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3:19:28

삼체문제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연구의 역사3. 분류
3.1. 특수가정 분류3.2. 다체문제
4. 추가 해의 발견5. 창작물에서6. 관련 문서

1. 개요

삼체문제(, three-body problem)는 세 물체 간의 중력이 어떻게 작용하고, 이 결과로 어떠한 궤도 움직임을 보이는지에 관하여 다루는 문제이다. 훗날 카오스 이론의 등장에 영향을 주었다.

2. 연구의 역사

삼체문제는 고전역학에 속하는 문제로, 아이작 뉴턴프린키피아에서 세 개 물체의 만유인력 상호작용에 대해 최초로 언급하였다.

물체 두 개가 중력이 상호간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고, 어떤 궤도 움직임을 보일 것인지에 관하여 예측하는 일은 매우 쉽다(이것을 이체문제라고 한다). 물체 두 개의 중력 상호작용은 보통 만유인력과 같은 역제곱 법칙이기 때문에 언제나 해석적인 해를 구할 수 있다. 즉, 물체 두 개의 질량이 각각 어떠하고, 어떤 위치에 어떤 속도로 놓여있는지 안다면 이들이 서로 중력을 어떻게 주고받고 어떤 궤도 운동을 하는지 알아내는 건 식은 죽 먹기다.

그러나 물체가 3개면 얘기는 달라지는데, 세 물체 간에 작용하는 중력과 그에 의한 궤도 운동을 예측하는 것은 심각하게 어렵다. 삼체문제는 물체들이 움직일 수 있는 궤도의 차원이 이체문제보다 한 차원 더 높고, 적용해야 할 변수가 하나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1]

삼체문제는 물리학 분야에서 손꼽히는 골치아픈 난제이다. 18세기 중반부터 아이작 뉴턴,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등 여러 쟁쟁한 수학자들이 달려들었지만 이렇다할 결과물을 내놓지 못했다. 결국 1887년에 앙리 푸앵카레[2]삼체문제의 일반해를 유한한 항으로 구하는 것은 불가능함을 증명했다.

유한한 항의 일반해는 없으나 '수렴하는 일반해의 존재'를 1909년 핀란드의 수학자 카를 F. 순드만이 증명했다. 다만 순드만의 급수를 사용하려면 최소 10의 800만승 개의 항이 포함된다는 계산이 나오는 등,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적분이 더 실용성이 있어 실제로 쓰이는 일반해는 아니다.

당장 쌍성계 주위를 도는 행성, 라그랑주점과 헤일로 궤도, 스윙바이 항법 같이 매우 판이한 상황들을 삼체문제 방정식 단 하나를 통해 기술이 가능하다. 때문에 현대에는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대부분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삼체문제를 해결한다.

파일:라그랑주점.svg파일:라그랑주점_White.svg
특수해에 해당하는 몇 가지 경우는 발견되었다. 대표적으로 라그랑주점이 있는데, 모체를 중심으로 하는 직선상의 물체들(L3, L4, L5)들이 그것이다. 이 지점은 모체에서 중심각이 각각 120° 정도 떨어진 곳(정삼각평형해)에 위치한 곳이다.[3] 이 특수한 경우는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1775년에 발견했다.

이 외에도 8자형 궤도운동, Broucke-Henon-Hadjidemetriou family 이렇게 총 세 개의 특수해가 존재한다.

수소 원자 모형을 제외한 원자 모형이 만들어지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이온이 아닌 원자는 원자 번호를 의미하는 양성자의 수와 전자의 수가 같으며, 수소의 바로 다음 원소인 헬륨의 원자 모형을 세우는 과정이 원자핵 1개와 전자 2개로 정확히 삼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원자 모형을 정립할 수 없다.

3. 분류

3.1. 특수가정 분류

삼체문제에서 특수해를 구하기 위해 특수한 가정을 세우는데, 여기에는 몇가지 분류가 있다.
이 조건들 중 2개 이상을 사용하여 풀 수도 있다.

