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9fe3>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신북읍 | 남면 | 남산면 | 동면 | |
동내면 | 동산면 | 북산면 | ||
사북면 | 서면 | 신동면 |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eee,#191919><#eee,#191919> 행정동 ||<-3> 법정동 ||
}}}}}}}}} ||<colbgcolor=#009fe3> 교동 | 교동 | |||||||
강남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삼천동 | 송암동 | 온의동 | 칠전동 | }}} | ||
근화동 | 근화동 | 소양로1가 | 중도동 | |||||
소양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낙원동 | ||||||
요선동 | }}} | |||||||
석사동 | 석사동 | |||||||
사농동 | 신동 | 우두동 | ||||||
약사명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약사동 | 죽림동 | }}} | ||||
조운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운교동 | 조양동 | }}} | ||||
퇴계동 | 퇴계동 | |||||||
효자1동 | 효자동 | |||||||
효자2동 | ||||||||
효자3동 | ||||||||
후평1동 | 후평동 | |||||||
후평2동 | ||||||||
후평3동 |
춘천시의 면 서면 西面 | Seo-myeon | |||
<colbgcolor=#009fe3><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춘천시 | ||
행정표준코드 | 4181058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23행정리 89반 | ||
면적 | 141.51㎢ | ||
인구 | 3,698명[1] | ||
인구 밀도 | 26.13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 |
| 한기호 (4선) | ||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제7선거구 | |||
| 박찬흥 (초선) | ||
춘천시의원 | 사 선거구 | |||
| 권희영 (초선) | ||
| 김용갑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금산길 31 (금산리 925-2) | ||
서면 행정복지센터 |
1. 개요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면.남쪽으로는 남산면, 동쪽으로 강남동, 신동면, 신북읍, 서쪽으로는 가평군 가평읍, 북쪽으로는 사북면과 맞닿아 있다.
이 지역은 조선 시대에는 서상면(西上面)[2]과 서하면(西下面)[3]으로 나뉘어 있었다가 1934년에 현재의 서면으로 개편되어 이른다.
2. 하위 행정구역
<colbgcolor=#009fe3> 서면 | 금산리 | 당림리 | 덕두원리 | 방동리 | 서상리 | 신매리 | 안보리 | 오월리 | 월송리 | 현암리 |
4,041(명) | 580 | 425 | 481 | 470 | 374 | 474 | 431 | 261 | 321 | 224 |
2.1. 신매리
춘천시와 왕래하는 배가 다니던 신매배터(오미나루)가 있던 곳으로, 지금은 신매대교가 있다. 춘천시에서 조성한 메밀밭과 신매리 석실고분이, 신매대교와 서상초등학교 사이 묘지 근처에 보호수가 있다. 서면파출소도 위치해 있다.한자명으로는 위도, 우리말로는 고슴도치섬이라고 불리는 섬이 행정구역상 신매리 소속이며 신매대교로 연륙되어 있다. 한 때 춘천의 나름 유명한 관광지였으나 2010년부터 섬 전체에 티스푼 공사가 진행 중이라서 관계자가 아니라면 출입이 불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2. 서상리
예전 서상면사무소가 있던 동네라고 해서 서상리. 줄배터가 있던 곳이다. 버스종점부근에 서상리삼층석탑(西上里三層石塔)이 있다. 참고로 서상초등학교는 신매리에 있다.2.3. 월송리
월골(3리)과 반송(1리)이 합쳐서 월송리가 됐다. 월송2리(수정골)에는 월송리 삼층석탑이 있다.2.4. 금산리
춘천시내와 왕래하는 배가 다니던 금산배터와 의암댐이 생기기 전 눈늪나루(현재 흔적도 없이 사라짐)가 있었다. 서면사무소, 서면보건지소, 금산우체국, 서춘천농협, 금산초등학교, 강서중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서면도서관, 기독교강원방송 등이 있어서 서면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금산2리 마을회관 앞에 춘천 제1호 보호수(향나무)가 있다.2.5. 방동리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묘소가 있다. 또, 방동리 고구려 고분이 있다.2.6. 현암리
애니메이션박물관, 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과 박사마을 선양탑 소재지이며 춘천파크골프장이 있다.2.7. 덕두원리
산림청 선정 "한국의 100대 명산" 에 뽑힌 삼악산이 있으며 등선폭포가 있다. 산림청 채종원이 있고, 서면파출소 덕두원치안센터가 위치해 있다.2.8. 당림리
당림초등학교가 있다.2.9. 안보리
2.10. 오월리
3. 교육
4. 주변 시설
4.1. 애니메이션박물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메이션박물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메이션박물관#|]][[애니메이션박물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현암리(박사로)에 위치. 인근에 어린이글램핑장이 같이 위치해있다. 또한 구름빵의 성지이기도 하다. 전체적인 애니메이션 역사의 소개와 전 세계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 소개, 한국 애니메이션 위주로 전시한것이 특징. 근년에는 구름빵 관련 비중이 많이 늘었다. 그도 그럴것이 구름빵의 제작에 애니메이션박물관과 관련이 깊은 GIMC가 상당수 관여했기 때문.
