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0:02:38

모노노케 히메

모노노케히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작의 주제가에 대한 내용은 もののけ姫(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스튜디오 지브리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톱 크래프트 · 스튜디오 지브리(연표)
관련 인물
미야자키 하야오스즈키 토시오콘도 요시후미
타카하타 이사오미야자키 고로요네바야시 히로마사히사이시 조그외 관련 인물
관련 시설
미타카의 숲 지브리 미술관지브리 파크
작품
극장 장편 애니메이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1) 천공의 성 라퓨타 반딧불이의 묘 이웃집 토토로
마녀 배달부 키키 추억은 방울방울 붉은 돼지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귀를 기울이면 모노노케 히메 이웃집 야마다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고양이의 보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 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 벼랑 위의 포뇨
마루 밑 아리에티 코쿠리코 언덕에서 바람이 분다 가구야공주 이야기
추억의 마니 붉은 거북 아야와 마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지브리 신작 애니메이션
(1)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경우 톱 크래프트에서 제작했으나 미야자키가 저작권을 가지기로 하고 제작한 작품이고 미야자키가 지브리에 저작권 관리를 위탁해 스튜디오 홈페이지 작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TV 애니메이션
바다가 들린다 기브리즈 아야와 마녀
단편 애니메이션
On Your Mark 빙글빙글 고래 잡기 고로의 산보
메이와 아기고양이버스 상상속의 비행 기계들 상상의 기계들 중 파괴의 발명 기브리즈 에피소드 2
Portable Airport Space Station No.9 비행 도시 계획 물거미 끙끙
별을 산 날 집찾기 쥐스모 빵반죽과 계란 공주
보물 찾기 털벌레 보로 젠 - 그로구와 더스트 버니
극장 실사 장편
식일 사토라레
실사 단편
거신병 도쿄에 나타나다 거신병 도쿄에 나타나다 극장판
게임(2)
니노쿠니 하얀 성회의 여왕 니노쿠니 칠흑의 마도사
(2) 니노쿠니 시리즈 중 1편을 한정으로 스튜디오 지브리가 제작을 검수하는 방식으로 참여함.
}}}}}}}}} ||
모노노케 히메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모노노케 히메 로고.png
등장인물 아시타카 · · 에보시 고젠 · 모로 · 옷코토누시 · 시시가미/데이다라봇치 · 재앙신 · 나고
줄거리 · 아시타카 전기 · 주제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작품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2d2f34> 만화 · 그림 동화 ||
파일:사막의 백성-로고.gif 파일: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로고.png
파일:슈나의 여행-로고.png
사막의 백성
(1969~1970)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982~1994)
슈나의 여행
(1983)
TV 애니메이션
파일:루팡 3세 1기 로고.jpg 파일:미래소년 코난 로고.png 파일:명탐정 홈즈 로고-2.jpg
루팡 3세 - 1기 2쿨
(1971)
미래소년 코난
(1978)
명탐정 홈즈
(1985)
극장 장편 애니메이션
파일:칼리오스트로의 성 로고.png 파일: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로고.png 파일:천공의 성 라퓨타 로고.png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1979)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984)
천공의 성 라퓨타
(1986)
파일:이웃집 토토로 로고.png 파일:마녀 배달부 키키.png 파일:붉은 돼지 로고.png
이웃집 토토로
(1988)
마녀 배달부 키키
(1989)
붉은 돼지
(1992)
파일:모노노케 히메 로고.png 파일: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로고.png 파일:하울의 움직이는 성 로고.png
모노노케 히메
(1997)
하울의 움직이는 성
(2004)
파일:벼랑 위의 포뇨 로고.png 파일:바람 불다 로고.png 파일:그어살로고.png
벼랑 위의 포뇨
(2008)
바람이 분다
(2013)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2023)
단편 애니메이션
파일:1920px-On_Your_Mark_Logo.svg.png 빙글빙글
(2001)
파일:고래 잡기-로고.png
On Your Mark
(1995)
고래 잡기
(2001)
파일:고로의 산책-로고.png
상상 속 비행 기계들
(2002)
고로의 산보
(2002)
파일:물거미 끙끙-로고.png
파일:별을 산 날-로고.png
파일:집 찾기-로고.png
물거미 끙끙
(2006)
별을 산 날
(2006)
집 찾기
(2006)
파일:빵반죽과 계란 공주 로고.png
파일:kemusinoboro_201801_01.jpg
빵반죽 계란 공주
(2010)


털벌레 보로
(2018)



