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3:25:51

츄오-소부 완행선

소부 완행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츄오-소부 완행선'으로 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표제어를 '츄오-소부 완행선'으로 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철도 노선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신칸센 총괄본부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모리오카 지사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키타카미선 - 카마이시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하나와선 - 야마다선 - 하치노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아키타 지사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케센누마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리쿠우토선 - 리쿠우사이선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죠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조반선 - 미토선 - 스이군선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파일:JRE-JO.svg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힌카쿠선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조반선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 파일:JRE-JL.svg 조반 완행선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I.svg 츠루미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 파일:JRE-JK.svg 네기시선 - 사가미선 - 파일:JRE-JT.svg 이토선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CO.svg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C.svg 오메선 - 파일:JRE-JC.svg 이츠카이치선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하치코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죠에츠선 - 에치고선 - 야히코선 - 하쿠신선 - 요네사카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나가노 지사
츄오 본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신에츠 본선 - 이야마선
폐선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파일:JRE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gcolor=#fff,#191919> 파일:JRE-JB.svg[ruby(中, ruby=ちゅう)][ruby(央, ruby=おう)]・[ruby(総, ruby=そう)][ruby(武, ruby=ぶ)][ruby(緩, ruby=かん)][ruby(行, ruby=こう)][ruby(線, ruby=せん)]
Chūō-Sōbu Line Local Service
츄오-소부 완행선
}}} ||
<nopad> 파일:IMG_4658.jpg
E231계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운행계통
기점 미타카역
종점 치바역
역 수 39
노선기호 JB
개업일 1932년 7월 1일
소유자 JR 동일본
운영자
사용차량 E231계 전동차[1]
E353계 전동차[2]
E257계 전동차[3]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
도쿄메트로 07계 전동차
도쿄메트로 15000계 전동차
차량기지 미타카 차량센터
노선 제원
노선연장 60.2km
궤간 1067mm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신호장비 ATS-P
최고속도 95km/h
파일:JR_CSLL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츄오-소부 완행선
파일:Hijiribashi.jpg
츄오-소부선의 직결 기점인 오차노미즈역 동쪽 모습[4]
동행(미타카→치바) 전구간 주행영상 서행(치바→미타카) 전구간 주행영상 발차 멜로디 모음 (2018년 1월 3일 현재)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노선의 명칭3. 운행 계통4. 차량
4.1. 츄오·소부 완행선4.2.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직결4.3. 퇴역 차량
5. 이야기
5.1. 수도권 JR 노선 혼잡률 1위5.2.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역의 쾌속 정차
6. 역 목록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의 직결 운행 계통이며, 츄오 본선과 소부선 지선, 소부 본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오차노미즈(御茶ノ水)역을 기점으로 츄오 본선과 소부선 지선이 직결, 킨시쵸역에서 소부 본선으로 합류하며, 치바에서 신주쿠 방면으로의 주요 루트가 된다. 아키하바라역을 기준으로 서쪽으로는 신주쿠나카노, 미타카를, 동쪽로는 킨시쵸후나바시, 치바를 잇는 노선 전 구간에서 각 역에 정차한다.

개업 당시에는 소부 본선의 기점이 오차노미즈역이었지만, 1970년대에 들어서 킨시쵸역과 도쿄역 간 지하 터널이 개통되며 공식적인 기점이 도쿄역이 되었다. 소부선 쾌속 열차는 도쿄 - 치바를 주로 운행하고, 완행열차는 치바 - 오차노미즈 - 미타카 구간을 운행한다.

오차노미즈역 구간을 영상으로 보면 이렇다(1986년).


2014년 12월 공덕 ~ 용산 직결로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이 노선과 비슷해졌다. 수도(서울, 도쿄)를 동서로 관통하면서 수도권 위성도시들로 연결되고 서로 다른 노선의 열차가 직결하면서 새로운 운행계통을 만들었고, 심지어 '중앙선'이라는 노선이 선로용량 포화상태인 것 까지 똑같다... 다만 경의·중앙선의 운행 거리가 더 길다는 차이점이 있다. 츄오-소부선이 60.2km[5]인데 경의·중앙선이 137.9km(도라산-지평 기준)에 달하니... 비슷하게 맞춘다면 일산 - 덕소 정도 된다.

