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5:20:47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부산은행역에서 넘어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부산미래IFC의원 부설검진센터)
파일:Busan2.svg
해운대 · 장산 방면

문 현
← 0.8 ㎞
호포 · 양산 방면

전 포
0.8 ㎞ →
역명 표기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Busan Int'l Finance Center·Busan Bank
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 /
国际金融中心·釜山银行 /
国際金融センター·釜山銀行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전포대로 지하97 (문현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전포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2호선 2001년 8월 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2.89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7번. 부산광역시 남구 전포대로 지하97 (문현동) 소재.
파일:국제금융.jpg
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의 배경은 문현금융단지이다. 문전역 시절에 스탬프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새로운 스탬프(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표기)가 비치되어 있다.

2. 역 정보

파일:국금부행역 2호선.jpg
대합실
2014년 12월 12일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됐다.
파일:부산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現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역명판.jpg
문전역 시절 역명판
2014년 11월 5일까지 현동포동에서 한자씩 딴 문전역(門田驛)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워낙 이름이 길어 아직도 문전역이란 이름을 많이 사용한다.[1]

이렇게 앞 글자를 따서 급조한 역명이라고 지역 주민들에게도 까이기도 했고 역 주변에 조성되고 있는 문현금융단지로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고 있었다. 관련 기사 일단 부산교통공사는 행정적 혼란 및 다른 지역의 잇따른 역명 변경 요구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있었다.[2]

그러나 2014년 4월 부산교통공사는 역명심의위원회를 열어, 부전역의 부역명 선정과 함께 역명 변경을 심의하기로 결정했다. 문현금융단지,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등의 이름이 새 역명 후보로 나왔다. 기사링크

2014년 11월 6일에 이름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으로 바뀌게 된다는 부산교통공사의 발표가 있었다. 보도자료 따라서 대구은행역에 이어 국내 철도역 중 상업 은행명을 사용하는 2번째 역이자,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9글자를 넘어서는 10글자의 역명을 가진 국내 철도역 중 가장 긴 이름의 역이 됐다.[3][4]

2014년 11월 6일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최종 확정했으며, 노선도의 역명과 안내판 등을 빠른 시일 내에 교체할 것을 밝혔다. # 한 달쯤 지난 2014년 12월 5일 기준 역명판이 갱신됐다.

파일:attachment/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bifcbbs.jpg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역명판. 현재는 새로운 양식으로 바뀌었다.[5]
해당 안내방송은 왼쪽 출입문 안내가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으로 수도권 전철 안내방송과 동일하게 바뀌었다.
한편 2009년부터 시행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을 이용하여 운영 수익을 거둘 수 있는데도 본역명에 부산은행을 포함시킨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부산교통공사부산은행을 본역명에 넣은 것은 지역 공헌을 감안하여 결정한 것으로 역명을 바꾸는 비용은 부산은행에서 부담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부산교통공사 노조는 역명 사용료를 받지 않은 채 간판 교체 비용만 받는 것은 특혜라고 주장하고 있으며,링크 2014년 12월 26일에는 부산광역시의 어떤 시민단체가 이러한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를 배임 혐위로 검찰에 고발하는 일도 벌어져 논란의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다. #[6]

한국어 역명과 달리 영어, 일본어, 중국어 표기 역명에는 국제금융센터 앞에 '부산(Busan, 釜山)'을 추가로 붙인다. 사실 어원을 따져보면 한국어 역명도 '부산'을 붙이는 쪽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는데 만약 그랬다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이름 역 기록은 더욱 견고해졌을 듯(...)

여담으로, 영문 역명의 글자수는 40자로, 영국 웨일스 아일오브앵글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긴 역명을 가진 흘란바이르푸흘귄기흘고게러훠른드로부흘흘란터실리오고고고흐(llanfairpwllgwyngyllgogerychwyrndrobwllllantysiliogogogoch)역과 18자 차이이다.

파일: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jpg
역명이 길어 한 줄에 다 들어가지 않아 차내 LED에서는 두 줄로 역명을 표출한다.

원래 부산 2호선의 다른 역에서는 LED가 한 번에 한글과 영어 역명을 같이 표기하는데 반해,[7] 이 역은 역명이 너무 길어 한글과 영어 역명을 번갈아가면서 표시한다.[8]

병기역명도 전국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졌는데, 그전까지만 해도 서구청역의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총 14글자)로 한때 가장 길었으나, 이 역이 부산미래IFC의원 부설검진센터(총 15글자)로 1글자 차이로 서구청역을 밀어내고 1위로 올라섰다.

승강장 쪽 4개의 역명판은 휴메트로 UI로 교체했지만 아직까지 선로 쪽은 휴메트로 UI 역명판으로 교체하지 않았다.

