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19 09:50:11

조르주 레이컨스

벨기에의 前 축구 감독
파일:Georges_Leekens.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조르주 레이컨스
Georges Leekens
출생 1949년 5월 18일 ([age(1949-05-18)]세)
벨기에 림뷔르흐주 메이우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체중 미상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은퇴)
소속 <colbgcolor=#eee> 선수 스포르팅 하우탈렌 (유스)
KFC 데셀 스포르트 (1969~1970)
KVV 크로싱 엘레바이트 (1970~1972)
클뤼프 브뤼허 KV (1972~1981)
K. 신트닉라세 SKE (1981~1984)
감독 세르클러 브뤼허 KSV (1984~1987)
RSC 안데를레흐트 (1987~1988)
KV 코르트레이크 (1988~1989)
클뤼프 브뤼허 KV (1989~1991)
KV 메헬런 (1991~1992)
트라브존스포르 (1992~1993)
세르클러 브뤼허 KSV (1993~1994)
로얄 샤를루아 SC (1994~1995)
로얄 엑셀 무스크롱 (1995~1997)
벨기에 대표팀 (1997~1999)
KSC 로케런 (1999~2001)
로다 JC (2001~2002)
알제리 대표팀 (2003)
로얄 엑셀 무스크롱 (2003~2004)
KAA 헨트 (2004~2007)
KSC 로케런 (2007~2009)
알 힐랄 FC (2009)
KV 코르트레이크 (2009~2010)
벨기에 대표팀 (2010~2012)
클뤼프 브뤼허 KV (2012)
튀니지 대표팀 (2014~2015)
KSC 로케런 (2015~2016)
알제리 대표팀 (2016~2017)
헝가리 대표팀 (2017~2018)
에투알 뒤 사엘 (2018)
트락토르 SC (2019)
국가대표 3경기 (벨기에 / 1975~1978)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지도자 경력4. 둘러보기

1. 개요

벨기에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1970년대 클뤼프 브뤼허 KV의 핵심 수비수로 활약하며 클럽의 황금기를 이끈 선수 중 한 명이었다. 1978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리버풀 FC에게 아쉽게 패했지만, 벨기에 리그 5회 우승과 벨기에컵 우승 등 화려한 선수 경력을 자랑한다.

은퇴 후 지도자로 전향한 레이컨스는 벨기에를 비롯해 알제리, 튀니지, 헝가리 등 4개국 국가대표팀을 지휘한 경험을 보유한 국제적인 감독이다. 특히 1998년 월드컵에서 벨기에를 본선에 진출시켰으며, 벨기에 국가대표팀을 두 차례 지휘했다. 클럽 감독으로도 벨기에, 네덜란드,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튀니지 등 다양한 국가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레이컨스는 선수 시절부터 성실하고 안정적인 플레이로 평가받았으며, 지도자로서도 실용적인 전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팀을 이끌었다. 그의 사촌인 루이 레이컨스는 1966년 벨기에 체조 국가대표 챔피언이었으며, 현재 헹크에서 체조 전문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조르주 레이컨스는 1967년 스포르팅 하우탈렌에서 프로 축구 선수로 데뷔했다. 하우탈렌의 유스팀에서 성장한 그는 18세의 나이에 성인팀으로 승격되어 2년간 28경기에 출전하며 1골을 기록했다. 1969년 KFC 데셀 스포르트로 이적한 레이컨스는 한 시즌 동안 30경기에 출전했으나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이후 1970년 KVV 크로싱 엘레바이트로 이적하여 2년간 59경기에서 2골을 넣으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1972년 레이컨스의 축구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찾아왔다. 클뤼프 브뤼허로 이적한 그는 이곳에서 9년간 278경기에 출전하며 8골을 기록했다. 수비수로서는 상당한 출전 횟수였으며, 이 기간 동안 클럽의 황금기를 함께했다.

클뤼프 브뤼허에서 레이컨스는 팀의 핵심 수비수로 자리매김했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 벨기에 1부 리그를 5차례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1970년대 중후반 에른스트 하펠의 지휘하던 클럽의 전성기 동안 레이컨스는 중앙 수비수로서 안정적인 수비를 바탕으로 팀의 성공을 뒷받침했다. 1975-76 UEFA컵1977-78 유러피언컵에서 팀의 결승 진출에 공헌하였지만 1976년 결승전과 1978년 결승전 모두 리버풀 FC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1977년에는 리그 우승과 함께 벨기에컵도 들어올리며 더블을 달성했다. 1980년에는 벨기에 슈퍼컵까지 추가하며 트레블을 완성했다. 레이컨스는 이 모든 성공의 중심에 있었으며, 그의 리더십과 경험은 팀에 큰 도움이 되었다.

1981년 레이컨스는 클뤼프 브뤼허를 떠나 K. 신트닉라세 SKE로 이적했다. 이곳에서 3년간 66경기에 출전한 후 1984년 37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레이컨스는 1975년부터 1978년까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3경기에 출전했다. 국가대표팀에서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클럽에서의 뛰어난 활약을 비해 짧았다.

3. 지도자 경력

1997년 레이컨스는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레이컨스의 가장 큰 성과는 벨기에를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에 진출시킨 것이었다. 하지만 본선에서는 E조에서 3무 3위에 그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네덜란드, 멕시코, 한국과 함께 편성된 조에서 벨기에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월드컵에서의 부진한 결과로 인해 레이컨스는 비판을 받았고, 1999년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19년 이란의 트락토르 사지 FC가 레이컨스의 마지막 감독직이 되었다. 이란에서의 경험을 끝으로 레이컨스는 현재 자유계약 상태로 있으며, 50년에 가까운 축구 인생을 마무리하고 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f1100> A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우
자갈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크레이그
브라운


파일:모로코 국기.svg
앙리
미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질
올센


B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사레
말디니
파일:칠레 국기.svg
넬손
아코스타
파일:카메룬 국기.svg
클로드
르로이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C조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메
자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필립
트루시에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파일:덴마크 국기.svg

요한손


D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클레멘테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보라
밀루티노비치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흐리스토
보네프
E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거스
히딩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조르주
레이컨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범근
파일:멕시코 국기.svg
마누엘
라푸엔테
F조 파일:독일 국기.svg
베르티
포크츠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샘슨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슬로보단
산트라치
파일:이란 국기.svg
잘랄
탈레비
G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안겔
이오르더네스쿠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글렌
호들
파일:튀니지 국기.svg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H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다니엘
파사레야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다
타케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헤네
시몽이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