도쿄 도심에서는 야마노테선이 순환선으로써 중추가 된다면 소부선은 야마노테선의 노선 중간지점에서 동쪽과 서쪽을 직선으로 이어주어 보조해주는 역할도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동-서구간 횡단 시에는 야마노테선을 타고 순환선을 따라 돌아가는 것보다 직선으로 이어주는 소부선을 타고 가면 더 빠르게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키하바라역~신주쿠역 구간은 야마노테선을 타면 약 30분이 소요되지만, 소부선을 타고 가면 20분 안에 주파가 가능하다.[6]

1.1. 노선 데이터

2. 노선의 명칭

노선 이름이 다소 복잡하다보니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본 문서의 제목인 츄오-소부 완행선(中央・総武緩行線)은 일상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으며, 차내 방송에서는 "츄오-소부선 각역정차(中央・総武線各駅停車)"로 안내하고 구어적으로는 그냥 "츄오-소부선" 혹은 더 줄여서 "소부선" 으로 부르기도 한다. 연선 주민들에게는 그저 "주황색은 츄오 쾌속선, 노랑색은 소부선, 파란색은 소부 쾌속선" 정도로 인식되는 듯.

츄오 본선 구간에선 츄오 쾌속선의 존재감이 너무 커, 츄오 본선의 역임에도 불구하고 각역정차 구간을 전부 소부선이라 표기하기도 한다. 가장 큰 예로, 나카노(中野)역에서는 쾌속을 츄오선, 각역정차 열차를 소부선이라 안내하고 있다. 실질적인 운행 방식 상 소부선의 각역정차 열차가 미타카역까지 직통운행하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렇게 봐도 크게 무리는 없다. JR 동일본 공식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는 "츄오·소부선 각역정차(中央·総武線各駅停車)"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3. 운행 계통

파일:attachment/2012062604.gif

상행 방향으로는 미타카(三鷹)행과 나카노(中野)행이 절반씩 운행되며[7][8], 하행 방향으로는 치바(千葉)행과 츠다누마(津田沼)행이 절반씩 운행되고 있다. 주력 구간은 나카노(中野) - 츠다누마(津田沼)인 셈.

출퇴근 시간에는 도쿄메트로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을 한다. 미타카(三鷹)역을 출발해 나카노(中野)역에서 도자이선으로 들어가 다시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에서 소부선에 들어가 츠다누마(津田沼)까지 운행하는 식.

나카노(中野)역이 JR 동일본의 위탁역이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도자이선의 열차는 츄오-소부선과 관계가 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개찰구도 같은 것을 쓴다.

노선 할당기호는 차량 종류 및 운행패턴에 따라 B,C,Y로 달라진다.


JR로의 민영화 직후인 1988년 당시의 영상

4. 차량

4.1. 츄오·소부 완행선

다만 이 열차가 츄오-소부선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왜냐 하면 야마노테선에서 뛰던 500번대가 총 52편성이었던 데 비해 츄오-소부선에서 뛰던 209계 500번대와 E231계 0번대는 합해서 58편성이었기 때문. 즉, 츄오-소부선의 모든 차량이 E231계 500번대로 대체되는 건 불가능하므로 E235계 전동차를 츄오-소부선 사양으로도 뽑지 않는 이상 최소한 6편성의 0번대는 남아있어야 한다는 이야기. 이후 이 가설이 거의 확정된 상태인데, 왜냐 하면, B11편성의 편성 재조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츄오-소부선용 0번대에는 앞에서 말했듯이 1편성당 1량의 6비차가 있는데, 6비차를 포함해 사하(무동력차) 2량을 빼고 4량으로 재조성되어 하치코선으로 이적한 B5편성의 남은 모하(동력차) 2량을 그 자리에 집어넣고 츄오-소부선 운용에 복귀했기 때문.[10] 02-06년식차량이 남는다는 예측이 난무했으나, 실제 잔존하는 차량은 B10 (B7 부수차),B11(B5 부수차), B12(B8 부수차), B14(B6 부수차), B26(B16 부수차), B27(B17 부수차)의 총 6편성이다.

