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8 12:21:20

춘천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춘천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50037><tablealign=center><tablewidth=270><tablebg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1. 개요

춘천시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다.

2. 상세

파일:춘천시 CI.svg 춘천시 행정구역 변천사
맥국 고구려 신라 고려
중도 문화
,~5세기,
오근내
烏斤乃

5세기
우수주
牛首州

637
수약주
首若州

673
삭주
朔州

757
광해주
光海州
삭방도
춘주

春州

940
춘주도
안양도호부

安陽都護府

1203
춘주도
춘주

春州

1203
교주강릉도
춘주

春州

1389
조선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도호부

春川都護府

1415
경기도
춘천유수부

春川留守府

1888
춘천부
춘천군

春川郡

1895
강원도
춘천군
春川郡

1896
강원도
춘천부
春川府

1946
강원도
춘천시
春川市

1949
강원도
춘천시
春川市

1995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春川市

2023
강원도
춘성군
春城郡

1946
강원도
춘천군
春川郡

1992

춘천 지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은 구석기 시대부터이며, 춘천분지 내에 충적평야가 발달한 이후 신석기 시대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청동기 시대와 원삼국 시대의 수많은 유적지가 분포한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보고서 길이만 2만 페이지에 달한다는 국내 최대의 청동기 취락 유적인 중도 유적과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3000년의 역사를 가진 중부 지방 최대의 원삼국 시대 취락 유적, 우두동과 율문리 / 천전리 / 발산리 유적이다.

기원전 3 ~ 1세기경에 존재했다고 알려진 맥국의 옛 고도이자, 백제 초기에 항상 백제를 공격하는 말갈의 정체이다. 물론 말갈의 본거지인 만주 지역에서 한참 떨어진 춘천에 말갈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예맥 계열 민족의 공격을 말갈로 기록한 것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기에 등장하는 낙랑의 정체로 추정되기도 하는데, 이 당시 춘천 지역은 낙랑군의 영향을 받아 백제를 견제했으며, 이와 관련된 유물 역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천관우에 의해 마한의 소국 중 하나인 우휴모탁국이 있었던 지역으로 비정되기도 했다.

이후 고이왕 대에 백제와 화평을 맺게 되었고, 4세기경에 인접한 화천군의 남부, 홍천군 등과 함께 백제의 영향권에 들었다 5세기 초반부터 고구려가 남하하면서 고구려의 영향권에 들게 되었다. 이때까지도 춘천의 지역 정치체는 삼국의 간접 지배 형식으로 존속했다고 한다.

이후 6세기 진흥왕 대에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면서 신라의 영향권에 들었고, 637년 선덕여왕 대에 우수주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 정치체가 해체되고 삼국의 직접 지배로 전환되었다. 673년 수약주로, 757년 삭주로 개칭되었으며 9주 5소경 중 삭주의 치소가 설치되었다. 이후 광해주로 개칭되었고, 이는 광해군의 봉호의 어원이기도 하다.

후삼국 시대에 인접한 철원궁예가 수도를 세우며 태봉의 땅이 되었으며, 이후 고려가 이 지역을 장악하여 940년 춘주로 개칭했다. 삭방도, 교주도(춘주도) 등이 설치되며 일대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는데 대략 이때부터 춘천의 중심지가 현재의 중심지인 봉의산 남쪽 기슭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봉의산성에서는 몽골군의 침략을 막고자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 태종에 의해 춘천으로 개칭되었고, 영서 중부(화천, 양구, 인제, 홍천, 가평) 지방의 중심지 역할을 하다 이후 천혜의 요새라는 춘천의 지형상의 이점으로 유사시 수도로 낙점되어 1888년 유수부로 승격, 1895년 춘천부의 설치로 다시금 강원도의 수부도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후 조선 왕실에서는 유사시 대피 수도를 전국에서 찾아다녔는데, 그때부터 춘천의 군사 요충지적 요소를 중앙에서 크게 관심 갖게 되었다. 고종 때에 임오군란으로 인해 춘천을 유사시 수도인 춘천유수부로 격상시켜 춘천이궁(離宮)이 설치되었으며, 이때 가평의 읍호를 감하하여 춘천에 폐합하고 홍천, 인제, 양구, 낭천, 영평을 속읍으로 삼았으며 경기 감사가 춘천유수를 예겸했다. 즉, 7년 동안이지만 경기도에 편입되었던 것.