모노노케 히메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파일: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로고.svg
애니메이션 대상
제1회
(1997년)
제2회
(1998년)
제3회
(1999년)
모노노케 히메 고래의 도약 노인과 바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키네마준보.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9년 키네마 준보 12월 초순 특별호에 선정된 1990년대 일본 영화 베스트 순위.
1위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colbgcolor=#a0522d> 2위 소나티네
이사
4위 큐어
5위 으랏차차 스모부
쉘 위 댄스
7위 토카레프
HANA-BI
모노노케 히메
10위 3-4×10월
죽어도 좋아
출처
같이 보기: 올타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만화)
<colcolor=#fff><colbgcolor=#ce0000> 종합 순위
1위 신세기 에반게리온
2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3위 천공의 성 라퓨타
4위 기동전사 건담
5위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6위 충사
7위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8위 이웃집 토토로
9위 강철의 연금술사
10위 공각기동대
11위 드래곤볼 애니메이션 시리즈
12위 모노노케 히메
13위 AKIRA
14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15위 도라에몽
16위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17위 붉은 돼지
18위 은하영웅전설
19위 어른제국의 역습
20위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21위 카드캡터 사쿠라
22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3위 카미츄!
24위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25위 기동전사 Z 건담
26위 별의 목소리
27위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8위 은하철도 999
29위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30위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31위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32위 반딧불이의 묘
33위 미래소년 코난
34위 하울의 움직이는 성
35위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36위 왕립우주군 - 오네아미스의 날개
37위 슬램덩크
38위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공동 39위 기동전사 건담 SEED
개구리 중사 케로로
41위 톱을 노려라!
42위 도라에몽 극장판
43위 용자 시리즈
44위 카우보이 비밥
45위 사무라이 7
46위 기동전함 나데시코
47위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48위 시끌별 녀석들
49위 철완 아톰
50위 루팡 3세
전문가 순위
1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2위 철완 아톰
3위 AKIRA
4위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5위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6위 기동전사 건담
7위 신세기 에반게리온
공동 8위 이웃집 토토로
사자에상
은하철도 999
도라에몽
〈마운틴 헤드〉
2006년 발표 / 출처
}}}}}}}}} ||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
파일:japan-academy-prize.png
최우수 작품상
제20회
(1997년)
제21회
(1998년)
제22회
(1999년)
쉘 위 댄스 모노노케 히메 사랑을 바라는 사람

역대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파일:20210222_223227.jpg
일본 영화 대상
제50회
(1996년)
제51회
(1997년)
제52회
(1998년)
쉘 위 댄스 모노노케 히메 사랑을 바라는 사람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
작품상 - 극장 부문
제1회
(1996년)
제2회
(1997년)
제3회
(1998년)
공각기동대 모노노케 히메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 ||}}} ||
모노노케 히메 (1997)
もののけ姫
Princess Mononoke
파일:원령공주 포스터.jpg
<colbgcolor=#ffffff><colcolor=#ba0117> 장르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액션, 다크 판타지, 전쟁, 드라마, 미스터리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각본
원작
프로듀서 스즈키 토시오
목소리 출연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다 요지, 이시다 유리코, 미와 아키히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선, 정미숙, 강희선, 장광
음악 히사이시 조
주제가 메라 요시카즈 - 모노노케 히메 (もののけ姫)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스튜디오 지브리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코리아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7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4월 25일
화면비 1.85:1
상영 시간 133분
월드 박스 오피스 $170,174,996
북미 박스 오피스 $4,845,631
일본 박스 오피스 201.8억 엔
대한민국 총관객 수 195,630명[1]
한국 내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
1.1. 제목에 관하여
2. 특징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음악8. 평가9. 흥행10. 원안
10.1. 초기 구상10.2. 아이누 신화
11. 작품론
11.1. 해설11.2. 후일담
12.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모노노케 히메 프로필.jpg
生きろ
살아라.[2]

모노노케 히메는 스튜디오 지브리가 제작하고 미야자키 하야오가 감독한 애니메이션이다. 미야자키 하야오가 이 작품 이전까지 만들어왔던 거시적 이야기들의 최종 결과물이자 그의 사상을 완벽하게 대변하고 있는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평가된다.

1.1. 제목에 관하여

영화 제작이 끝난 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제목을 『아시타카 전기(アシタカ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A])』로 하자고 제안했다. 傳記가 아니라 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A]인데, 𦻙은 미야자키의 언급에 따르면 '정사에는 없고 귀에서 귀로 전해져 내려온 이야기'라는 뜻을 붙여 자신이 만든 한자라고 한다.[5] 그러나 스즈키 토시오 프로듀서와 니혼 테레비 관계자는 이미 모노노케 히메로 선전 계획을 다 세워놨기 때문에 이제와서 영화 타이틀을 바꿀 수 없었고, 아시타카 전기(アシタカ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A])라는 일본인도 읽기 힘든 한자보다는 모노노케 히메가 훨씬 대중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미야자키에게는 알리지 않은 채 니혼 테레비에서 『모노노케 히메』의 제목으로 TV CM을 내보냈다. 뒤늦게 이를 안 미야자키는 화를 냈지만, 이미 이 타이틀로 방송한 것을 알게 되자 순순히 받아들였다. 채용되지 않은 제목인 アシタカ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A]는 모노노케 히메의 BGM 중 하나의 제목이 되었다. 또한 미야자키가 직접 쓴 시의 제목도 아시타카 전기다.