3. 역 주변 정보

역 위로 동서고가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섬식 승강장으로 지어졌으며 섬식 승강장 중에서 운전 취급을 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역이다.[9] 동서고가로로 인해 승강장 폭이 좁은 편이다. 또한 이 역에서 문현역 방향으로 선로 중앙 기둥의 폭이 좁다가 넓어지는 것이 몇 번 나오는데, 이 역시 동서고가로 기둥 부분의 하중을 버티기 위해 넓게 지은 것이다.

역세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이마트 문현점, 지오플레이스[10]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없는데다가 시내버스 환승 여건도 상당히 열악해서 승객수가 적다. 그러나 바로 옆에 문현금융단지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가 기대되는 역이다. 부산은행 신 사옥은 1번/3번 출구 근처로 이전하여 2014년 11월 4일에 준공식을 열었으며 바로 뒤에 부산국제금융센터가 있다. 대구은행역의 사례처럼 역명을 변경하는 게 확정됐으며, 부산은행 본점과의 지하 연결 통로가 역 출구 쪽으로 있는 부산은행 ATM 옆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1bf48><bgcolor=#81bf48> 연도 || 파일:Busan2.svg ||<bgcolor=#81bf48>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4,387명
2003년 4,991명
2004년 5,208명
2005년 5,095명
2006년 4,962명
2007년 4,746명
2008년 4,868명
2009년 4,915명 }}}}}}}}}
2010년 5,041명
2011년 5,251명
2012년 5,319명
2013년 5,347명
2014년 5,784명
2015년 8,431명
2016년 8,743명
2017년 8,960명
2018년 9,220명
2019년 9,903명
2020년 8,160명
2021년 8,248명
2022년 8,740명
2023년 9,274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부산문현혁신도시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도심과 가까운 역임에도 공기수송의 대명사로 이름을 날렸다. 2000년대까지는 무려 하루 평균 5,000명도 안 될 만큼 저조한 수요를 보였는데, 수치만 보면 부산 도심이 아닌 외곽 시골지역의 역이라 해도 믿을 수준이었다. 그러나 혁신도시 구역이 삽을 뜨기 시작하면서 점점 활기를 찾기 시작했는데, 2014년 8월 22일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있는 부산국제금융센터 건물이 개장한 이래로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공교롭게도 역명이 바뀐 시기가 2014년 12월인지라, 이름이 바뀌면서 동시에 이용 승객이 늘었다. 그 뒤로 한국은행, 기술보증기금, 부산금융박물관로드가 속속 입주하면서 역세권이 활기를 뜨기 시작했지만, 역 위를 지나가는 동서고가로가 조망권을 심각하게 해쳐 역세권 환경이 크게 개선되지 못해 이용객이 극적으로 늘어나지는 않았다. 개장 전 5,000여 명 수준에서 개장 후 8,000여 명으로 약 3,000명 증가에 그쳤다. 혁신도시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이용객이 더 증가할 여지가 충분히 있지만, 역세권 전체가 업무지구로 탈바꿈하지 않는 이상은 전 역인 전포역의 수요를 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대중교통 이용객 숫자가 대부분 2~30%가량 급감했지만, 이 역은 관광이나 상업수요보다 출퇴근 수요 비중이 매우 높은 점, 바로위의 도로 교통사정으로 인해 큰 하락폭을 보이지 않았다.

5. 승강장

파일:20241210 217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20241202 217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파일:217.gif
역 안내도
문현
전포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수영·센텀시티·해운대·장산 방면
서면·사상·덕천·화명·호포·양산 방면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도시철도 역명을 따라 황령터널입구의 사거리도 문전교차로라 명명된 것이 크다.[2] 당시 동백역 인근 주민들 또한 동백역을 마린시티역으로 바꿔줄 것을 요구했으나 문전역과 같은 이유로 반대했다.[3] 2위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위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차량기지임시승강장 덕분에 끄투에서 자주 쓰인다[4] 참고로 병림픽의 결과물로 널리 알려진 동일 노선의 경성대·부경대(동명대학교)역은 동명대학교가 부역명인 관계로 순위권에 들지 않는다. 거기에 비슷한 유성온천(충남대.목원대)역도 있다. 하지만 임팩트는 이쪽이 세다.[5] 참고로 숫자 217이 휴메트로 형식인 것을 알 수 있다. 문전역 시절에는 217지하철체였다.[6] 대구은행역엔 여태껏 아무 일도 없다.[7] 파일:Seomyeon.jpg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8]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역시 동일하다. 과거에는 부산대양산CA역으로 표출했고, 영문도 같이 나왔지만 어느 날 현재와 같이 개정됐다.[9] 동서고가로를 건설할 당시에 지하철 구조물 건설을 병행했다고 한다.[10] CGV 서면이 있다. 여담으로 지오플레이스 건물은 CGV 빼고는 다 망한 상태. 거의 폐건물에 CGV 서면만 들어서 있으며, 홈플러스 서면점은 2024년 2월 15일 폐점했다. 신촌역(경의선)메가박스 신촌 건물처럼 개점휴업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