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6:38:52

신라-우산국 전투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0e0f37>전쟁·정벌우군세력교전세력
신라-가야 전쟁 <colbgcolor=#4a2d5b,#0e0f37> ,황산진구 전투,
,77,
- 가야
,마두성 전투,
,94,
- 가야
,황산하 전투,
,115,
- 가야
,포상팔국 전쟁,
,209,
안라국 포상팔국 연맹
신라-왜 전쟁
,(신라의 일본침공사례),
,364 ~ 404
(291 ~ 720)
,
고구려 가야, 백제, 왜국
신라-우산국 전투
,512,
- 우산국
이와이의 난
,527,
규슈 긴키
독성산성 전투
,548,
백제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백제, 가야 고구려
관산성 전투
,554,
- 백제, 가야, 왜국
가야멸망전
,562,
- 가야, 백제, 왜국
아막성 전투
,602,
- 백제
북한산성 전투
,603,
- 고구려
가잠성 전투
,611,
- 백제
가잠성 전투
,618,
- 백제
가잠성 전투
,628,
- 백제
칠중성 전투
,638,
- 고구려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황산벌 전투
,660,
- 백제
백제멸망전
,660,
당나라 백제
칠중성 전투
,660,
- 고구려
북한산성 전투
,661,
- 고구려, 말갈
과천 전투
,662,
- 고구려
백강 전투
,663,
당나라 백제 부흥군, 왜국
사천 전투
,668,
- 고구려
평양성 전투
,668,
당나라 고구려
나당 전쟁
,670 ~ 676,
석문 전투
,673,
고구려 부흥군 당나라
호로와 왕봉 전투
,673,
- 당나라
칠중성 전투
,675,
- 당나라
매소성 전투
,675,
- 당나라
기벌포 전투
,676,
- 당나라
발해-당 전쟁
,732~733,
당나라 발해
김헌창의 난
,822,
- 장안국
달벌대전
,839,
- 청해진, 김우징
신라구의 일본 침입
,811 ~ 936,
- 일본
후삼국 통일 전쟁
,889 ~ 936 ,
원종ㆍ애노의 난
,889,
- 원종애노
대야성 전투
,901,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16,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20,
- 후백제
서라벌 기습
,927,
고려 후백제
고창전투
,930,
후백제 고려
운주성 전투
,934,
고려 후백제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d428b>국가우산국 · 세라
역사역사 전반 · 우산국/역사
전투신라-우산국 전투 · 우산국 여진족 해적의 침입
왕사우해왕 · 풍미녀
유적저동리 고분군 · 사동리 고분군 · 천부리 고분군 · 나리 고분군 · 현포리 고분군 · 태하리 고분군 · 당양리 고분군 · 남서리 고분군
인물토두 · 백길
기타우산도 · 울도군 ·지증왕이사부 ·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신라-우산국 전투
新羅-于山國 戰鬪
<colbgcolor=#C00D45,#600823><colcolor=white> 시기 512년
장소
우산국(현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일대)
원인 신라의 팽창
교전 세력 <rowcolor=#C00D45,white> 신라
우산국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이사부
지휘관

[[우산국|
우산
]] 우해왕,추정,[1]
병력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병력 규모 불명 [[우산국|
우산
]] 병력 규모 불명
결과 신라군의 승리
영향 우산국, 신라에 복속[2]
1. 개요2. 전개3. 이후4. 기타

[clearfix]

1. 개요

동해 먼 바다에 위치한 외딴 섬 울릉도가 최초로 한반도 왕조의 영역에 포함된 전투.

2. 전개

512년신라의 장군 이사부나무로 만든 사자를 나누어 싣고, 자신을 따르지 않으면 이들을 풀어놓겠다고 위협하자 항복했다는 사실이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정벌 과정은 삼국 시대의 양대 역사책인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모두 실려 있는데 내용에 큰 차이는 없다.
우산국(于山國)이 복종하여 해마다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기로 하였다. 우산국은 명주(溟州)의 정동쪽 바다에 있는 섬으로 울릉도(鬱陵島)라고도 한다. 땅은 사방 백 리인데, 지세가 험한 것을 믿고 항복하지 않았다.
이찬 이사부(異斯夫)가 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가 되어 말하기를 “우산국 사람은 어리석고도 사나워서 힘으로 다루기는 어려우니 계책으로 복종시켜야 한다.”라고 하고, 바로 나무로 사자를 가득 만들어 전함에 나누어 싣고 그 나라 해안에 이르렀다.
이사부는 거짓으로 말하였다.
“너희가 만약 항복하지 않으면 이 사나운 짐승을 풀어 밟아 죽이겠다.”
그 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며 즉시 항복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증 마립간 13년(서기 512) 여름 6월