4.2.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직결

4.3. 퇴역 차량

5. 이야기

5.1. 수도권 JR 노선 혼잡률 1위


열도의 흔한 가축수송.

츄오 본선 구간과 소부선 구간이 극과 극이다! 츄오선 구간은 도쿄 JR 노선 중에서 아침 혼잡도가 가장 낮지만 낮다고 했지 낫다고는 안했다, 소부선 구간은 215%.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가축수송 노선인 서울 2호선보다 혼잡도가 높다. 공항철도 계양~김포공항 구간의 혼잡도와 유사한데, 공철은 6량이니 여기 혼잡도가 훨씬 높은 것이다!

츄오 본선 나카노-오차노미즈 구간의 경우 동일 구간을 달리는 츄오 쾌속선 열차가 신주쿠역도, 도쿄역도 경유하는데다가 통과역도 많은 편이기 때문에 무조건 더 빨라 완행에 사람이 잘 몰리지 않는다.

하지만 저 구간을 제외한 츄오 본선 나머지 구간과 소부 본선/지선 구간의 경우는 조금 상황이 다른데, 소부 본선 구간의 쾌속 운행 계통인 소부 쾌속선을 달리는 열차는 킨시쵸역에서 소부 지선으로 진입해 오차노미즈에서 츄오 본선과 직결하는 완행선과 달리 계속 소부 본선을 달려 지하 제2도쿄역에서 요코스카선과 직결 운행하기 때문에 신주쿠역을 경유하지 않고, 제2도쿄역의 저열한 입지 탓에 야마노테선 환승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완행과 쾌속의 수요가 거의 겹치지 않는다.[18]

소부선 쾌속 열차가 15량인데 반해, 츄오-소부선 열차는 10량인 것도 혼잡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덕분에 쾌속선과 완행선이 분기되는 킨시쵸(錦糸町) - 료고쿠(両国) 구간은 전국 JR 노선 중 혼잡률이 1위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해보고자 지하철 도자이선을 지었지만, 소부선의 혼잡도는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도자이선도 역으로 같이 혼잡도 최상위 랭킹에 오르내리고 있는 것도 모자라 일본 내 지하철 이용객수 1위를 찍어버렸다.

5.2. 니시후나바시(西船橋)역의 쾌속 정차

니시후나바시역은 무사시노선, 토요 고속철도,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케이세이의 환승역으로써 대단히 수요가 많은 역이지만 소부선 쾌속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고 있지 않다. 인근의 후나바시(船橋)역에 이미 쾌속이 정차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니시후나바시까지 정차를 하게 되면 소부선 쾌속 열차가 혼잡으로 폭발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경인선 급행이 서울 지하철 7호선과의 환승역인 온수역에 서지 않는 것과 같은 이유.[19]

6. 역 목록

표기 이름
임시특급 '신주쿠 와카시오·신주쿠 사자나미'[20][21]
특급 '아즈사/후지카이유'[22]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JR 동일본 츄오-소부 완행선
노선 치바
km
도쿄
km
번호 역명 우등 환승노선 위치



0.0 39.2 JB39 치바
(千葉)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8), 파일:JRE-JO.svg나리타선,
파일:JRE-JO.svg소부 본선, 소토보선, 우치보선
치바 도시 모노레일 1호선·2호선
케이세이치바역: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치바선 (KS59)