2013년 8월 박물관 옆에 로봇체험관이 새로 개장했다. 2016~7년쯤에도 어느 정도의 시설 리뉴얼을 단행했다. 로봇체험관은 로봇 인터랙티브나 로봇축구, 로봇 격투기등을 조작할수 있으며 매시 정각마다 로봇댄스가 펼쳐진다. 혼자 가기보다는 같이 가면 더 좋은 곳. 신경춘선이 놓이기전만 해도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이 매우 불편했으나, 신 경춘선이 놓인 이후로는 주말 한정인듯하지만 직행버스편(83번,남춘천역-춘천역-신매대교-애니메이션박물관)이 생겼다.[4]
4.2. 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위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도(춘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위도(춘천)#|]][[위도(춘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교통
남쪽에는 46번 국도, 동쪽에는403번 지방도, 70번 지방도, 북쪽으로는 5번 국도, 56번 국도와 접촉해 있다.6. 박사마을
박사마을이라고도 불리는데, 실제로 작은 시골마을임에도 박사 학위 소지자를 많이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5] 실제 그 부근 초등학교에 출신 유명인사들이 다녀가는 모습이 지역지에 소개되기도 했으며 주말이면 박사마을에 있는 모텔에 신혼부부가 일부러 첫날밤을 보내는 일도 있다고 한다.(...) 박사마을 출신 중에 대표적인 인물로 한승수 전 국무총리가 있다. 그러다 보니 서면에서는 자식 자랑하면 팔불출이라고 잘 안한다. 왜냐면 10가구당 박사 1명, 14.4가구당 교장 1명, 18가구당 5급 사무관 이상 1명이기 때문이다.주민이 겨우 4000명 밖에 안되는 촌 동네에 반세기동안 무려 161명의 박사(명예박사 4명 포함)를 배출했다. 지역적으로 완벽한 배산임수 지형이라 풍수적으로 뛰어나니 어쩌니 하지만 그보다는 억척스럽게 사는 부모와 이를 보고 자란 자식들이 원인으로 꼽힌다.
한때는 근화동의 번개시장에 채소전을 펴는 아낙네가 거의 서면 사람들이라고 할 정도였다. 그래서 춘천에는 "딸을 낳거든 광주리 하나만 장만해 주면 되고, 서면으로 시집 보내려면 광주리와 호미 한 개씩 마련해 주면 된다." 또는 "시내 어귀에서 신발이 흙먼지투성이인 사람은 영락없는 서면 사람이다."라는 말이 있다.
심지어 서면에서 번개시장까지 그냥 가는게 아니라 나룻배를 타고 들어가야 했다.[6] 그리고 이들의 자식인 어린 학생들도 학교에 가기 위해 새벽의 첫배를 타고 춘천시내로 들어가야 했는데, 학생들은 한밤중에 배를 기다리며 강건너 환하게 보이는 시가지를 동경했을 것이라는 말이 있다. 박사들도 서면 23개리 중에 배터 부근인 금산, 서상, 방동리 등에 집중되어 있다.
