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로스 아와 | 맷 로스 | 개리 화이트 | 홍명보 |
시몬 엘리세체 | 하혁준 |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 쿽카록 | |
피터 클라모브스키 | 알리 수자인 | 바야스갈랑긴 가리드마그나이 | 묘 흘라잉 윈 | |
드라간 탈라지치 | 하비에르 카브레라 | 김상식 | 나카무라 아츠시 | |
공석 | 신영남 | 비니시우스 유트로피오 | 에르베 르나르 | |
압둘라 알 무타이리 | 호세 라나 | 오구라 츠토무 | 파울루 벤투 | |
우스몬 토셰프 | 누레딘 울드 알리 | 라시드 자베르 | 자말 셀라미 | |
티무르 카파제 | 헤수스 카사스 | 아미르 갈레노에이 | 마놀로 마르케스 | |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 모리야스 하지메 | 브란코 이반코비치 | 루이스 가르시아 | |
교토쿠 코지 (대행) | 후안 안토니오 피치 | 막심 리시친 | 겔라 셰킬라제 | |
이시이 마사타다 | 메르겐 오라조프 | 공석 | 마크람 다부브 | |
알베르트 카페야스 | 토니 포포비치 | 애슐리 웨스트우드 | ||
<colbgcolor=#f7f7f7,#191919>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
브란코 이반코비치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34대 | 34대 | 35대 | ||
클럽 | ||||
中国国家足球队 | ||
| ||
<colcolor=#ffff00> 이름 | <colbgcolor=#fff,#191919> 브란코 이반코비치 Branko Ivanković | |
출생 | 1954년 2월 28일 ([age(1954-02-28)]세) | |
유고슬라비아SFR 크로아티아SR 바라주딘주 바라주딘시 | ||
국적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신장 181cm | |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1]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color=#ffff00> 선수 | NK 바르텍스 (1979~1990) |
감독 | NK 바르텍스 (1991~1995) HNK 세게스타 (1995~1996) HNK 리예카 (1996~1998) 크로아티아 대표팀 (1998~1999 / 수석 코치) 하노버 96 (1999~2000) 이란 대표팀 (2001~2002 / 수석 코치) 이란 U-23 대표팀 (2002~2003) 이란 대표팀 (2002~2006) 디나모 자그레브 (2006~2008) 디나모 자그레브 (2008)[2] 산둥 루넝 (2009~2011) 알 에티파크 FC (2011~2012) 알 와흐다 FC (2012~2013) 디나모 자그레브 (2013) 페르세폴리스 FC (2015~2019) 알 아흘리 SFC (2019) 오만 대표팀 (2020~2024) 중국 대표팀 (2024~) | |
국가대표 | 없음 |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2. 선수 경력
선수 생활을 시작부터 끝까지 NK 바르텍스에서 원클럽맨으로 활약하며 총 263경기에 출전해 31골을 기록했다.3. 감독 경력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의 후임으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았고 이란을 8년 만에 월드컵 무대에 올려놨다. 하지만 2006 독일 월드컵에서의 성적은 1무 2패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유럽과 아시아를 오가면서 감독 생활을 이어갔으며, 2015년부터는 페르세폴리스 FC 감독을 맡았으며, 2018년에는 팀을 AFC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으로 이끌었다.2018년 11월 20일, 최강희의 후임 감독을 찾고 있는 전북 현대 모터스의 감독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으며 이미 구단에서 접촉했다. 기사 하지만 정의선 구단주의 최종 선택으로 전북 구단은 차기 감독으로 주제 모라이스를 선임했다.
2020년 1월 19일,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후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브라질 월드컵 이후 두 대회 만에 팀을 최종예선에 진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최종예선에서 같은 조에 속한 팀이 일본,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등 만만찮은 상대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본선 진출은 요원한 상황.
그런데 뜻밖에도 2021년 9월 2일 월드컵 예선에서 오만이 일본을 잡는 이변을 일으켰다. 하지만 그것이 다였을 뿐, 이후로는 인상적인 모습 한번 보이지 못하다가 결국 2022년 2월 1일, 호주전 무승부로 인하여 카타르행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예선 총 성적은 4승 2무 4패로 4위로 마쳤다.
예선 이후에도 유임하게 돼서 시간이 지나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도 출전했는데, 사우디아라비아, 키르기스스탄, 태국과 함께 F조에 속했으며, 대화 결과 사우디에 1대2로 패하고, 태국과는 0대0 무승부, 키르기스스탄과는 1대1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최종 성적 2무 1패 조 3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고, 결국 이후 오만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3.1.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4. 여담
- 북한 스포츠의 유별난 습성에 당한 인물 중 하나이다.
