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7:59:39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Switzerland SFV 2010.png

24대
파일:Croatia_football_federation.png

4대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3대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0대
}}} ||
크로아티아의 前 축구 감독
파일:블라제비치.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Miroslav Blažević
출생 1935년 2월 10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트라브니크시
사망 2023년 2월 8일 (향년 87세)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국적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79cm
직업 축구 선수(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GNK 디나모 자그레브 (1957~1958)
FK 사라예보 (1958~1959)
HNK 리예카 (1959~1964)
FC 시옹 (1964~1966)
감독 브베 스포츠 05 (1968~1971)
FC 시옹 (1971~1976)
FC 로잔 스포르 (1976~1979)
스위스 대표팀 (1976)
HNK 리예카 (1979~1980)
GNK 디나모 자그레브 (1980~1983)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83~1985)
FC 프리슈티나 (1986)
GNK 디나모 자그레브 (1986~1988)
FC 낭트 (1988~1991)
PAOK FC (1991~1992)
GNK 디나모 자그레브 (1992~1994)
크로아티아 대표팀 (1994~2000)
이란 대표팀 (2001~2002)
NK 오시예크 (2002)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2~2003)
NK 무라 (2003)
NK 바라주딘 (2003~2005)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2005)
뇌샤텔 크사막스 (2005~2006)
NK 자그레브 (2006~2008)
보스니아 대표팀 (2008~2009)
상하이 선화 (2009~2010)
중국 U-23 대표팀 (2010~2011)
메스 케르만 FC (2011~2012)
NK 자그레브 (2012~2013)
FK 슬로보다 투즐라 (2014)
NK 자다르 (2014~2015)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축구인 생활
2.1. 선수 시절2.2. 감독 시절
2.2.1. 크로아티아 이전2.2.2. 크로아티아 대표팀2.2.3. 크로아티아 이후
3. 사망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구 유고슬라비아 SFR)축구선수 출신 감독.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지휘봉을 잡고 월드컵 3위를 차지하며 분리 독립 이후 첫 번째 전성기를 이끈 바 있다.

2. 축구인 생활

2.1. 선수 시절

1957년디나모 자그레브에서 선수생활을 시작하여 FC 시옹에서 1966년에 은퇴했다.

2.2. 감독 시절

2.2.1. 크로아티아 이전

크로아티아 감독이 되기 전에 여러 팀들을 많이 옮겨다녔다. 국가대표 감독 경험으로는 스위스 감독직을 잠깐 한게 전부였다.

2.2.2. 크로아티아 대표팀

1994년에 부임하여 유로 1996에서는 8강까지 진출했다. 이 때 크로아티아는 독일에 2:1로 져서 8강 7위로 마쳤다. 하지만 신생 독립국인 점을 감안하면 8강 7위도 충분한 성과였다. 그런데 2년 뒤 크로아티아는 독립국으로써 처음 출전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서 당시 기준으로 엄청난 이변을 일으키는데......

조 편성 결과 H조에 편성되었다. 같은 조에는 아르헨티나, 자메이카, 일본이 있었다. 여기서 최강국 아르헨티나를 제외하면 크로아티아를 포함한 나머지 3개국 모두 월드컵에 처녀출전한 국가들이었다. 조 운이 생각보다 매우 따른 셈. 또한 블라제비치 감독은 유로 96 멤버를 대거 유지하면서 어린 팀보다는 노련한 팀으로써 크로아티아 대표팀을 구성해 대회에 출전했다.

1차전부터 간판 공격수 다보르 슈케르의 득점행진이 시작되었다. 자메이카전은 3:1, 일본전을 1:0 으로 연거푸 잡아내며 조기 16강을 확정하고 마지막 아르헨티나전은 1:0으로 패배하여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루마니아다보르 슈케르의 결승골로 누른 뒤 8강에서 독일을 만났는데 3:0으로 격파했다. 4강에 올라가니 홈팀 프랑스가 기다리고 있었다. 프랑스전은 다보르 슈케르의 선제골로 리드를 가져갔으나 릴리앙 튀랑이 인생경기를 펼치는 바람에 2:1로 패배하여 3위 결정전으로 떨어졌다. 그다음 상대는 네덜란드였는데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다보르 슈케르가 득점을 하여 2:1로 승리하여 대회 3위를 차지했다. 이 때 다보르 슈케르는 6골로 대회 득점왕을 차지하게 되었다.