이 억척스러운 서면 아낙네들이 첫배를 타러 갔다가 일어난 끔찍한 사건이 바로 1970년 '중도 나룻배 전복 사건'. 서면 뿐만이 아니라 춘천 역사상 최악의 사고였다.
이 마을의 1호 박사는 1963년의 송병덕 의학박사(미국 로마린 대학)이며 2,3호가 바로 저 유명한 한승수 국무총리. 그리고 한총리의 춘고 동창으로 EBS 사장 박흥수 박사(박사 7호)와 경희대학교한방병원장 송병기 박사(박사 9호)가 있다. 그외 한기수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부총장, 정광수 산림청장, 류갑희 농촌진흥청 차장 등등등 도 있다.
하도 박사들이 쏟아 지자 마을 사람들은 축하 현수막을 걸고 축자 잔치를 벌여 주었으며, 일본 NHK 등 국내외 언론에서 대서 특필 하였다. 그리고 박사들에겐 학위증서 번호 외에 마을선양탑관리위원회가 학위 취득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겨준다.
1999년에는 박사마을선양탑이 세워졌고, 2005년에는 탑 뒤쪽에 8폭 병풍 모습의 비석에 취득 순서대로 박사들의 이름 기재 + 출신 리(...)를 새겨 놓았다. 미래를 위해 5폭 반 분량이 현재 비워져 있는데 이 속도로 가다간 21세기가 끝나기 전에 칸이 부족할 지경.
박사마을과 관련해 모 병원 의사가 "환자 주소가 박사마을이니 보호자는 박사가 오려나?"라고 간호사와 농담했다가 정말로 미국에서 박사가 와서 깜놀했다는 일화도 있다.
7. 출신 인물
8. 기타
- 90년대 까지 서면과 춘천 소양로사이에 배편이 있어서 서면 농민들은 배에 농산물을 싣고 번개시장(호반시장)에 나와 팔았다.
- 그 배를 타고 가다가 1970년 11월 5일 '중도 나룻배 전복 사건'이 일어났다. 배는 서면 주민들의 교통을 위해 춘성군 차원에서 1967년 진수한 것인데 그중 금산2호가[7] 그날 서면 현암리를 출발해 중도를 거쳐 근화동으로 이동중 오후 2시 30분경 침몰한 것이다. 60명[8]과 소 3마리가 타고 있었는데 그중 32명이 사망 했다. 문제는 송아지가 배가 움직이니 놀라 탭댄스를 췄고 이를 피하기 위해 사람들이 배 한쪽으로 쏠리는 바람에 배가 뒤집어 진 것. 춘천 역사상 최악의 교통사고였다.
- 서면의 박사로는 마라톤 코스로 이용되며 춘천 마라톤을 비롯한 크고 작은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 국제마라톤코스규격에 맞추기 위해 강서중학교, 금산초등학교 사이의 언덕을 깎았다.
- 서면의 인구는 전체적으로 고루 흩어져 있는 편이다. 면적은 넓지만 대부분이 산이라 사람이 살만한 땅은 그리 많지 않고, 대개 북에서 남으로 길쭉하게 뻗어있는 강변이나 산골짜기에 깊숙하게 뻗은 낮은 지대에 흩어져 모여 살기 때문이다.
- 2010년대 말에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메밀밭을 조성하기도 했다.
[1]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2] 서상리, 신매리 일대이다. 이쪽에 서춘천농협 신매지소가 있는 것은 과거 서상면의 본거지였던 것을 보여준다.[3] 금산리 이남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박사마을이라고 일컬어지는 곳으로, 현암리, 덕두원리 등이 속한다.[4] 하지만 현재는 2019년 11월 15일 개편으로 폐선된 상태로 서면1번, 서면2번, 서면3번이 대체 노선으로 운행 중이다.[5]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에도 같은 이유로 인해 생긴 박사마을이 있다.[6] 강원도는 21세기가 될때까지 유일하게 도청소재지(춘천)에 고속도로가 안지나가는 곳이었다.[7] 서면 금산리의 '금산' 맞다.[8] 정원 90명. 서면에선 20명이 탑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