일본에서는 1997년에 개봉된 작품이지만 한국에서는 바로 개봉되지 못하고 2003년이 되어서야 정식 개봉되었다. 그러나 정식 개봉 전부터 그 명성이 널리 알려진 터라 많은 사람들이 해적판 비디오 또는 소극장 단체 관람[8] 등으로 이 작품을 감상했는데, 이 과정에서 "원령공주"로 의역된 제목이 굳어졌다.

'원령공주'라는 제목을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한 것은 1997년 11월에 한겨레21에 게재된 영화 평론가 김의찬의 평론인 것으로 보이는데, 2003년 모노노케 히메의 한국 개봉 당시 그는 씨네21에 올린 평론에서 자신이 직접 '모노노케 히메'를 '원령공주'로 번역했다고 밝힌 바 있다. 모노노케(物の怪)는 일본의 고전(古典)과 신화에 나오는 존재로, 인간에게 빙의해서 괴롭히거나 병들게 하고 죽게 하는 원령(怨霊), 사령(死霊), 생령(生霊) 등의 영혼(靈魂)이며, 요괴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편 일본에서 히메(姫)는 '공주'라는 번역명과는 달리 귀인의 딸이나 지체 높은 아가씨에게 쓰는, 좀 더 넓은 범위의 단어이다. 혹은 일반적인 한 가정의 어린 딸을 비유적으로 공주님으로 부르듯이, 일본에서도 한 가정의 어린 딸을 지칭하며 가볍게 '오히메사마' 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때문에 2003년 이 작품의 정식 발매를 맡게 된 대원미디어에서는 원제의 발음과 의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모노노케 히메"로 개봉했다. 모노노케라는 단어가 가진 뜻을 한 단어로 함축할 수 있는 한국어 표현은 마땅히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작품에 비추어 볼 때 '모노노케 히메'란 여주인공 을 지칭하는 말인데, 타타라 마을의 주민들 외에는 그 누구도 산을 '모노노케 히메'(원령 공주)라 하지 않았다. 심지어 남자 주인공인 아시타카조차 마을 사람들 때문에 산을 가리키는 호칭이라는 것은 알았으나, 산의 이름을 제대로 알기 전까지 그녀를 직접 부를 때는 '들개의 공주'(또는 들개 소녀)라고 불렀다. 딱 한 번 산을 모노노케 히메(원령 공주)라고 칭한 적이 있지만, 그것은 그렇게 해야만 산의 이름을 모르는 마을 사람들이 누구를 언급하는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모노노케'의 본래 의미와 연관지었을 때 산이 타타라 마을 사람들에게 있어서 들개의 편을 들어 인간을 습격하는 두려움의 대상이라는 것과 그녀가 숲을 수호하는 동물신의 양녀이니만큼 '공주'라 불리는 게 어색하지 않은 입장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모노노케 히메'란 타타라 마을, 즉 인간들이 산에게 쓰는 멸칭에 가깝다.

사실 작중 대사에서도 타타라 마을 사람들은 산을 '들개에게 혼을 빼앗긴 녀석' 으로 설명하는데 그들의 입장에서 봤을 때, 인간이면서 짐승들과 함께 살아가는 산은 마치 '요괴나 귀신에게 씌여서 저러는 것' 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즉, 다시 말해 '모노노케 히메'란 말에는, 자연을 정복하고 활용하여 인간의 터전을 늘리려는 타타라 마을 사람들이, 들개와 살아가는 산을 바라보는 시선이 담겨 있는 것이다. 타타라 마을 사람들이 산을 '모노노케 히메', 즉 '원령 공주'라고 부를 때는 '귀신 씐 계집애' 정도의 뜻을 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의 원령 공주라는 대사상의 번역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나, 모노노케라는 단어의 원뜻에는 여러 의미가 중의적으로 섞여 있는 만큼, 원령 공주라는 번역이 가지는 의미의 폭이 한정되기에 작품의 공식 번역명은 모노노케 히메로 하되[9], 작중 타타라 마을 사람들이 산을 부를 때는 '원령 공주'로 대사를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10]

1990년대에는 '혼령아가씨'나 '귀신낭자'로 번역된 적도 있었다. 발음이 같은 '월령공주'라는 명칭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

해외에서는 '모노노케'에 적절한 번역어를 찾는 것이 어려웠는지 번역하지 않고 원어 그대로 갖다쓰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히메'는 그런 거 없이 대부분 자국 번역을 갖다 썼다. 예를 들면 영어판 제목은 Princess Mononoke이다. 언어 특성상 원어 음역을 그대로 쓰기 어려운 중국어권에서는 魔法公主(대만, 싱가포르), 幽靈公主(중국 대륙, 홍콩, 마카오)로 번역되었다.

