궁 | | | | ||||||||||||||||||||||||||
| | |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 | 청와대 춘추관 | ||||||||||||||||||||||||
| | | |||||||||||||||||||||||||||
|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 ||||||||||||||||||||||||||||
| | ||||||||||||||||||||||||||||
┏ | ㅡ | ㅡ | ㅡ | ㅡ | ┛ | ㅡ | ㅡ | ㅡ | 신무문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계무문 | 광무문 | ㅡ | | ㅡ | | ㄴ | ㅡ | ㅡ | ㅡ | ㅡ | ┓ | ||
ㅣ | 숙문당 | | | 팔우정 | 집옥재 | 협길당 | 건청궁 | 서녹산 | | 동녹산 | ㅣ | ||||||||||||||||||
ㅣ | 태원전 | 영사재 | 대왕대비전 세답방 | ㅣ | |||||||||||||||||||||||||
ㅣ | 순화궁 세답방 | 중궁전 세답방 | | ㅣ | |||||||||||||||||||||||||
ㅣ | 빈궁 세답방 | 공묵재 | 왕대비전 세답방 | | | | | | ㅣ | ||||||||||||||||||||
ㅣ | | | | | |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서장고 | 향원정 | | | | ㅣ | |||||||||||||||||||||
ㅣ | | ㅣ | |||||||||||||||||||||||||||
ㅣ | 함화당 집경당 | | | |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흥복전 | | | 제수합 | | | ㅣ | ||||||||||||||||||||
ㅣ | | ㅣ | |||||||||||||||||||||||||||
ㅣ | | | | | 아미산 | | 자경전 | |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ㅣ | |||||||||||||||||||||||||||
ㅣ | | | ㅣ | ||||||||||||||||||||||||||
ㅣ |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ㅣ | 함원전 | 건순각 ┏ | | | | ㅣ | |||||||||||||
ㅣ | ㅣ | 경회루 | ㅣ | ㅣ | 함홍각 ㅏ | 교태전 | 원길헌 ┓ | 복희당(대전 생물방) | ㅣ | ||||||||||||||||||||
ㅣ | ㅣ | ㅣ | ㅣ | 흠경각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ㅏ | 양의문 | ㅗ | ┓ | 대전 내소주방 |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 ㅣ | |||||||||||||||||||
ㅣ | ㅣ | ㅣ | ㄴ | ㅜ | 응지당 | 강녕전 | 연길당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경성전 | 연생전 | ㅣ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ㅏ | 향오문 | ㅓ | ㅣ | ||||||||||||||||||
영추문 | | | | | ㅣ | 천추전 | 사정전 | 만춘전 | ㅣ | 자선당 | 비현각 | | | 건춘문 | |||||||||||||||
| | | ㅣ | ㅣ | | | | | | 관리사무소 | |||||||||||||||||||
| ㅣ | 수정전 | ㅣ | ㅣ | ㅣ | | |||||||||||||||||||||||
ㅣ | | | | | ㅏ | | ㅓ | ㅏ | 사정문 | ㅓ | | | | ㅣ | |||||||||||||||
ㅣ | | | | | ㅣ | ㅣ | 협의문 융무루ㅓ | 근정전 | 계인문 융문루 ㅏ | | | | ㅣ | ||||||||||||||||
ㅣ | | ㅏ | ㅓ | | ㅣ | ||||||||||||||||||||||||
ㅣ | (홍문관) | | | ㅣ | ㅣ | 계조당 | | ㅣ | |||||||||||||||||||||
ㅣ | | | | ㄴ | | ┛ | ㅏ |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 ㅓ | ㅣ | |||||||||||||||||||
ㅣ | | | | ㅣ 기별청 유화문 ㅣ | ㅣ 덕양문 ㅣ | 봉선문 | | 주차장 | ㅣ | ||||||||||||||||||||
ㅣ | 영제교 | ㅣ | |||||||||||||||||||||||||||
ㅣ | | | | ㅣ | |||||||||||||||||||||||||
ㅣ | | | ㅡ | ㅡ | | ㅏ | 흥례문 | ㅓ | ㅣ | ||||||||||||||||||||
ㅣ | | | | | | | 용성문 | 어도 | 협생문 | ┓ | | | ㅣ | ||||||||||||||||
ㅣ | | 국립고궁박물관 | | | | | ㅣ | 수문장청 매표소 | 수문장청 매표소 | ㄴ | ┓ | | | ㅣ | |||||||||||||||
ㅣ | | | | 초관처소 영군직소 | ㅣ | | | ㅣ | |||||||||||||||||||||
| ㅡ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ㅗ | 광화문 (월대) | ㅡ | ㅡ | ㅗ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동십자각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영추문 景福宮 迎秋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건축시기 | 1395년 (창건) / 1867년 (중건) / 1975년 (복원) |
<colbgcolor=#bf1400> 영추문[1]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서문(西門). 주로 문무백관들이 이용했다.고종 중건 당시 현판 글씨는 허계#(許棨, 1798 ~ 1866)가, 현재 글씨는 서예가 김충현(金忠顯. 1921 ~ 2006)이# 썼다.
2. 이름
‘영추’는 ‘가을(秋)을 맞아(迎) 서쪽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다. 오행에서 서쪽은 가을을 나타내므로, 경복궁의 서쪽 문에 ‘가을 추(秋)’ 자를 넣은 것이다.#임진왜란 전에는 '연추문(延秋門)'으로도 불렸다. 송강 정철은 가사 《관동별곡》에서 '연추문'으로 적었다.#
3.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조선 정부에서 경복궁을 창건할 때 건립했으며# 1427년(세종 9년) 6월에 수리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흥선대원군이 중건했다.<colbgcolor=#bf1400> 무너진 영추문 석축 |
<colbgcolor=#bf1400> 복원 전 평삼문으로 있던 영추문 |
<colbgcolor=#bf1400> 영추문 복원 준공을 다룬 〈[[대한뉴스|{{{#gold 대한뉴스}}}]]〉 |
4. 구조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를 달았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 내부를 전부 한 공간으로 텄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며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했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아치형 문은 겉에만 아치를 구성하고 내부의 천장은 반자로 덮어 놓은 모습이다. 반자에는 백호를 그려놓았다. 그러나 고종 때에는 기린 두 마리를 그려두었다고 한다.# 문짝은 붉은색 나무판이며 문짝 위에는 문둔테를 두었다.#
5. 여담
-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고종 31년) 7월에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할 때 영추문을 부수고 들어왔다. 물론 다른 문들에서도 전투가 벌어졌지만, 일본군은 특히 침전과 가까운 영추문에 공격을 집중시켰다. 자세한 것은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문서 참조.
- 1896년(건양 원년) 2월에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갈 때 영추문을 통해 경복궁을 빠져나갔다.[3]
<colbgcolor=#bf1400> 영추문 개방을 다룬 〈JTBC 뉴스〉 |
- 중건 당시의 현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석축이 무너진 영추문을 해체할 당시 문루로 통하는 작은 벽돌문이 경복궁 자경전의 동쪽 담장으로 이전되어 보존되어 왔음이 밝혀졌다.로드뷰 문화재청은 영추문 소문(小門)이 행방불명됐고 영추문 부재는 남아 있지 않다고 주장해 왔다.#
- 2023년 12월 16일 스프레이 낙서 테러로 일부 훼손 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영추문 및 담장 훼손 사건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