아슬라주(阿瑟羅州)[3] 동쪽 바다에 순풍이 불면 이틀만에 이를 수 있는 거리에 우릉도(于陵島)[지금은 우릉(羽陵)이라고 한다.]가 있었는데, 섬 둘레가 26,730보였다. 섬에 사는 오랑캐들은 바닷물이 깊은 것을 믿고 교만하고 오만하여 신하 노릇을 하지 않았다. 왕은 이찬 박이종(朴伊宗)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도록 하였다. 박이종은 나무로 사자를 만들어 큰 배에 싣고 가서 그들을 위협하여 말하였다.

“항복하지 않으면 이 짐승을 풀어놓겠다.”
그러자 섬 오랑캐들은 두려워서 항복하였다. 왕은 박이종에게 상을 내리고 아슬라주의 장관으로 삼았다.
《삼국유사》 지철로 마립간

3. 이후

그래도 신라의 직할령에는 편입되지 않고 존속되어 조공을 바치는 제후국으로 존재했던 모양이다. 신라는 외왕내제적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4]

1957년과 1963년 두 번에 걸친 국립박물관 연구팀이 울릉도의 고분을 조사 발굴한 결과 우산국에 존재하는 다수 고분이 통일신라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 이전에 역사가 시작되긴 했지만 신라에 복속된 뒤 동해안 지방에서 문화가 유입된 뒤 울릉도에 거대한 돌무지무덤을 축조할 만큼 문화가 융성하고 국가 형태로 존재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때는 통일신라 이후부터라고 한다.

종교는 언젠가부터 신라를 따라 불교[5]를 받아들인 듯. 고려 시대 김유립이 거의 빈 섬이 된 울릉도를 조사했을 때 돌로 만든 탑과 불상, 쇠로 만든 종을 발견했다는 기록이 고려사 지리지에 있다.[6]

4. 기타


[1] 울릉도 전통 민화에서는 우해왕이라는 인물이 등장하긴 하나, 문헌 및 고고학적인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인물이다.[2] 우산국(于山國)이 복종하여 해마다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기로 하였다. 우산국은 명주(溟州)의 정동쪽 바다에 있는 섬으로 울릉도(鬱陵島)라고도 한다. 땅은 사방 백 리인데, 지세가 험한 것을 믿고 항복하지 않았다. 이찬 이사부(異斯夫)가 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가 되어 말하기를 “우산국 사람은 어리석고도 사나워서 힘으로 다루기는 어려우니 계책으로 복종시켜야 한다.”라고 하고, 바로 나무로 사자를 가득 만들어 전함에 나누어 싣고 그 나라 해안에 이르렀다. 이사부는 거짓으로 말하였다. “너희가 만약 항복하지 않으면 이 사나운 짐승을 풀어 밟아 죽이겠다.” 그 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며 즉시 항복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증 마립간 13년(서기 512) 여름 6월[3] 지금의 명주(溟州, 강릉시)이다.[4] 신라 내부의 번국 비슷한 사례는 이외에도 있다. 당나라가 신라를, 망한 나라인 백제와 동격인 도독부로 만들려 하자 문무왕은 안승을 왕으로 내세워 보덕국을 번국으로 두었다. 또한 갈문왕 제도 등 신라 왕 아래에도 왕과 나라가 존재했다. 우산국뿐만 아니라 탐라국도 신라의 속국이었으며, 견훤 역시 왕을 처음 자처한 이후에도 한동안은 신라의 신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5] 그 이전까지는 토착신앙 등을 믿은 것으로 추측된다.[6] 1157년(의종 11)에 명주도감창전중내급사(溟州道監倉殿中內給事)로 왕명을 받아 우릉도(羽陵島)에 사람이 살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돌아와 보고하기를 “섬 가운데 큰 산이 있어 산정으로부터 동쪽으로 바다까지 1만여 보가 되고, 서쪽으로는 1만 3천여 보가 되고, 남쪽으로는 1만 5천여 보가 되며 북쪽으로는 8천여 보가 된다. 촌락의 기지(基址)가 7개소 있고, 석불·철종·석탑이 있으며, 자호(紫胡)·호본(蒿本)·석남초(石南草)가 많이 있으나 암석이 많아 살 수 없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