2. 특징

전작 붉은 돼지 이후 5년 만의 신작이며 한때 미야자키 하야오 최후의 은퇴작으로 거론되기도 했던 작품으로 구상 기간 16년, 제작 기간 3년에 제작 예산이 200억 원에 달했으며 무려 총 14만 장의 동화가 들어간 대작이다.
파일:아시타카 늑대.jpg

사실 후술하겠지만 아시타카 전기라는 제목이 될 작품이었고 실제로 작품의 내용도 아시타카 원톱 주연의 영웅적인 대서사시다. 이는 이전의 지브리가 제작하던 장르와는 다른 전쟁물, 대서사시, 고어물을 표방했기에 개봉하기 전에도 많은 관심과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초반부의 재앙신 촉수 움직임은 제작하는 데 19개월이나 걸렸으며 미야자키가 모든 걸 쏟아부어 제작했을 정도로 작품 내외적으로 정말 엄청난 공을 들인 작품이다.

일본 영화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세웠는데 1997년 7월 12일에 개봉해서 1998년 7월 12일까지 무려 1년 동안이나 상영함으로써 일본 극장가 역대 최장 기간 상영작이 되었다. 그 결과 일본 내 1420만 관객 동원이라는 전설적인 기록을 남겼다.

미국을 비롯한 서양권에서도 크게 극찬을 받으며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목록에 영화사에 남을 걸작들과 함께 나란히 이름을 올리며 단순 애니메이션을 넘어 영화사적으로도 엄청난 족적을 남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함께 지브리의 양대 최고작으로 꼽히는 명작이다.

3. 예고편

예고편

4. 시놉시스

배경은 무로마치 시대 일본. 어느 날, 총알을 맞고 죽어가며 재앙신이 된 멧돼지 나고에미시 일족의 마을을 기습했다.

주인공 아시타카가 나고를 사살하지만, 그 원한의 대가로 저주에 걸려버린다. 그 저주는 아시타카의 뼈를 파고들어 결국 죽게 만드는 저주였다. 죽을 위기에 처한 아시타카는 자신의 생명을 갉아먹는 저주를 막기 위해 여행을 떠나게 된다.

서쪽으로의 여행 중 '타타라 마을'(현재의 시마네 현에 위치)에 다다른 아시타카는 거기서 일어나는 인간과 신들의 전쟁에 끼어들게 되고 이라는 야생의 소녀를 만나게 되는데...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노노케 히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노노케 히메/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음악

7.1. 주제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もののけ姫(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OST

모노노케 히메 OST
파일:모노노케 히메 사운드트랙.jpg
음악감독: 히사이시 조
발매일: 1997. 07. 0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a0117> 트랙 곡명 러닝 타임 링크
01 アシタカせっ記 01:3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タタリ神 03:4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旅立ち 〜西へ〜 02: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呪われた力 00: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 穢土 02:5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出会い 00:5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コダマ達 0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 神の森 00:3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9 夕暮れのタタラ場 00:3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タタリ神 II 〜うばわれた山〜 00:5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エボシ御前 02: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タタラ踏む女達 〜エボシ タタラうた〜 01: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修羅 01: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東から来た少年 01: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レクイエム 02:2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生きろ 00: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シシ神の森の二人 01:3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もののけ姫 (インストゥルメンタル・ヴァージョン) 02: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レクイエム II 02: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もののけ姫 (ヴォーカル) 03: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戦いの太鼓 02: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タタラ場前の闘い 01: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呪われた力 II 02: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 レクイエム III 00:5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 敗走 01: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 タタリ神 III 01: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 死と生のアダージョ 02: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 黄泉の世界 01: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 黄泉の世界 II 01: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 死と生のアダージョ II 01: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 アシタカとサン 03:0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 もののけ姫 (ヴォーカル・エンディング) 01: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 アシタカせっ記 (エンディング) 05: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아시타카와 산 아시타카 전기
히사이시 조가 사운드트랙을 담당했으며, 음반은 1997년 7월 2일 발매되었다.

8.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76 / 100 점수 8.8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3% 관객 점수 94%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IMDb Top 250 79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Letterboxd Top 250 65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4.8 / 5.0 관람객 별점 4.4 / 5.0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0px"
[[https://www.mymovies.it/film/1997/principessamononok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max-width:calc(100%+20px); font-weight:bold"
<rowcolor=#fff>
스코어
3.75 / 5.00
비평 별점
없음 / 5.00
관객 별점
4.07 / 5.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8.2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4.3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4.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8.6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8.9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1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97.19% 별점 4.0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9303"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9303;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303|{{{#!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8.00 / 10
네티즌
9.36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8.00 / 10
네티즌
9.36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9.2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83%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7.7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1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8.67 / 10.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000><#fff,#bbb> 파일:씨네21 로고.svg ||
씨네21 7.50 / 10 별점 8.16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맥스무비 백색 로고.png ||
평점 8.22 / 10


명실상부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이자 단순한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의 위치를 넘어선 위대한 걸작이다.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작품상을 비롯해 일본 내 당대의 상이란 상은 모조리 휩쓸었고, 베를린 영화제에 초청됐으며 북미에도 진출해 크게 성공했다.

