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1:20:57

춘천이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파일:춘천이궁.jpg
파일:1910년대 춘천이궁 전경.jpg
<rowcolor=gold> 2019년 광복절 74주년 기념으로 G1방송 다큐멘터리에서 방영한 〈춘천이궁 - 고종황제의 사라진 궁궐〉에서 재현한 춘천이궁 1910년, 경술국치 이후에 찍힌 춘천이궁의 모습
1. 개요2. 상세 및 역사3. 건축물과 구성
3.1. 조양루3.2. 문소각3.3. 신영
4. 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春川離宮

1890년, 춘천유수부고종이 세운 이궁이자 행궁. 위치는 지금의 강원도청과 세종호텔 일대였다. 1940년 2월 22일에 원인불명의 화재로 사라졌다.#

2. 상세 및 역사

1888년(고종 25년) 당시 초대 춘천유수이자 춘천도호부사였던 김기석고종의 명을 받고 공사를 시작하여, 1890년(고종 27년)에 제 2대 춘천유수인 민두호가 완공하였다. 춘천이궁은 다른 행궁들과 달리, 고종이 직접 명하여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춘천관아를 중축하며 건설되었기 때문에 편전이 있었던 외전과 침전구역인 내전이 명확하지 않았다.

완공 이후 대한제국 황실의 관리를 직접적으로 받았다.[1] 한편, 이러한 고종의 이궁 건설에는 이유가 있었다. 당시 고종은 서구열강과 국운을 건 외교를 하면서 여러 상황을 주시해야 했고, 전쟁이나 변란을 대비하여 피신할 곳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크고 작은 화재로 그나마 남아있던 춘천이궁의 건축물 대부분이 소실되었고 유일하게 남은 위봉문과 문루 조양루마저 1916년 외곽으로 이전되었다.[2]

3. 건축물과 구성

춘천이궁의 구성은 크게 3가지의 공관으로 나뉜다. 춘천관아의 객사가 있었던 수춘관(객사) 구역, 춘천도호부가 위치하였던 춘천이궁 구역. 그리고 춘천동헌이 있었던 동헌구역이다. 당연히 이중에서 가장 우대되었던 공관은 이궁 구역이다.

3.1. 조양루

파일:조양루.jpg
파일:일제강점기 춘천이궁 조양루.jpg
<rowcolor=gold> 2013년 강원도청 옆으로 이전한 조양루 일제강점기의 춘천유수부 동헌 전경
朝陽樓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호이자 춘천이궁의 건물들 중 유이하게 남아있는 두 개의 건물 중 하나이다.

조선 시대 말기와 대한제국 시절 춘천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던 춘천이궁의 외삼문이자 문루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중층 누각식 건물로 지어졌으며 팔작지붕을 하고있다. 조양루는 본래 현 강원도청의 서쪽에 위치했으나 일제강점기인 1938년에 일제가 새 청사와 관공서를 지으려던 중 주변 부지가 협소하여 조양루를 훼철한 후 우두동의 우두산 자락으로 옮겼다. 이후 2013년 춘천시의 춘천이궁 복원과정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어 복원되었다.

3.2. 문소각

파일:문소각.jpg
파일:일제강점기 문소각.jpg
<rowcolor=gold> 영동방송에서 재현한 문소각 일제강점기에 촬영한 문소각
聞韶閣

'문소각'은 춘천이궁의 정전이자 침전으로, 춘천이궁 내에서 가장 높은곳에 위치하였다. 문소각이 최초로 건축된 연도는 인조 재위 26년인 1648년으로, 당시 춘천부사로 부임한 엄황이 건축하였다. 또한, 김득신의 「수춘문소각서」 에 의하면 당시 춘천의 주산인 봉의산의 봉의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름을 '문소'로 정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봉의’는 ‘봉황이 와서 춤을 추다’라는 뜻으로 이에 대응하는 의미로 ‘문소’라는 의미의 건물을 지었다고 전해진다.[3] 이러한 문소각은 1750년대에 14칸의 규모로 건립되었다가 1869년 춘천부사 김병육에 의하여 더욱 웅장하게 바뀌며 24칸으로 확장되었다. 이후 1890년에 고종의 왕명에 의하여 김기석의 공사 감독하에 민두호가 기존의 건물인 문소각을 활용하여 춘천이궁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문소각은 이후 지속적으로 관리를 받아오다가 일제강점기인 1940년, 춘천이궁 전역에 번진 화재로 소실되며 본래의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이러한 문소각을 다시 재건하였는데 한국 전쟁 당시에 다시 소실되며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3.3. 신영

이궁의 관리와 보호를 맡았던, 조선군대한제국 군대가 주둔하던 곳이다.

4. 관련 자료

춘천관아(官衙)와 춘천이궁(離宮)의 건물배치 및 변천에 대한 검토

[1] 이 당시 춘천이궁과 건립시기가 2년 밖에 차이나지 않는 행궁인, 무풍 명례궁명성황후의 친척인 민병석이 지었다.[2] 이후 현재는 다시 원위치에서 서쪽에 다시 복원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원위치에 복원할 계획이 있다.[3] 또한 여기서 말하는 문소란 순 임금의 음악인 소소(簫韶)를 듣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