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21:09:03

강화행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파일:external/mahan.wonkwang.ac.kr/b03.jpg
<colbgcolor=#bf1400> 강화행궁의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
1. 개요2. 상세3. 역사와 변천4. 규모와 형태5. 행궁의 전각
5.1. 강화행궁5.2. 외규장각5.3. 장녕전5.4. 봉선전, 만녕전
6. 복원계획

[clearfix]

1. 개요

江華府 行宮

조선 시대의 행궁. 강화도에 있었다.

2. 상세

강화부 궁전도〉에 나온 행궁의 모습만 보아도 조선에서 잘 쓰지않는 용미를 썼는데 거기다가 금칠(혹은 도금)까지 했다.

3. 역사와 변천

병인양요 당시 침공한 프랑스군이 행궁 내의 가치가 있는 것들만 챙겨나갔는데, 악탈당한 물건중 하나가 바로 외규장각 의궤이다.

4. 규모와 형태

5. 행궁의 전각

5.1. 강화행궁

파일:강화행궁도.jpg
<colbgcolor=#bf1400> 행궁의 정전과 후원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2. 외규장각

파일:외규장각도.jpg
<colbgcolor=#bf1400> 외규장각과 부속 건물의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3. 장녕전

파일:장녕전도.jpg
<colbgcolor=#bf1400> 장녕전과 부속 행랑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4. 봉선전, 만녕전

파일:봉선전도, 만녕전도.jpg
<colbgcolor=#bf1400> 봉선전과 만녕전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6. 복원계획

파일:external/f3a95ebe9c00fca2f1dbf72b2387a4626cc89fcbdb9763ea48fe20f6cc566bb7.jpg
<colbgcolor=#bf1400> 〈강화행궁 복원도〉
위 그림과 같이 복원할 가능성도 있어보이나, 고려궁지로 추정하는 곳이기 때문에 현재는 복원이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강화행궁 터가 고려궁지인지 논란이 있다. 발굴조사 결과, 고려 건물터나 관련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위 복원도에도 몇몇 문제점이 있다. 〈강화부궁전도〉와 비교하자면 복원도의 용미가 황금색이 아닌 일반 기와처럼 회색이다.. 또한 복원도속 행궁 뒤쪽의 연못도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 〈강화부궁전도〉에 나오는 행궁의 뒤쪽 후원에 있는 2중으로 된 담이 복원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1](아예 없다.) 그리고 행랑의 내의 계단들도 복원도에서는 모두 없다.

그래서 행궁 전역을 복원하기는 어렵다. 다만 유일하게 외규장각은 복원했다.

[1] 그림을 자세히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행궁의 뒤쪽에는 외담과 내담으로 나뉘어져있다. 그런데 복원도에서는 외담만 그려놓았기 때문에 고증 문제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