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파주행궁 |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clearfix]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1월 23일 계해 5번째기사 1419년 명 영락 17년.
상왕이 영의정에게 포천과 풍양에 이궁 지을 뜻을 전해 말하다
상왕이 조말생과 원숙을 불러서 말하기를,
"근일에 부엉이가 와서 우는데, 내가 괴이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마는, 궁을 떠나 피해 있는 것은 옛부터 있는 일이다. 또 《운회》 에 '유'자를 풀이하기를, '유는 새 이름인데, 울면 흉하다.' 하였으니, 나는 피해 있고자 한다. 개경 같은 데는 물을 건너야 하고 또 길이 멀어서, 내가 전년에 왕래할 때 폐단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포천과 풍양에 본궁 노자만으로 집 10여 간을 짓고, 낙천정에서 풍양을 거쳐 포천에 향하여 내왕하면서 〈흉한〉 방위를 피하고자 한다. 포천 같은 데는 본궁에 〈딸린〉 전토와 백성이 많아서 집 짓기 어렵지 않으므로, 내가 이미 집을 짓도록 명하였지마는, 풍양 같은 데는 노자는 있어도 전토가 없다. 옛 읍터에 집을 짓고, 또 묵은 밭을 노자에게 주어서 그들의 생계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집 짓는 일은 맹세코 국가의 힘을 괴롭게 하지 않겠으니, 너는 〈이 계획을〉 다 영의정에게 말하라."
하니, 영의정이 마침 부름을 받고 수강궁에 왔다가 명을 듣고 아뢰기를,
"상교(上敎)가 매우 좋으니, 신이 〈명을〉 받들어 거행하겠나이다." 하였다.
상왕이 영의정에게 포천과 풍양에 이궁 지을 뜻을 전해 말하다
상왕이 조말생과 원숙을 불러서 말하기를,
"근일에 부엉이가 와서 우는데, 내가 괴이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마는, 궁을 떠나 피해 있는 것은 옛부터 있는 일이다. 또 《운회》 에 '유'자를 풀이하기를, '유는 새 이름인데, 울면 흉하다.' 하였으니, 나는 피해 있고자 한다. 개경 같은 데는 물을 건너야 하고 또 길이 멀어서, 내가 전년에 왕래할 때 폐단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포천과 풍양에 본궁 노자만으로 집 10여 간을 짓고, 낙천정에서 풍양을 거쳐 포천에 향하여 내왕하면서 〈흉한〉 방위를 피하고자 한다. 포천 같은 데는 본궁에 〈딸린〉 전토와 백성이 많아서 집 짓기 어렵지 않으므로, 내가 이미 집을 짓도록 명하였지마는, 풍양 같은 데는 노자는 있어도 전토가 없다. 옛 읍터에 집을 짓고, 또 묵은 밭을 노자에게 주어서 그들의 생계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집 짓는 일은 맹세코 국가의 힘을 괴롭게 하지 않겠으니, 너는 〈이 계획을〉 다 영의정에게 말하라."
하니, 영의정이 마침 부름을 받고 수강궁에 왔다가 명을 듣고 아뢰기를,
"상교(上敎)가 매우 좋으니, 신이 〈명을〉 받들어 거행하겠나이다." 하였다.
1. 개요
조선 초기의 이궁. 태종이 상왕이 된 후 지었던 이궁 4곳 중 포천에 지었던 이궁이다.2. 상세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 12월 14일 甲申 4번째기사.
방패 보충군과 당령 선군에게 포천·풍양 이궁을 지을 재목을 벌채하게 하다.
○上王命兵曹: "送防牌補充軍及當領船軍于天寶山, 伐材輸于抱川及豐壤, 以起離宮。"
방패 보충군과 당령 선군에게 포천·풍양 이궁을 지을 재목을 벌채하게 하다.
○上王命兵曹: "送防牌補充軍及當領船軍于天寶山, 伐材輸于抱川及豐壤, 以起離宮。"
태종은 상왕으로 물러나서 자신이 머무를 곳을 창덕궁과 창경궁, 경복궁 만으로 삼지 않고, 이궁을 세워서 머물도록 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포천이궁이다. 완공 후 태종은 포천이궁에서 종종 유숙하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이궁 3곳과는 달리, 태종 때 이후로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나마 추정이 가능한 것은 《연산군일기》 속 금표가 세워져 있었다는 기록이 전부이기 때문에 태종이 죽은 직후부터 이미 황폐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포천이궁은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 없으며, 형태도 어떤지 전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