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5-25 04:25:13

회합 주기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정량적인 의미3. 지구와 행성의 회합주기4. 달의 회합주기5. 그 외의 회합주기6. 관련 항목

1. 개요

/ Synodic period
두 천체의 상대적 위치가 다시 같아지는 주기.

보통 회합 주기라고 하면 지구와 다른 행성 간의 위치가 내합에서 다음 내합(내행성), 또는 합에서 다음 합(외행성)으로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뿐만 아니라 충에서 다음 충(외행성)까지 걸리는 시간도 회합주기이다. 내합, 합, 충의 뜻을 모르는 사람들은 여기를 참고.

사실 꼭 행성이 아니더라도 달이나 춘분점, 인공위성 등도 회합 주기를 이야기할 수 있다.
#

영어로 'synodic'이 붙으면 이 회합주기와 관련이 있다고 보면 된다. 태양일(synodic day), 삭망월(synodic month)이 그런 경우다.

2. 정량적인 의미

쉽게 말해서, 두 행성의 공전 각속도차가 '얼마만큼' 누적되어야 360도가 되는지 이야기할 때 그 '얼마만큼'이 두 행성간의 회합 주기에 해당한다.
파일:회합 주기.png
위 그림에서 기준이 되는 O는 주로 태양을 가리킨다. A는 주기가 짧고, B는 길다.
그림의 갈색 영역이 360도가 될 때 A와 B의 위치는 다시 O와 일직선 상에 있게 되고, 이 때 회합주기만큼 경과한 것이다.

A의 (공전)주기를 a, B의 (공전)주기를 b이라 하면 회합주기 T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시간 t만큼 경과했을 때 A와 B가 이동한 각도는 [math( \alpha = 360\text{deg} \cdot {t \over a},\ \beta = 360\text{deg} \cdot {t \over b})]
A와 B 사이의 상대적 각거리는 [math( \theta = \alpha \pm \beta = 360\text{deg} \cdot t \left({1 \over a}\pm {1 \over b} \right))]
회합주기만큼 경과했을 때 각거리는 360도가 되므로 [math( 360\text{deg} = 360\text{deg} \cdot T \left({1 \over a}\pm {1 \over b} \right))]
따라서 아래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부호가 적힌 것은 +부호는 다른 방향, -부호는 같은방향으로 돌 때를 이야기한다.
[math(\displaystyle {1 \over T} = \left({1 \over a}\pm {1 \over b} \right) (a<b))]

3. 지구와 행성의 회합주기

파일:4_1_25_4_4.jpg
위 왼쪽 그림에서 O는 태양, A와 B는 각각 '내행성과 지구' 혹은 '지구와 외행성'이 된다.
위 관계식에 따라 지구와 다른 행성의 위치관계가 반복되는 회합주기를 알 수 있다.
행성 별 회합주기
내행성: b=지구의 공전주기=365일
천체 공전주기(a) 회합주기(T) 내합[1]
수성 88일 116일 2015-10-01 2016-01-14
금성 225일 584일 2015-08-16 2017-03-25
외행성: a=지구의 공전주기=365일
천체 공전주기(b) 회합주기(T)
화성 687일 780일 2016-05-22 2018-07-27
목성 11.9년 399일 2015-02-07 2016-03-18
토성 29.5년 378일 2015-05-23 2016-06-03
천왕성 84.0년 370일 2015-10-12 2016-10-15
해왕성 164.8년 367일 2015-09-01 2016-09-03

지구와 가까운 행성일수록 공전 각속도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회합주기는 커진다.
참고로 행성의 궤도는 타원 모양이기 때문에 공전속도가 매번 달라진다. 실제 내합~내합 또는 충~충 간격은 며칠 오차가 발생하며 이심률이 큰 수성과 화성은 그 폭이 커진다.(수성의 이심률은 0.2) 여기서 이야기하는 회합주기는 평균값을 의미한다.

4. 달의 회합주기

위 왼쪽 그림에서 O는 지구, A는 , B는 지구에서 볼 때 겉보기로 움직이는 태양이라 보면 된다.
항성월이 실제 달의 공전주기이다. 그리고 태양의 연주운동 주기는 지구의 공전주기(항성년)와 동일하다.
a=27.32일, b=365.26일, T=29.53일.

5. 그 외의 회합주기

태양년과 항성년의 관계도 생각해볼 수 있다. 지구 자전축은 세차운동으로 인해 공전과 반대방향으로 흔들린다. 따라서 이 경우 위의 오른쪽 그림을 따른다. O는 지구, A는 지구에서 본 태양, B는 춘분점으로 간주한다.[2] 춘분점은 고정된 별을 기준으로 연주운동을 하는데, 그 주기는 세차운동의 주기와 동일하다.
a=365.26일, b=25800년, T=365.24일.

자전 주기 문서에서 서술된 항성일(실제 자전 주기)과 태양일(하루의 길이)도 넓은 의미로 회합주기에 속한다. 이 경우 O는 행성, A는 행성 위의 관측자, B는 그 행성에서 볼 때 겉보기로 움직이는 태양이다.

6. 관련 항목



[1] 한국시간 기준. 충도 마찬가지[2] 여기서 A, B는 빠른 쪽, 느린 쪽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A가 반시계, B가 시계방향일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