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3:43:06

삼척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척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50037><tablealign=center><tablewidth=270><tablebg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1. 삼한 및 삼국시대2. 고려시대3. 조선시대4. 일제강점기5. 대한민국
5.1. 1940년대5.2. 1960년대5.3. 1970년대5.4. 1980년대5.5. 1990년대

1. 삼한 및 삼국시대

원삼국시대에는 실직국이란 작은 나라가 있었고 북쪽 강릉시동예나 남쪽 울진군 파조국이나 경주 음즙벌국, 신라 등과 열심히 투닥거리다가 105년 신라 파사 이사금의 침공을 받아 합병당했다. 이때를 기준으로 삼척은 강원도 자체에서 유일무이한 신라의 최북단 영역에 속했다.[1]

468년 2월에는 장수왕의 공격으로 잠시 고구려 세력권에 들기도 했다가, 신라와 고구려 사이의 전쟁 기록이 사라지는 지증왕 시절에는 505년 이후 다시 신라의 북쪽 영역으로 등장한다. 이 시기의 명칭은 실직주(悉直州)인데, 우산국 정복으로 유명한 이사부가 실직의 초대 군주(軍主)이기도 했다. 524년 1월 15일에 건립된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서는 실지(悉支)라는 명칭으로 기록되었으며, 당시 군주는 탁부의 이부지(尒夫智) 나마였다. 이후 561년 건립된 〈창녕 진흥왕 척경비〉에서도 '실지'로 언급되는데, 비문에서는 우추(于抽)[2] 및 하서아(河西阿)[3]와 함께 하나의 군(郡)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후 통일신라 때에는 9주 5소경 중 명주에 속했고, 경덕왕 때인 757년 지금까지 사용하는 이름인 삼척군으로 바꾸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실직을 '사직(史直)'이라고도 했다. 지금도 오분동 옆에 사직동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실직→사직→삼척'의 음운 변화를 통해 실직의 옛 이름이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2. 고려시대

고려 성종 때 척주가 되었으며, 현종 때 삼척현이 되었다.

3. 조선시대

파일:삼척_1895년(9).png[4]
조선 태조 때 삼척부로 승격되었다. 태종 때 삼척도호부가 되었다. 1895년 23부제가 시행됨과 동시에 삼척군이 되었다.

4. 일제강점기


파일:삼척_1914년(7).png[5]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인해 산하 몇개의 면이 통합되었으며, 1938년 삼척면이 삼척읍으로 승격했다.

5. 대한민국

5.1. 1940년대

5.2. 1960년대

5.3. 1970년대

5.4. 1980년대

5.5. 1990년대

파일:삼척_1994년(7).png
흰색 지역: 1. 동해시, 2. 삼척시, 3. 태백시
노란색 지역(삼척군): 1. 하장면, 2. 미로면, 3. 신기면, 4. 도계읍, 5. 노곡면, 6. 근덕면, 7. 가곡면, 8. 원덕읍
1995년 1월 지방자치제 개편을 맞아 이곳에도 도농통합 논의가 있었는데, 똑같이 삼척군에서 분리된 태백시, 동해시는 제외하고 삼척시-삼척군만 통합되어 도농복합형의 통합시가 되었다.[6], 외에 하장면 4개 리(원동리, 상사미리, 하사미리, 조탄리)가 태백시로 편입되었다.

1960년대~70년대석탄 산업 호황기에는 거의 3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인구가 많은 군이었으나[7] 이후 1989년부터 시행된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석탄산업의 쇠퇴와 함께, 태백, 정선 등과 더불어 급속히 쇠퇴하였다. 그 점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급속하게 발전했다가 가장 빠르게 추락한 도시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시임에도 불구하고 2016년 4월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같은 강원특별자치도 소속 홍천군(70,045명)에게 추월당했다. 이런 역사 덕분에 한 때 읍이 5개(삼척, 도계, 황지, 장성, 북평)에 이를 정도였으나 황지읍, 장성읍은 태백시로 분리되었고, 북평읍은 동해시의 일부가 되었으며, 삼척읍은 1986년 삼척시로 떨어져 나간 뒤, 1995년 도농복합시 제도로 舊 삼척군과 통합되었다가 4개 동으로 분리되었고 도계읍 하나만 남아있다.

[1] 이 설이 다수설이다.[2] 3세기 중반 진한의 소국이었던 《삼국지》의 우유국(優由國) 및 4세기 초 신라의 지명으로 기록된 《삼국사기》의 우유촌(于柚村)과 같은 지명으로,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에 비정되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3]삼국사기》에는 하슬라(何瑟羅) 또는 하서량(河西良)으로 기록되었으며,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이다.[4] 노란색(삼척군)=(1. 도상면)(2. 견박면)(3. 도하면)(4. 하장면)(5. 미로면)(6. 말곡면)(7. 부내면)(8. 소달면)(9. 노곡면)(10. 근덕면)(11. 상장면)(12.원덕면)[5] 노란색(삼척군)=(1. 북삼면)(2. 하장면)(3. 미로면)(4. 부내면)(5. 소달면)(6. 노곡면)(7. 근덕면)(8. 상장면)(9. 원덕면)[6] 사실 동해시는 삼척 쪽 지역만 있는 게 아니라 강릉 지역인 묵호 일대도 포함하기 때문에 통합이 무리일 수도 있다. 하지만 묵호 일대를 제외한다면 통합이 가능할 수도 있었다. 태백시는 오래 전부터 시로 분리 승격되었고 삼척 시내와 너무 먼 관계로 통합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추정된다.[7] 강원특별자치도의 나름 규모있는 도시인 춘천시강릉시는 인구 30만을 넘은 적이 없으며,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인구가 제일 많다는 원주시도 2007년이 되어서야 넘은 30만의 인구를 1979년에 일개 군이 찍은 것이다. 다만 하나의 시가지에 인구가 집중된 춘천, 강릉, 원주와는 달리, 삼척은 삼척·황지·장성·북평·도계 등 여러 읍규모 시가지에 인구가 분산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단순히 인구가 많다고 삼척이 춘천, 강릉, 원주보다 '큰 도시'였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물론 1979년 당시에는 태백시와 동해시(북평)가 아직 분리되지 않았을 때. 사실 지금도 태백시와 북평 일대를 합하면 인구 17만 정도로 그럭저럭 규모가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