치바시
주오구
1.4 37.8 JB38 니시치바
(西千葉)
3.3 35.9 JB37 이나게
(稲毛)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7)
치바시
이나게구
6.0 33.2 JB36 신케미가와
(新検見川)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7.6 31.6 JB35 마쿠하리
(幕張)
9.6 29.6 JB34 마쿠하리혼고
(幕張本郷)
케이세이마쿠하리혼고역: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치바선 (KS52)
12.5 26.7 JB33 츠다누마
(津田沼)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6)
신츠다누마역: 신케이세이 전철 파일:SKS-SL.svg신케이세이선 (SL23)
나라시노시
14.2 25.0 JB32 히가시후나바시
(東船橋)
후나바시시
16.0 23.2 JB31 후나바시
(船橋)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5)
도부 철도 파일:Tobu-TD.svg노다선 (TD35)
케이세이후나바시역: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본선 (KS22)
18.6 20.6 JB30 니시후나바시
(西船橋)
¶JR 동일본 파일:JRE-JM.svg무사시노선 (JM10), 파일:JRE-JE.svg케이요선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도자이선 (T-23)[23]
토요 고속철도 파일:ToyoTR.svg토요 고속선 (TR01)
20.2 19.0 JB29 시모사나카야마
(下総中山)
21.8 17.4 JB28 모토야와타
(本八幡)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21)
케이세이야와타역: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본선 (KS16)
이치카와시
23.8 15.4 JB27 이치카와
(市川)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4)
26.4 12.8 JB26 코이와
(小岩)


에도가와구
29.2 10.0 JB25 신코이와
(新小岩)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3) 카츠시카구
31.0 8.2 JB24 히라이
(平井)
에도가와구
32.9 6.3 JB23 카메이도
(亀戸)
도부 철도 파일:Tobu-TS.svg카메이도선 (TS44) 코토구
34.4 4.8
킨시쵸
km

0.0
JB22 킨시쵸
(錦糸町)
¶JR 동일본 파일:JRE-JO.svg소부 쾌속선 (JO22)[2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한조몬선 (Z-13)
스미다구




35.9 1.5 JB21 료고쿠
(両国)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12)
36.7 2.3 JB20 아사쿠사바시
(浅草橋)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아사쿠사선 (A-16) 타이토구
37.8 3.4 JB19 아키하바라
(秋葉原)
¶JR 동일본 파일:JRE-JK.svg케이힌토호쿠선 (JK28),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03)
수도권 신도시 철도 파일:MIR-TX.svg츠쿠바 익스프레스 (TX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히비야선 (H-16)
이와모토초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08)
치요다구
38.7 4.3
도쿄
km

2.6
JB18 오차노미즈
(御茶ノ水)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3)[25]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M-20)
신오차노미즈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치요다선 (C-12)



39.5 3.4 JB17 스이도바시
(水道橋)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미타선 (I-11)
40.4 4.3 JB16 이다바시
(飯田橋)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도자이선 (T-06),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유라쿠초선 (Y-13),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10)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06)
41.9 5.8 JB15 이치가야
(市ヶ谷)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유라쿠초선 (Y-14),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09)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04)
42.7 6.6 JB14 요츠야
(四ツ谷)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M-12),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난보쿠선 (N-08)
신주쿠구
44.0 7.9 JB13 시나노마치
(信濃町)
44.7 8.6 JB12 센다가야
(千駄ヶ谷)
시부야구
45.7 9.6 JB11 요요기
(代々木)
¶JR 동일본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18)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26)
46.4 10.3 JB10 신주쿠
(新宿)
¶JR 동일본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야마노테선 (JY17),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5),
파일:JRE-JA.svg사이쿄선 (JA11), 파일:JRE-JS.svg쇼난신주쿠라인 (JS20)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M-08)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신주쿠선 (S-01),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27)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오다와라선 (OH01)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케이오선·케이오 신선 (KO01)
신주쿠니시구치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01)
세이부신주쿠역: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S.svg신주쿠선 (SS01)
신주쿠구
47.8 11.7 JB09 오쿠보
(大久保)
48.9 12.8 JB08 히가시나카노
(東中野)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오에도선 (E-31) 나카노구
직통운행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도자이선 경유
보통: 토요 고속철도 파일:ToyoTR.svg 토요 고속선 토요카츠타다이까지 직통
평일 출퇴근시간 한정: 파일:JRE-JB.svg 츄오-소부 완행선 츠다누마까지 직통
50.8 14.7 JB07 나카노
(中野)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6)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도자이선 (T-01)[26]
52.2 16.1 JB06 코엔지
(高円寺)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7)[A] 스기나미구
53.4 17.3 JB05 아사가야
(阿佐ヶ谷)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8)[A]
54.8 18.7 JB04 오기쿠보
(荻窪)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09)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마루노우치선 (M-01)
56.7 20.6 JB03 니시오기쿠보
(西荻窪)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10)[A]
58.6 22.5 JB02 키치죠지
(吉祥寺)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11)
¶케이오 전철 파일:Keio-IN.svg이노카시라선 (IN17)
무사시노시
60.2 24.1 JB01 미타카
(三鷹)
¶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12)[30] 미타카시