제한 삼체문제를 잘 이용하면 근사적인 이체문제의 해로 구할 수 있다. 실제로 태양계에서는 태양질량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행성들이 에 가까운 타원 궤도를 그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셋 중 두 천체의 거리가 압도적으로 가깝다면 둘 사이의 상대운동은 나머지 하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이체문제를 푼 다음[5] 둘의 질량중심과 나머지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계산하면 된다. 지구태양의 경우가 이에 해당하며 뉴턴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삼체문제를 해결했다.

3.2. 다체문제

삼체를 넘어서 사체, 오체로 넘어가면 더 어려워진다. 4체 이상은 일반해는커녕 특수해조차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경우에는 이체문제의 해를 통해 근사적으로 풀거나 수치적인 방법으로 풀어야 한다.

4. 추가 해의 발견

2013년 세르비아의 물리학자 밀로반 즈바코프 및 벨즈코 드미트라지노비치가 13개의 새로운 해를 동일질량, 각운동량 없는 삼체문제에서 발견한 이후, 새로운 해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발표된 해 발견자 문제 종류 해의 개수 출처
2013 밀로반 즈바코프 및 벨즈코 드미트라지노비치 동일질량, 각운동량없는 삼체문제 13 #
2015 아나 후도말(지도교수: 벨즈코 드미트라지노비치) 동일질량, 각운동량없는 삼체문제 14 #
2017 리샤오밍 및 랴오스쥔 동일질량, 각운동량없는 삼체문제 669(+1223) ###
2018 리샤오밍 및 랴오스쥔 비동일질량, 자유낙하 삼체문제 234 #

5. 창작물에서

6. 관련 문서



[1] 이해가 안된다면, 태양이 전체 질량의 99.7%를 차지하는 태양계의 궤도가 2차원적 표현으로도 충분히 표현은 물론 패턴화까지 가능하다는 걸 고려해보자. 만약 태양 말고도 항성이 하나 더 있었다면 태양계의 궤도는 너무나도 복잡해져 온갖 시뮬레이션을 동원해도 운동을 파악할 수 없었을 것이고 항성으로부터 먼 행성들은 아예 궤도에서 이탈해버렸을 것이다.[2] 푸앵카레 추측을 제시한 그 수학자 맞다.[3] 실제로 토성위성테티스, 텔레스토, 칼립소디오네, 헬레네, 폴리데우케스 등이 토성을 중심으로 이러한 궤도운동을 하고있다.[4] Jacobi Integral, 역학적 에너지에서 군더더기를 쳐낸 것이라 보면 된다.[5] 공동 질량중심을 도는 타원궤도가 나올 것이다.[6] 해당 작품에서는 2000년 주기로 문명의 붕괴와 재건이 반복됐다는걸 암시하는 현상이 있는데 마침 작중의 시점은 그 현상이 다가오던 시점이었다. 이것은 개기일식으로, 순간적으로 햇빛이 완전히 사라지고 밤하늘에 수없이 많은 별들이 보이게 된다.[7] 실제 인류사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이 17세기 말에 뉴턴에 의해 발견되었다.[8] 다만 만유인력의 법칙이 아니라 고전역학은 일찍이 발견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굳이 행성의 운동을 보지 않아도 유추할 수 있는 법칙이기 때문이다.[9] 항성 3개에 행성 1개이니 총 4체이다. 물론 3개 항성의 질량에 비하면 1개 행성의 질량은 아주 작아 이 행성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삼체인들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자기가 사는 행성의 위치도 반드시 계산해야 하니 계산할 것이 4개가 된다.[10] 작중에서 삼체인들은 양자 사이즈의 컴퓨터를 지닐 정도로 엄청난 과학발전을 이루었지만, 삼체문제는 해결할 수 없어 재앙을 고스란히 맞이하는 실정이었다.[11] 삼체행성은 비주기적으로 문명이 소멸할 정도의 행성급 재앙이 오기 때문에 삼체인들은 신진대사를 극도로 줄여 동면의 형태로 재앙을 견디지만, 그럴 때마다 그동안 이룩했던 문명이 사라졌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