1890년 완공된 춘천이궁[1] 건물을 활용하여 1895년 춘천부관찰부청이, 1896년 강원도관찰부청이 들어왔다. 춘천이궁1940년 원인 불명의 화재로 전소되면서 건물을 다시 지었는데, 6.25 전쟁으로 인해 건물이 또다시 파괴되면서 현재의 강원도청을 1957년에 지었다. 2017년 내진안전평가 결과 '붕괴 위험'진단을 받아, 캠프페이지와 현 부지 중 한 곳에 강원도청을 신축할 예정이다. 만약 캠프페이지에 도청을 신축한다면 춘천이궁을 다시 복원한다고. 그리고 춘천 북쪽을 차로 지나다니다 보면 옛 군사분계선이었음을 알리는 표석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5번 국도의 말고개터널 앞 삼거리의 비석, 407번 지방도의 부다리터널 앞 "여기가 38선입니다."표지판이 있다.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강원도가 환원되었을 때에도 도청은 춘천에 남았으며, 1939년 경춘선 개통 이후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1946년 강원도에서 최초, 남한에서 12번째로 부(府)로 승격되었다. 1949년 부가 시로 개칭되면서 춘천시로 개칭되었고, 6.25 전쟁 이후 공산치하에 있던 춘천의 38선 이북 영역을 수복했다.

이후 1995년 도농통합이 이루어지며 도농복합시 춘천시가 출범하여 현재에 이른다.

2020년에 시 로고를 현행으로 바꾸었다. 이전의 로고는 산을 형상화한건데 25년간 사용되다가 바뀐 것. 2020년 8월과 9월에는 의암호 참사를 추모하면서 로고를 회색으로 바꿔 사용하고 옆에 조화를 달았다.

3. 고대 ~ 남북국시대

춘천 지역은 본래 고대 부족 국가인 맥국의 수도로서 후일 낙랑군의 영향권에 들었다 백제, 고구려, 신라가 차례대로 점령했다.

4. 고려

- 940년(고려 태조 23년): 춘주(春州)라 칭함.
- 995년(고려 선종 14년):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안변부에 예속시킴.[4]
- 1203년(신종 6년): 최충헌이 안양도호부(安陽都護府)로 승격시켰다가 같은 해 다시 지춘주사(知春州事)로 격하.

5. 조선

파일:춘천_1895년.png[5][6]
- 1413년(태종 13년): 춘천(春川)으로 고쳐 군이 되고, 1415년 도호부(都護府)로 고침. 기린현 지역을 흡수.
- 1755년(영조 31년): 이인좌의 난과 관련, 반란 주모자의 고향이라 하여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9년 후 도호부로 복귀.
- 1888년(고종 25년): 춘천유수부로 승격.
- 1895년(고종 32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강원도가 폐지되고 춘천 지역은 춘천부(春川府)로 재편됨.
- 1896년(고종 33년): 13도제 시행에 따라 다시 강원도 소속이 되고 관찰부가 위치하게 됨.
- 1906년(고종 43년): 기린면이 인제군으로 편입됨.

6. 일제강점기

파일:춘천_1914년.png[7]
- 1914년 4월 1일: 산하의 면을 12개 면으로 통폐합
- 1917년: 부내면을 춘천면과 동내면으로 분면하고, 남산외일작면은 남면으로, 남산외이작면은 남산면으로 개칭.
- 1931년 4월 1일: 춘천면을 춘천읍으로 승격.
- 1934년: 서상면, 서하면을 서면으로, 남산면, 남면을 남면으로 합면.
- 1939년 10월 1일: 신남면과 동내면을 신동면으로 합면. 신북면 우두리(지금의 우두동), 마산리(지금의 사농동)가 춘천읍에 편입.