7. 기타

7.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의 유사성

대한민국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이 노선과 닮은 점이 많아서 자주 비교된다. 아래 내용을 요약하면 노선 기능에서 공통점을, 세부 규격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공통점
차이점

8. 관련 문서


[1] 0, 500, 800번대[2] 치바 연장운행편 한정 1편 운행하며 료고쿠~오차노미즈 독립구간 내 무정차통과.[3] 500번대. 임시특급 운행시 아키하바라역 정차[4] 유명한 풍경으로, 빨간 열차는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노란 열차는 츄오-소부선 완행선 열차, 오렌지색 열차는 츄오 쾌속선의 열차다. 하천에 걸쳐진 교량을 넘으면 아키하바라가 나온다.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미미즈가 나오는 그 터널이다.[5] 서울 지하철 2호선과 비슷한 거리이다.[6] 오차노미즈역에서 츄오 쾌속선으로 환승한다면 12분 정도로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오차노미즈역은 평면환승이기 때문에 환승 난이도가 굉장히 낮다.[7] 나카노역 이후가 도자이선과 직통구간이라 두 노선에서 오는 열차를 모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연락이 가능하도록 시간표가 짜여져 있으므로 급하다면 나카노역에서 내려서 도자이선에서 오는 미타카행 열차로 갈아타자.[8] 휴일에는 낮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열차가 미타카까지 운행하며, 낮 시간대에는 미타카행과 나카노행이 2:1 비율로 운행한다.[9] 무사시노선은 8량, 하치코선은 4량으로 재편성되었다.[10] 원래 E231계 0번대의 MT비는 4:6이었는데, MT비가 6:4인 E231계 500번대와 차량 성능을 맞추기 위해 MT비를 6:4로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하치코선으로 전속한 이상, 모하 2량과 사하 4량이 남는데, 6비차도 없앨 겸 해서 남는 모하 2량을 사하 2량 대신 넣은 걸로 보인다. 즉, 6비차 자체는 없어질 것이란 소리.[11] 해당무동력객차는 철도종합제작소로 이동해 E235계의 10호차로 개조해서 E235계의 객차로 붙는다.[12] 신호체계 (D-ATC->ATS-P) 및 TCMS, VIS데이터 변경, 도색변경[13] 1963년~1988년 운행[14] 1979년~2001년 운행[15] 무사시노선 투입분 2개 편성을 만들고 남은 중간차 2량(5, 6호차)을 선두차로 개조.[16] 1966~2003년 운행[17] 1966~2007년[18] 물론 츄오 본선 도쿄역도 그리 위치가 좋다곤 할 수 없지만 소부선 도쿄역은 지하 방공호이다. 오죽했으면 플랫폼 번호도 아예 별개로 소부 지하 1~4이다! 그리고 우에노역 방향으로 환승하는 경우엔 꽤 돌아가는 꼴이 되기 때문에 아키하바라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19] 경인급행 또한 바로 옆의 역곡역에 급행이 정차하기도 하고 가뜩이나 혼잡한 경인급행이 환승역에 정차한다면 혼잡으로 폭발할 게 뻔하다.