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23:08:43

평창군/역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50037><tablealign=center><tablewidth=270><tablebg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1. 개요

평창군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이다.

2. 고조선

단군조선대에 독자적으로 있다가 위만조선대에 위만에게 복속되었다.

3. 원삼국시대

한사군에 속해있다가 독립하였다. 진한과 예국(동예)의 요충지였다.

4. 삼국시대

예국(동예)이 고구려에 복속된 후 욱오현(郁烏縣)으로 개칭되었다. 진흥왕신라에 편입되었다.

5. 남북국시대

신라 경덕왕 때 백오현(白烏縣)으로 개칭하고 명주에 소속시켰다.

6. 후삼국시대

7. 고려 시대

백오군에서 지금까지 사용하는 이름인 평창군으로 개칭하였다.

8. 조선 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시대 평창군에 대한 내용은 평창군(조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창_1895년(2).png
황색 : 평창군(平昌郡) 녹색 : 강릉군(江陵郡)
1. 북면(北面)
2. 남면(南面)
3. 군내면(郡內面)
4. 미탄면(美灘面)
1. 봉평면(蓬坪面)
2. 진부면(珍富面)
3. 도암면(道岩面)
4. 대화면(大和面)
조선시대에는 '노산(魯山)'이란 별칭으로도 불렸다.[1]

현재의 평창군 군역이 만들어진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대동여지도에는 평창읍, 미탄면과 현재의 정선군 신동읍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강릉대도호부의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때의 평창현은 지금과는 다르게 의외로 엄청 코딱지만했다. 그 당시에는 원주강릉이 서로 경계를 접하고 있었을 정도. 음성군과 비슷한 케이스.[2] 조선시대에는 큰 고을일수록 관할 구역이 넓었던 특징이 있는데, 강릉대도호부도 대관령 너머까지 관할했다.

9. 구한말

1895년 8도23부로 개편할 때 충주부 관할이었다가, 1896년 23부를 다시 13도로 개편하면서 강원도로 환원됐다.

1906년 월경지 정리 때 강릉군의 영서지방 지역의 대부분이 분리되어 대화면, 봉평면, 진부면이 평창군으로, 도암면이 정선군으로 편입되었다.[3] 동시에 평창군의 실질월경지였던 동면을 정선군으로 넘겼다(이후 신동면으로 개칭).

10. 일제강점기

파일:평창_1914년(2).png
황색 : 평창군(平昌郡) 녹색 : 정선군(旌善郡)
1. 봉평면
2. 진부면
3. 대화면
4. 평창면(平昌面)
5. 미탄면(美灘面)
1. 도암면(道岩面)
1914년, 군내면, 북면, 남면을 평창면으로 편제하였다.

1931년, 정선군으로부터 도암면(현 대관령면)을 가져와 현재의 군역이 완성되었다.[4] 1934년에 대화면의 일부를 방림면으로 분리하였다.

11. 현대

파일:평창_2007년.png
황색 : 평창군(平昌郡)
1. 봉평면(蓬坪面)
2. 용평면(龍坪面)
3. 진부면(珍富面)
4. 대관령면(大關嶺面)
5. 방림면(芳林面)
6. 대화면(大和面)
7. 평창읍(平昌邑)
8. 미탄면(美灘面)

1946년 10월 25일, 평창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73년, 도암면 봉산리가 진부면에 편입되었다.

1979년, 평창면이 평창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 봉평면 일부와 진부면의 일부, 대화면 신리 일부를 용평면으로 분리하였다. 그와 함께 대화면 신리의 일부였던 지역에 재산리가 신설되었다.

2007년, 지역 홍보를 위해 도암면을 대관령면으로 개칭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대관령을 사이로 맞대고 있는 강릉시의 반발이 있었다.

2014년 6월,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가 준공되었다.

2016년 7월 17일, 영동고속도로 봉평터널 연쇄 추돌사고

2017년 12월 22일, 평창역, 진부역이 개업하였다.

2018년 2월 9일, 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2024년 1월 19일부터 익월 1일까지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을 개최하였다

2024년 9월 1일 해당지역 시내버스 요금이 단일화되어 평창-주천 4920원, 평창-장평 4850원이 전부 1000원으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는 대경선 개통 이전의 성주군,고령군만 남았는데 해당 지역도 대구광역시(군위군 포함), 칠곡군 관내에서는 기본요금만 수수하므로 대한민국에서 전노선 전구간 무제한 구간요금을 수수하는 곳은 없어졌다

[1] 조선 단종이 숙부 세조에 의해 상왕에서 폐위되고 군(君)으로 강등당할 때, 이 이름을 따 '노산군(魯山君)'으로 봉해졌다. '노산'이란 별칭은 오늘날에도 평창 '노산성(魯山城)', '노산공원', '노산문화축제' 등에 이름이 남아 있다.[2] 이쪽도 사실 오리지날 음성의 영역은 음성읍, 원남면밖에 안 되며, 나머지는 전부 충주목 관할이었다. 오리지날 음성의 서쪽 지역은 월경지 정리 때, 동쪽의 소이면은 부군면 통폐합 때 얻어왔다.[3] 임계면도 정선군으로 편입되었고, 내면인제군으로 편입되었다가 38선이 그이면서 홍천군으로 편입되었다.[4] 현 대관령면 영역을 보면 정선군(북평면, 여량면)과는 닿아있지 않는데, 현 진부면 봉산리가 당시 도암면 관할이었으며 이를 통해 정선군 북평면(당시 북면)과 이어져 있었기에 월경지는 아니었다. 봉산리는 1973년 진부면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