환상적인 스토리, 아름다운 영상미, 섬세한 설정, 치밀한 세계관, 매력적인 캐릭터들, 뛰어난 미장센, 현대사를 관통하는 심도 있는 주제 의식 등의 내적인 예술성은 물론 연출, 작화, 카메라 워크, 편집, 연기, 디자인, 미술, 음악, 음향, 각본, 호흡, 분량 등의 완성도까지 극찬을 받았다.

이 작품은 단순한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넘어서 일종의 문화 예술로 평가된다. 애니메이션으로서도 지금까지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함께 대중들에게 '명작 애니메이션' 하면 떠오르는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위대한 영화를 논할 때도 자주 언급되는 작품이다.

히사이시 조가 담당한 음악도 찬사를 받았는데 고대 일본의 분위기, 자연의 신비함과 장엄함, 동시에 잔혹함과 격렬함을 한껏 느낄 수 있는 신비로운 감성과 박력 넘치는 사운드가 특징이다.

모노노케 히메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여타 작품들과는 달리 대놓고 성인층을 타깃으로 굉장히 장엄하고 냉혹하고 또 날카롭게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것이다. 대중성보단 예술성과 작품 본연의 주제 의식의 표현에 집중한 작품으로 미야자키가 그동안 계속 탐구해 왔던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한 작품이지만, 묘사나 연출이 낭만주의적이었던 이전 작품들과 달리 굉장히 현실적이고 냉엄한 묘사를 보여준다. 이전에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작품인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 보이던 동화적인 구성, 전개와는 극명히 대비되는 부분이다.

이런 냉혹하고 어둡고 다소 그로테스크한 특유의 분위기가 특히 부각된 부분은 작품 전반에서 나타나는 잔인한 고어 묘사이다. 대부분 밝은 분위기이거나 적어도 심하게 성인물스러운 묘사는 거의 없던 전작들과 달리[11], 웬만한 성인 애니 뺨칠 정도로 신체 절단이나 유혈 등의 묘사가 매우 많이 등장한다. 작중 초반에 등장하는 재앙신은 생김새부터가 검붉은 촉수로 뒤덮여 있는 모습이라 굉장히 징그럽게 생겼으며, 주인공은 사무라이들의 사지를 순식간에 절단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주인공이 총에 맞아 배가 관통되거나 야생 동물들이 인간과 전쟁을 벌이는 장면에서는 피가 분수처럼 뿌려진다. 그런데도 한국에선 전체 관람가 판정을 받았다.

이 작품이 이토록 격찬을 받는 주된 이유는 절대적인 선도 절대적인 악도 없는 자연과 인간의 입체적인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과,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극을 전개하거나 마무리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 어느 쪽에도 편중되지 않는 가치 중립적인 태도로 극을 전개하며 '이해와 타협'이라는 현실적인 해결 방안으로 극을 마무리했다는 점이다. 또한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도 다방면에서 해석이 가능하여 굉장히 입체적이다. 특히 인간 사회와 야생 자연에 양립하는 캐릭터 '아시타카'의 중립적인 태도로 작품 세계의 입체성과 주제 의식에 대한 묘사를 극대화하고 완성시켰다. 절대 선을 지향하거나 절대 악을 지향하는 캐릭터, 세력은 단 하나도 없다. 자연의 신들과 인간의 관계는 서로가 적대적이지만, 반드시 모두를 위해 공존해야 할 존재들로 묘사된다. 숲을 수호하는 신들은 자연 그 자체를 수호하는 존재임과 동시에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남을 해치는 것을 서슴지 않는 잔혹한 존재이며, 인간은 생존을 위해 자연을 파괴하지만 자신들의 사회에 속한 약자들을 보살피고 사회 발전을 위해 힘쓰는 등 최대한 현실적으로 인간 세계와 야생을 묘사한 점이 돋보인다.