[20] 신주쿠발 우치보·소토보선행 열차[21] 소부선 내에서는 정차역이 동일하기에 한번에 서술[22] 치바발 츄오 본선행 열차[23] 출퇴근 시간대 일부열차 츠다누마까지 직통운행[24] 도쿄, 요코하마 방면[25] 칸다, 도쿄 방면[26] 대부분 열차 미타카까지 직통운행[A] 평일에만 정차[A] [A] [30] 타치카와, 오메, 하치오지, 타카오 방면[31] 방위 개념으로 말하자면, 츄오-소부선 완행선은 거의 동서 선형이나, 경의중앙선은 북서-남동 선형이다. 따라서, 경의중앙선이 남북 방향으로 다소 틀어진 것이다. 다만 경의중앙선을 서울시 구간으로만 한정하면 북서-북동의 V자형 선형이긴 하다.[32] 경의·중앙선: 경기도-서울특별시-경기도 운행 / 츄오-소부 완행선: 도쿄도 -치바현 운행[33] 야마노테선, 서울 지하철 2호선[34] 경의·중앙선: 홍대입구, 왕십리 / 츄오-소부 완행선: 신주쿠, 아키하바라[35] 경의·중앙선: 홍대거리, 용산, 왕십리, 청량리 / 츄오-소부 완행선: 신주쿠, 아키하바라[36]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서울역 지선만이 서울역에 정차하고 대신 본선은 용산역을 지난다. 츄오-소부선은 양측 본선 모두 도쿄역을 향하지만 직결선은 신주쿠역아키하바라역으로 도쿄를 통과한다. 단, 츄오-소부선과 직통하는 바이패스 노선인 도쿄메트로 도자이선은 JR 도쿄역과 오테마치역에서 간접환승이 된다.[37] 한국: 경의선 - 용산선 - 경원선 - 중앙선 / 일본: 츄오 본선 - 소부선 지선 - 소부 본선[38] 경의·중앙선: 이촌 - 옥수(한강), 덕소 - 양평 ((남)한강) / 츄오-소부 완행선: 이치가야 - 아사쿠사바시 (칸다 강)[39] 경의·중앙선의 경우 용산선의 지하 구간을 제외하면 서울-경기도의 풍경을 볼 수 있다.[40] 물론 엄밀히 말하자면, 용산선의 전 구간은 지하구간이나 용산선만 제외하면 지상 구간이나 다름없다.[41] '츄오\'소부선('中央\'·総武線), 경의'중앙\'선(京義·'中央\'線)[42]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상봉역-망우역 여기에 공용구간을 포함하면 청량리역-망우역 / 츄오-소부 완행선: 지선 제외 전구간[43] 이전에는 용산 - 청량리 구간이 국철 시절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운행했었으나 해당 구간이 중앙선 광역철도로 편입이 되면서 8량 1편성으로 줄어들게 되었다.[44] KTX-이음, ITX-청춘, ITX-마음, 무궁화호[45] 행신, 용산, 청량리, 상봉, 양평. 지선까지 포함하면 서울역도 있다.[46] 아키하바라역 위로 도호쿠 신칸센 선로가 지나가긴 하나 이를 위한 정차역이 만들어있지 않고, 본래 신주쿠역조에츠 신칸센이 들어올 예정이었지만, 건설비용이 너무 비싸서 좌절되었다.[47] 츄오 쾌속선은 오차노미즈역에서 도쿄역 방면으로 갈라져 도쿄역에서 종착하고, 소부 쾌속선은 킨시쵸역에서 갈라져 지하 도쿄역을 지나 요코스카선과 직결된다.[48] 단, 경의선과 직결 이전의 중앙선은 한때 1호선의 일부였다. 1호선에서 분리된 지금도 1호선이 불통되면 중앙선 계통으로 열차가 우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