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21:35:36

보편 성질

해석학
Mathmat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07DFD7> 함수 합성 · 항등원 · 역원 · 멱함수( 비례·반비례 ) ·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 다변수 ( 동차 · 숨은 함수( 다가 함수 )) · 그래프 · 대칭 · 증감표 · 극값 · 연속 · 매끄러움 · 계단형 · 미끄럼틀형 · 볼록/오목 · 닮은꼴 함수 · 병리적 함수 · 해석적 연속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정리 · 토픽 좌표계 ·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립시츠 규칙
극한 부정형 · 어림( 유효숫자 ) · 근방 · 수열의 극한 · 엡실론-델타 논법 · 수렴 ( 균등수렴 ) · 발산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스털링 근사
정리 · 토픽 로피탈의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수열
급수
규칙과 대응 · 단조 수렴 정리 · 멱급수 · 테일러 급수 ( 일람 )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 망원급수 ( 부분분수분해 ) ·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파울하버의 공식 · 리만 재배열 정리
정리 · 토픽 바젤 문제 · 라마누잔합 · 0.999…=1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도함수 일람 · 차분 · 유율법 · 변화량 · 변분법 · 도함수 ( 편도함수 )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역함수 정리 · 임계점 ( 변곡점 · 안장점 ) · 미분형식 · 미분방정식 ( 풀이 ) · [math(boldsymbolnabla)] · 라그랑주 승수법
정리 · 토픽 평균값 정리 ( 롤의 정리 ) · 스토크스 정리 ( 발산 정리 ) · 라플라스 변환 · 푸리에 해석 ( 푸리에 변환 ) · 아다마르 변환
적분 역도함수 일람 · 부분적분 (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 치환적분 · 정적분 ( 예제 ) · 이상적분 · 중적분 (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 르베그 적분 · 스틸체스 적분 · 코시 주요값
정리 · 토픽 미적분의 기본정리 · 2학년의 꿈 · 리시 방법

해석
측도론 ( 측도 · 르베그 측도 ) · 유계( 콤팩트성 ) ·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정리 · 토픽
복소
해석
복소평면 · 편각 · 코시-리만 방정식
정리 · 토픽 오일러 공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여타 하위 학문 수치해석학 ( FEM ) · 미분기하학 · 해석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 소수 정리 ) · 확률론 ( 중심극한정리 )
기타 뉴턴-랩슨 방법 · 디랙 델타 함수 · 리만 가설미해결 · 카오스 이론미해결 · merry=x-mas
응용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

1. 개요2. 정의3. 범주론에서의 보편 성질4. 대수학에서의 보편 성질5. 위상수학에서의 보편 성질6. 응용7. 관련 문서

1. 개요



보편 성질 (Universal Property) 은 수학에서 특정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 개념으로, 구조 간의 관계를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보편 성질은 범주론, 대수학, 위상수학, 기하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등장하며, 수학적 대상을 보편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보편 성질은 "모든 대상을 유일한 방식으로 관계짓는" 정의로, 임의의 대상 [math(C)]에서 [math(A)]와 [math(B)]로 가는 사상 [math(f, g)]이 주어졌을 때 이를 유일하게 [math(h)]로 나타낼 수 있다.

2. 정의

3. 범주론에서의 보편 성질

[math(h)]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math(h(c) = (f(c), g(c)))]

4. 대수학에서의 보편 성질

[math(F(S))]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군이다:
- 임의의 군 [math(G)]와 함수 [math(f : S \to G)]가 주어졌을 때, 이를 유일하게 확장하는 군 준동형 [math(h : F(S) \to G)]가 존재한다.

5. 위상수학에서의 보편 성질

6. 응용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