특히 모노노케 히메의 정신적 전작이라 볼 수 있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는 다양성을 띠는 인간과 달리 자연이 단순하고도 평면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본작에서는 자연의 존재라 할 수 있는 늑대일족의 모로, 멧돼지 일족의 옷코토누시, 성성이 등의 존재가 서로 간에도 의견 차이로 대립하는 모습을 보여 자연 또한 인간 사회와 마찬가지로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 동시에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하는 존재인 시시가미가 인간과 동물 그 어느쪽의 편도 들지 않으며 인간인 아시타카의 상처를 치유해 주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인간과 자연의 대립'이라는 전통적인 이분법적 대립 관계에서 벗어나, 인간 또한 자연에 포함된 존재로서 인간과 다른 동물들 간의 갈등과 다툼은, 본질적으로 자연 안에서 살아가는 동물들 간의 갈등과 다툼에 불과하다는 메시지를 건낸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시각은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분이기에 자연의 파괴는 곧 인간 자신들의 파괴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최대한 공존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자연주의에 대한 새로운 당위를 부여한다.

이전에 지브리의 작품을 비롯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주제를 담은 수많은 작품들이 있었지만, 동화적인 전개를 최대한 배제하고 주제 의식과 이를 통한 작품의 메시지를 뚜렷이 전달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그 결과 문화 예술과 영상 컨텐츠 역사상 한 획을 그은 걸작으로 남게 되었다.

9. 흥행

역대 일본 흥행수입 TOP 20
순위 제작국가 영화 개봉년도 분류 최종수익
<rowcolor=#000000> 1위 일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2020년 애니메이션 404.3억 엔
2위 일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년 애니메이션 316.8억 엔
3위 미국 타이타닉 1997년 실사영화 277.7억 엔
4위 미국 겨울왕국 2013년 애니메이션 255.0억 엔
5위 일본 너의 이름은. 2016년 애니메이션 251.7억 엔
6위 일본 원피스 필름 레드 2022년 애니메이션 203.3억 엔
7위 미국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001년 실사영화 203.0억 엔
8위 일본 모노노케 히메 1997년 애니메이션 201.8억 엔
9위 일본 하울의 움직이는 성 2004년 애니메이션 196.0억 엔
10위 일본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 2003년 실사영화 173.5억 엔
11위 미국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2002년 실사영화 173.0억 엔
12위 일본 더 퍼스트 슬램덩크 2022년 애니메이션 163.4억 엔
13위 미국 아바타 2009년 실사영화 159.0억 엔
14위 일본 벼랑 위의 포뇨 2008년 애니메이션 155.0억 엔
15위 일본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2024년 애니메이션 153.9억 엔
16위 일본 스즈메의 문단속 2022년 애니메이션 149.4억 엔
17위 일본 날씨의 아이 2019년 애니메이션 142.3억 엔
18위 미국, 일본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023년 애니메이션 140.2억 엔
19위 일본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2023년 애니메이션 138.3억 엔
20위 일본 극장판 주술회전 0 2021년 애니메이션 138.0억 엔

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순위 영화 감독 개봉년도 제작사 일본 배급사 최종 수익
1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소토자키 하루오 2020년 ufotable 도호
애니플렉스
$507,119,058
2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미야자키 하야오 2001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395,580,000
3위 너의 이름은. 신카이 마코토 2016년 코믹스 웨이브 필름 도호 $382,238,181
4위 스즈메의 문단속 신카이 마코토 2022년 코믹스 웨이브 필름 도호 $323,638,107
5위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미야자키 하야오 2023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294,191,249
6위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이노우에 다케히코 2022년 토에이 애니메이션 토에이 $279,426,313
7위 원피스 필름 레드 타니구치 고로 2022년 토에이 애니메이션 토에이 $246,570,000
8위 하울의 움직이는 성 미야자키 하야오 2004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237,536,126
9위 벼랑 위의 포뇨 미야자키 하야오 2008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204,826,668
10위 극장판 주술회전 0 박성후 2021년 MAPPA 도호 $196,290,952
11위 날씨의 아이 신카이 마코토 2019년 코믹스 웨이브 필름 도호 $193,715,360
12위 STAND BY ME 도라에몽 야마자키 다카시, 야기 류이치 2014년 시로구미, 로봇, 신에이 동화 도호 $183,442,714
13위 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유야마 쿠니히코 1998년 OLM 도호 $172,744,662
14위 모노노케 히메 미야자키 하야오 1997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170,005,875
15위 마루 밑 아리에티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2010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149,411,550
16위 바람이 분다 미야자키 하야오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 도호 $136,864,780
17위 극장판 포켓몬스터: 루기아의 탄생 유야마 쿠니히코 2000년 OLM 도호 $133,949,270
18위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타치카와 유즈루 2023년 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 $129,511,803
19위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나가미네 타츠야 2018년 토에이 애니메이션
20세기 폭스
인터내셔널 프로덕션
토에이 $122,747,755
20위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나가오카 치카 2019년 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 $119,875,024
21위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 타치카와 유즈루 2018년 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 $108,105,223
22위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미츠나카 스스무 2022년 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 $102,767,033
23위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나가오카 치카 2021년 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 $102,541,050
24위 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 코다마 테츠로 2022년 토에이 애니메이션 토에이 $102,500,000
25위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나가오카 치카 2024년 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 $100,567,393 }}}}}}}}}
요즘 일본 젊은이들이 본 일본 영화라면 《모노노케 히메》뿐인 걸요?[12]
- 기타노 다케시, 1998년 월간 키노와의 인터뷰 中

