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ce5b6>永川 李氏 영천 이씨 | }}}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경상북도 영천시 | ||
시조 | 이문한(李文漢) | ||
중시조 | 이극인(李克仁) | ||
집성촌 | 경상북도 영천시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 ||
인구 | 116,970명(2000년) | 국내 84위 |
1. 개요
영천이씨(永川李氏)는 경상북도 영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2000년도 인구주택총조사 당시 전체 이씨 중 본관 인구로 10위를 기록했는데 상위 본관은 전주, 경주, 성주 순이었다.[1]2. 시조
시조는 고려의 평장사 이문한(李文漢)이며, 그의 후손 중 고려무신정권 시 대장군 이극인(李克仁)이 1202년(신종 5) 경주의 별초군(別抄軍)이 운문(雲門)의 반란군 및 부인사(符仁寺)·동화사(桐華寺)의 승도들과 함께 영주(永州)[2]를 침탈하였을 때 관직에 있지 않으면서 이를 물리쳤는데, 이 공로로 관직에 나아갔다. 그 뒤 장군에 올랐으며, 1217년(고종 4)에는 전군 병마사(前軍兵馬使) 김취려(金就礪)의 지휘 하에 정주(定州)에 주둔하여 거란 유종(契丹遺種)의 침입을 방어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대장군에 책봉되어 무인정권 시대에 최고 권력에 올랐다. 그러나 1224년에 대장군으로서 상장군 최유공(崔愈恭), 장군 김계봉(金季鳳) 등과 더불어 당시의 집권자인 최우(崔瑀)에 항거하다 생을 마감했다.3. 조선시대
조선 시대 때 문과 급제자 39명을 비롯하여 수많은 명신·학자를 배출했다.역사상 대표적 인물로는 태종시대에 예조판서ㆍ호조판서를 역임한 이응(李膺)#, 세종시대 대마도 정벌에 나섰던 경상도도절제사 이순몽(李順蒙)#, 세조대에 대사헌ㆍ예조판서ㆍ우찬성을 역임한 이승손(李承孫) 등이 있다. 아울러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직제학과 대사간을 역임한 이종검(李宗儉),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박사를 지냈으며,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순절한 이보흠(李甫欽),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하고 부제학·호조 참판ㆍ경상도 관찰사를 역임했던 이현보(李賢輔) 등도 조선시대를 풍미한 인물로 남아있다.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이 조선 명종 때 군위군 내량에서 의성군 금성면 산운 마을로 입향하였다. 영천 이씨 문중은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는데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이민성(李民宬)#, 형조 참판을 역임한 이민환(李民寏)#, 형조 판서를 역임한 이희발(李羲發)#, 독립운동가인 이태직(李泰稙) 등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4. 현황 및 유적
1997년 조사 때 경상북도 의성군 관내 영천 이씨는 857명이었다. 주요 세거지는 의성군 금성면 산운 1리, 금성면 수정리, 단촌면 관덕 3리, 가음면 가산 4리 등으로 파악된다.마을은 영천 이씨 집성촌으로 40여 채의 전통 고가옥이 유존되어 있는데 그 중 학록 정사(鶴麓 精舍)[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242호]는 이광준의 장서를 보관했던 곳이며, 수락당(壽樂堂)은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지낸 이정기(李廷機)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건물로 가치가 높다. 그 외에도 의성 운곡당(義城 雲谷堂)[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74호], 의성 점우당(義城 漸于堂)[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75호], 의성 소우당(義城 素于堂)[중요 민속 문화재 제237호] 등이 존재한다.
5. 파
크게 4개의 파가 있으며, 장파(長派)인 서승공파(포은 정몽주의 외조부), 이극인을 중시조로 하는 대장군파, 수춘을 중시조로 하는 상장군파, 세화를 중시조로 하는 상서공파가 있다.5.1. 영동정공파
현재 영동정공파로 불리는 파는 한때 (박(磚, 벽돌전, '박'으로 읽는다)을 시조로 하는 또다른 영천이씨라고 주장하였으나. 이는 휘 박의 상계에 대한 정보미상으로 인한 것으로, 2004년 영동정공파 총회에서 족보표기는 그대로 휘 박을 1세로 하되 중앙종회의 명칭은 쓰지 않는 것으로 의결하였다. 또한 2005년에도 한국성씨 총연합회 산하 종중분쟁 조정위원회에서 추가로 쌍방이 시조별립 여부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를 한 결과도, '시조는 한 분이며 영동정공파는 영천이씨의 한 분파로 수록하기로 한다'고 '쌍방이 완전히 합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한국성씨총감에는 한 파로 수록하였다.다만 현재도 별도의 "중앙종회" 호칭의 홈페이지를 공개하고 있어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5.2. 서승공파
장파인 서승공파 가첩에 시조 문한 공의 6대손으로 추봉 금오위대장군 '영'의 후손으로 장파인 광순, 광청, 봉, 극인, 수춘, 세화 6 아들이 있고, 그 중 광순의 자인 경태, 엄태 두 아들 중 엄태의 자로 박(磚)과 그 아들인 정고(貞固)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가희 놀라운 기록이 아닐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기록이나 이를 뒷받침할 만한 신빙성 있는 자료가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일정시대에 장파인 서승공파의 후손 중 희수(憙洙)공이 영동정공파의 집성촌인 경북 의성군 산원마을을 찾아 서로의 만남을 기뻐하는 문장을 남긴, 참석한 모든 사람들의 서명을 한 문서가 서승공파에 전해져 내려온다.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39명과 많은 명신·학자를 배출했으며, 역사상 대표적 인물로는 현보(賢輔)·종검(宗儉)·보흠(甫欽) 등이 있다.
현보는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 부제학·호조참판·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올라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종검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한림·직제학·대사간을 역임하고 역시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보흠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집현전박사를 지내고 단종손위 후에는 순흥부사(順興府使)로 있으면서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장류(杖流), 순절하였다.
이밖에 응(膺)·순몽(順蒙)·승손(承孫) 등이 유명하다.
6. 현대사 인물
- 이용득 독립운동가
- 이영환 독립운동가
- 이기택 민주당 전 총재ㆍ7선 국회의원
- 이경식 경제기획원 전 부총리
- 이기화 태광그룹 2대 회장
- 이철 민주당 전 사무총장ㆍ3선 국회의원
- 이병석 전 국회 부의장ㆍ4선 국회의원
- 이환주 전 남원 시장
- 이에리사 전 새누리당 의원
- 설운도 가수ㆍ본명 이영춘(李英春)
- 서강준 배우ㆍ본명 이승환 (李承桓)
7. 둘러보기
8. 여담
- 영천 이씨의 오랜 사료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세보(世譜)와 지상록(誌狀錄), 세계(世系) 등을 소장하고 있다.
- 전남 남원을 관향으로 이능간(李凌幹)을 시조로 한 "영천 이씨(寧川 李氏)"과 혼동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