1987년 유고슬라비아의 U-20 월드컵 우승 멤버이자 유로 1996 8강 진출 멤버들을 대거 포함시킨 노장위주의 팀을 구성한 선택이 적중하며 블라제비치 감독은 일약 명장의 반열에 올랐다. 그도 그럴것이 구성된지 10년도 안된 대표팀을 이끌고 무려 월드컵 3위를 차지한 감독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라제비치 감독의 입지는 유로 2000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한순간에 위태로워졌다. 그나마 월드컵 3위의 공이 있기 때문에 2002 월드컵 예선에서도 기회를 부여받았고 젊은 선수들을 여럿 기용하며 팀의 세대교체를 시도했다. 그러나 예선 초반 2경기에서 연거푸 비기며 본선행에 먹구름이 끼자 사실상 경질되었다.

2.2.3. 크로아티아 이후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서 물러난 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협상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1] 그러나 대한민국에 거스 히딩크가 선임되며 블라제비치는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최종예선에서 1위를 차지하는데 실패하며 플레이오프라는 가시밭길을 힘겹게 뚫고 대륙간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으나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막혀서 결국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행에 실패했다. 크로아티아 대표팀과 이란 대표팀에서 연거푸 실패한 뒤 이후 여러 팀을 옮겨다니다가 2014년에 지도자 생활도 은퇴했다.

3. 사망

2023년 2월 8일, 오랜 암투병 끝에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88세 생일을 2일 남기고 향년 8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4. 둘러보기

파일:UEFA 유로 1996 로고(가로형).svg
UEFA 유로 1996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2A5C98> A조 파일:UEFA EURO ENG.png
테리
베너블스
파일:UEFA EURO SUI.png
아르투르
조르즈
파일:UEFA EURO NED.png
거스
히딩크
파일:UEFA EURO SCO.png
크레이그
브라운
B조 파일:UEFA EURO ESP.png
하비에르
클레멘테
파일:UEFA EURO BUL.png
디미타르
페네프
파일:UEFA EURO FRA.png
에메
자케
파일:UEFA EURO ROU.png
앙겔
요르더네스쿠
C조 파일:UEFA EURO GER.png
베르티
포크츠

파일:UEFA EURO CZE.png
두샨
우린

파일:UEFA EURO ITA.png
아리고
사키
파일:UEFA EURO RUS.png
올레그
로만체프
D조 파일:UEFA EURO DEN.png
리하트 M.
닐센
파일:UEFA EURO POR.png
안토니우
올리베이라
파일:UEFA EURO CRO.png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파일:UEFA EURO TUR.png
파티흐
테림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19641968197219761980
198419881992199620002004
20082012201620202024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f1100> A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우
자갈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크레이그
브라운


파일:모로코 국기.svg
앙리
미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질
올센


B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사레
말디니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넬손
아코스타
파일:카메룬 국기.svg
클로드
르로이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C조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에메
자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필립
트루시에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파일:덴마크 국기.svg

요한손


D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클레멘테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보라
밀루티노비치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흐리스토
보네프
E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거스
히딩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르주
레이컨스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차범근
파일:멕시코 국기.svg
마누엘
라푸엔테
F조 파일:독일 국기.svg
베르티
포크츠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스티브
샘슨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슬로보단
산트라치
파일:이란 국기.svg
잘랄
탈레비
G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앙겔
요르더네스쿠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글렌
호들
파일:튀니지 국기.svg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H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다니엘
파사레야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오카다
타케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헤네
시몽이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1] 이용수 당시 기술위원장의 말에 따르면 협상 1순위는 에메 자케, 2순위는 거스 히딩크, 3순위는 조 본프레레 그리고 4순위가 블라제비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