제작 과정의 숱한 노력에 대한 보상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엄청난 흥행 기록을 세웠다. 일본에서만 관객 1300만 명의 신기록과 흥행 수입 190억 엔을 벌어들여 당시 일본에서 영화 흥행 역대 1위를 기록했다.[13]

국내에서는 2003년 4월 놀랍게도 무삭제 전체 관람가 등급으로 개봉했다. 더빙판도 있다. 하지만 너무 늦게 개봉해서 이미 볼 사람은 다 봤기에[14] 전국 20만 관객으로 소리 없이 막을 내렸다. 그저 시기가 너무 늦어 흥행에 실패한 것.

10. 원안

10.1. 초기 구상

파일:external/img1.ak.crunchyroll.com/2a55161695ba11e178f5a1992a6586fd1394226334_full.jpg

미야자키가 1980년에 구상했던 모노노케 히메 원안은 지금의 것과는 꽤나 달랐다. 시대 배경은 비슷하지만, 토토로처럼 생긴 요괴인 모노노케가 무사를 살려준 것을 구실로 무사의 딸을 데려가는 내용. 즉, '모노노케'가 '히메'를 데려가는 내용으로 동화 미녀와 야수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지금의 결과물에서는 다소 불분명한 모노노케 히메라는 제목의 의미가 이 원안에서는 구체화되는 셈. # 여주인공인 의 이름도 무사의 셋째(三) 딸이라는 설정에서 나온 것이다. 원안은 뒤집어졌지만 여주인공의 이름은 그대로 남았다. 미야자키는 이 원안을 바탕으로 이미지 보드 작업까지는 하였으나, 결국 이 내용으로 영상화는 되지 않았다. 이미지 보드는 나중에 모아서 출판되었다.

정리하자면, 최초 기획안에 나오는 괴물 또는 요괴가 '모노노케'였고, 그 요괴와 얽히는 셋째 딸(방메 무스메)이 '히메'였다. 즉, 여주인공 산이 모노노케라는 것도 아니고, 히메는 공주가 아니라 무가 집안의 딸을 높여 부르는 아가씨 정도의 호칭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야자키 하야오가 1983년에 출판한 그림 동화 슈나의 여행과도 유사점이 있다. 슈나의 여행의 원안인 티벳의 민담 '개가 된 왕자'에도 셋째 딸이 여주인공으로 등장한다.

10.2. 아이누 신화

레타르 세타 설화

모티브가 된 이야기가 존재하는데 아이누족의 신화인 "레타르 세타 설화"가 바로 그것이다. 마찬가지로 아이누 설화를 모티브로 만든 태양의 왕자 호루스의 대모험에서부터 아이누 설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미야자키는 자료가 부족하던 레타르 세타 설화를 현대인이 쉽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로 부활시켰다. 그 결과 기록이 적었던 레타르 세타 설화는 아이누 신화 중 가장 유명한 이야기가 되었다. 일본에서 레타르 세타 설화를 다룬 작품은 모노노케 히메가 유일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작품 속 에미시족이 바로 아이누족을 모티브로 구상한 것으로, 작품 곳곳에 아이누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설정이 등장한다.
— 〈모노노케 히메〉는 일본의 신화를 기반으로 했다는 느낌이 듭니다만.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신화보다는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지음, 『반환점 : 1997~2008』, 이와나미쇼텐, 2008
본인은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그리고 선과 악이 이분법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은 미야자키 하야오가 머리맡에 두고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읽었다는 어스시 연대기의 영향이 보인다. 그는 자신의 모든 작품은 이 책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말을 작가와 만난 자리에서 고백했다.

11. 작품론

11.1. 해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はるか彼方に ねむる人よ
瞳とじればひろがる
あの日のやさしい声
永遠の光が 土にかえるように
大地の ゆるしが とどくまで
저 멀리 잠든 그대여
눈을 감으면 펼쳐지는
그날의 상냥한 목소리
영원의 빛이 땅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대지의 용서가 닿을 때까지

しんじて ともに生きること
そして 生まれるつよさ
みあげて 遠くをはなれても
心をひとつにむすぶ 愛 希望のそら
함께 믿으며 살아가는 것
그리고 태어나는 힘
보라, 먼 곳을 떠나더라도
마음을 하나로 이어주는 사랑, 희망의 하늘이라
- OST 아시타카와 산(アシタカとサン), 가사 부분 #