7. 대한민국

파일:춘천_1992년.png[8][9]
- 1945년 8월 15일: 사내면 전체와 사북면, 북산면의 일부가 38선 이북으로 넘어가 당시 북한 화천군에 편입되었다. 양구군 중 38선 이남이 된 남면(현 국토중앙면) 상수내리와 하수내리 일부를 북산면에 편입함.
- 1946년 6월 1일: 춘천읍을 춘천부(시)로 승격(강원도 최초). 동시에 춘천군춘성군으로 개칭[10].
- 1949년 8월 15일: 춘천부를 춘천시로 개칭.
- 6.25 전쟁 이후 1954년수복지구임시조치법이 시행되며 사북면과 북산면의 38선 이북지역은 춘성군으로 환원, 수복 후 북포천군 소속된 사내면은 다시 화천군에 편입됨, 북산면 상수내리와 하수내리는 양구군에 환원됨 (이후 1973년 인제군 남면으로 이관)
- 1964년 2월 1일: 신동면 신촌출장소를 설치했다.
- 1967년 12월 5일: 남면 발산출장소를 설치했다.
- 1973년 7월 1일: 춘성군 동산면 북방리가 홍천군 북방면에, 풍천리가 홍천군 화촌면에 편입되었다. 북산면 수산리가 인제군 남면에 편입되었으며, 신동면 칠전리, 삼천리, 송암리와 서면 금산리, 현암리의 각 일부 및 신북면 신동리가 춘천시에 편입되었다.
- 1989년 4월 1일: 신동면 신촌출장소가 동내면으로 재분리. 남면 발산출장소가 남면이 되고 잔여 남면은 남산면으로 변경됨.
- 1992년 2월 1일: 춘성군의 명칭을 춘천군으로 환원.
- 1995년 1월 1일: 춘천시와 춘천군을 춘천시로 통합.
- 1995년 3월 2일: 신북면을 신북읍으로 승격.


[1] 실질적 완공은 1892년.[2] 이 지명은 현재까지도 살아남아 우두동으로 남아있다.[3] 광해군의 봉호를 여기서 따왔다.[4] 이때가 10도 시절로, 삭방도 소속이었다.[5] 노란색(춘천군)=(1. 사외면)(2. 북내이작면)(3. 북내일작면)(4. 북중면)(5. 동산외일작면)(6. 북산외면)(7. 서상면)(8. 서하일작면)(9. 서하이작면)(10. 부내면)(11. 동내면)(12. 동산외이작면)(13. 남내일작면)(14. 남부내면)(15. 남내이작면)(16. 남산외이작면)(17. 남산외일작면)[6] 단, 이 지도에서는 광복 후 삼팔선 이북으로 넘어갔다가 수복된 후 1954년부터 화천군 소속이 된 사내면과, 1906년 인제군으로 이관된 월경지인 기린면이 누락되어 있다.[7] 노란색(춘천군)=(1. 사북면)(2. 신북면)(3. 동산외일작면)(4. 북산외면)(5. 서상면)(6. 서하면)(7. 신남면)(8. 부내면)(9. 동산외이작면)(10. 남면)(11. 남산면)[8] 하얀색=(1. 춘천시)[9] 노란색(춘천군)=(1. 사북면)(2. 신북면)(3. 동면)(4. 북산면)(5. 서면)(6. 신동면)(7. 동내면)(8. 동산면)(9. 남산면)(10. 남면)[10] 이 흔적으로는 경춘로(46번 국도)의 교량 중 춘성대교가 있고, 춘천댐의 교량 이름이 춘성교이며, 신북면의 중학교 이름은 춘성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