- 2006 독일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중 북한 원정경기를 위해 김일성경기장을 찾아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팀을 지휘했는데, 2-0으로 앞서던 와중에 이란 수비진의 반칙에 심판이 페널티 킥을 주지 않자[3] 북한 선수들이 줄줄이 쫓아가 강하게 항의했고 그 중 김영준이 퇴장당하고 북한이 패한 채 경기가 마무리 되자 관중들이 필드를 향해 빈 병을 던지고 소리높여 항의하는 등 난동이 벌어졌다. 영상 이반코비치 감독과 이란 선수들은 1시간 반 넘게 경기장을 막아선 성난 북한 관중들 앞에서 공포에 떨며 더는 나아가지 못했고, 이후 인민보안성 소속 인원들이 진입한 후 길을 뚫어줘서 간신히 경기장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이반코비치의 후일담
- 이로 인해 북한축구협회는 FIFA로부터 남은 최종예선 경기에서 '홈 경기 개최 박탈(제3국 무관중 경기) 및 2만 스위스 프랑 상당의 벌금\'[4]이라는 중징계를 받았으며,기사 심지어 일본축구협회는 '북한 원정 경기는 무서워서 못 가겠다'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5. 둘러보기
2004 AFC 아시안컵 중국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EE2C29> A조 | 아리에 한 ☆ | 필립 트루시에 | 이반 콜레프 | 스레치코 유리치치 |
B조 | 조 본프레레 | 모하메드 이브라헴 | 아드 드모스 | 마흐무드 엘고하리 | |
C조 | 헤라르 판데르렘 | 아드난 하마드 | 라브샨 카이다로프 | 라힘 쿠르반마메도프 | |
D조 | 지쿠 ★ | 브란코 이반코비치 | 찻차이 파홀팟 | 밀란 마찰라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7 | 2011 | 2015 | 2019 | 2023 2027 | }}}}}}}}}}}}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감독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006EAC> A조 | 위르겐 클린스만 | 알렉산드레 기마라예스 | 파베우 야나스 |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
B조 | 스벤예란 에릭손 | 아니발 루이스 | 레오 베인하커르 | 라르스 라예르베크 | |
C조 | 호세 페케르만 | 앙리 미셸 | 일리야 페트코비치 | 마르코 반 바스텐 | |
D조 | 리카르도 라 볼페 | 브란코 이반코비치 | 루이스 올리베이라 곤칼베스 |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 |
E조 | 마르첼로 리피 ★ | 라토미르 두이코비치 | 브루스 아레나 | 카렐 브뤼크네르 | |
F조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 즐라트코 크란차르 | 거스 히딩크 | 지쿠 | |
G조 | 레몽 도메네크 ☆ | 야코프 쿤 | 딕 아드보카트 | 오토 피스터 | |
H조 | 루이스 아라고네스 | 올레흐 블로힌 | 로저 르메르 | 마르쿠스 파케타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028C42> A조 | 요시프 스코블라르 | 잘랄 탈레비 | 밀란 지바디노비치 | 피터 위드 |
B조 | 보라 밀루티노비치 | 난다르 이스칸다르 | 두샨 우린 | 허정무 | |
C조 | 필립 트루시에 ★ | 제말 하지압디치 | 밀란 마찰라 나세르 알 조하르 ☆ | 유리 사르키샨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7 | 2011 | 2015 | 2019 | 2023 2027 | }}}}}}}}}}}}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letter-spacing:-1px" | <colbgcolor=#260259> A조 | 틴틴 마르케스 ★ |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 페타르 세그르트 |
B조 | 그레이엄 아놀드 | 스레츠코 카타네츠 | 엑토르 쿠페르 | 이고르 슈티마츠 | |
C조 | 아미르 갈레노에이 | 파울루 벤투 | 마크람 다부브 | 욘 안데르센 | |
D조 | 모리야스 하지메 | 헤수스 카사스 | 필립 트루시에 | 신태용 | |
E조 | 위르겐 클린스만 | 후세인 아무타 ☆ | | 김판곤 | |
F조 | 로베르토 만치니 | 브란코 이반코비치 | 슈테판 타르코비치 | 이시이 마사타다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7 | 2011 | 2015 | 2019 | 2023 2027 | }}}}}}}}} |
[1] 공격형 미드필더[2] 2008년 1월 14일에 사임하였다가 7월 1일에 복귀했다.[3] 영상에서는 '시리아 출신 심판'이라고 설명하며 편파 판정을 의심할 법한 얘기를 꺼내나, 심판으로서는 이란 수비수가 볼을 먼저 캐치한 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북한 공격수와 뒤엉킨 터라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축구에서는 심판 판정의 재량이 강하게 보장된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에서의 판정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편파 판정이 아니라 정상적인 판정이라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4] 당시 환율로 1,700만 원 상당.
분류
- 1954년 출생
- 1979년 데뷔
- 1990년 은퇴
- 바라주딘 주 출신 인물
- 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선수
- 원클럽맨/축구
- 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코치
- 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감독
- NK 바라주딘/은퇴, 이적
- NK 바라주딘/역대 감독
- HNK 리예카/역대 감독
- HNK 세게스타/역대 감독
- 하노버 96/역대 감독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GNK 디나모 자그레브/역대 감독
- 알 에티파크 FC/역대 감독
- 알 와흐다 FC/역대 감독
- 산둥 타이산/역대 감독
- 페르세폴리스 FC/역대 감독
- 알 아흘리 SFC/역대 감독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감독
- 2004 AFC 아시안컵 중국 참가 감독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