미야자키 하야오의 전작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와 주제, 인물, 결말이 비슷하다고 느껴지기 쉬우나 실제로는 상당히 다른 내용이다. 이는 미야자키 작품에 주요하게 등장하는 '자연과 소통하는 매개로서의 주인공'이 두 작품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나우시카'에서 미야자키 자신의 이상적 인간상을 반영한 영웅이자 인간과 자연 모두와 교감할 수 있는 완벽한 결합상을 보여주는 소녀 나우시카가 등장하는 반면, '모노노케 히메'에는 나우시카와 1대1로 대응하는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산'과 동물들의 말을 이해하는 유일한 사람인[17] 아시타카는 타타라의 마을 사람들과도 가까워지나 '숲'에 대한 그의 관점은 끝끝내 마을 사람들로부터 거부받는다.[18] 즉, 그는 인간이지만 인간을 대표하는 존재가 아니다. 작품 내에서 인간의 입장을 대변하는 존재는 숲을 파괴하려는 타타라의 사람들이며, 아시타카는 타타라에 도달한 '외부인'일 뿐이다. 이는 나우시카가 자연과 교감하면서도 지지와 신뢰를 끝까지 잃지 않은 것, 다시 말해 인간을 대표할 수 있었던 인물이라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타타라 마을은 상당히 특이한데, 을 여자가 만지면 부정을 탄다고 여겼던 시대에 여자가 제철을 담당하도록 하고 저주받은 존재로 생각되던 나병 환자들이 소외되지 않고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작은 세계이다. 고대 사회에서 남성에 비해 하등한 존재로 여겨졌던 여성들이 기죽지 않고 타타라 마을의 노동과 병역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모습, 최고 지도자가 여성인 에보시 고젠인 것을 통해 미야자키 하야오의 에코페미니즘 철학을 엿볼 수 있다. 미야자키 감독의 세계에서 자연과 대립하는 인간 집단이 이토록 긍정적으로 그려진 적은 드물다. 이를 바탕으로 타타라 마을은 감독이 허락한 '인간의 공간'이라고도 여길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이상적인 공간'이라고 볼 수는 없는데, 인간의 복지가 향상되는 그 과정은 분명히 자연에 대한 적대와 파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동물들은 인간이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고 나무를 베는 것을 증오하여 마을 단위로 촌락을 파괴해 갔다.[19] 마찬가지로 타타라 마을이 있는 자리는 원래 나고의 터전이어서 멧돼지의 공격을 받았지만, 이들은 에보시의 화승총 부대에 중상을 입고 축출되었다. 사실 나고의 맷집은 보통이 아니어서 불화살도 무용지물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그나마 에보시가 화승총 부대를 양성해서 물리친 것. 결국 나고는 뼈와 내장이 찢기는 고통을 받고 재앙신으로 변했으며, 에미시가 있는 곳까지 도달해 아시타카를 공격한다. 아시타카에 씐 저주의 원흉은 에보시에게 있는 것이다. 그렇게 자연과 인간 모두는 서로의 삶을 위해 대립했던 것이다.

또한 나우시카에서 '오무'와 '부해'가 대자연의 섭리와 인간과 대립하는 자연의 구성물을 동시에 상징했던 것과는 달리, 모노노케 히메에서는 이러한 역할이 여러 캐릭터에게 분담되어 있다. 산은 아시타카와 비슷하게 숲의 세계에 속해있지만 이들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인간도 들개도 될 수 없는 그 애는 가엽고도 사랑스러운 내 딸이다!"라는 모로의 대사에서 잘 드러나듯, 그녀는 숲에 편입되어 있지만 인간이기 때문에 숲에서 거부받는 인물이다.[20] 작중에서 숲을 대변하는 캐릭터는 모로와 옷코토누시를 비롯한 숲속의 모노노케들이다.

시시가미역시 숲을 대변하지 않는다. 그는 멧돼지 일족의 지도자 옷코토누시의 절망에도 귀 기울이지 않는다. 사슴신은 목이 잘리고 폭주하기 전까지는 단 한 차례도 인간들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 사슴신은 다만 생을 거두고 부여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러한 점에서 사슴신은 "자연" 이상의 범주인 "대자연의 섭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존재이다. 작품의 결말에서 이것은 더 확실해진다.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 죽음에서도 그는 다시 숲을 부활시키고, 아시타카는 "시시가미는 죽지 않아, 생명 그 자체니까."라는 말을 한다. 이는 대자연의 중립성과 자정력을 상징한다.

모노노케 히메에는 나우시카와 달리 절대 선도 절대 악도 없다. 오무라는 초월적 존재로 표상되는 나우시카의 자연과 달리 모노노케 히메의 자연은 성성이와 멧돼지들의 모습에서 나타나듯 배타적이고 잔혹하며 자신의 생존을 위해 냉정한 행위도 서슴지 않을 수 있는 존재이다. 또한 자연을 파괴하는 인간들의 행위는 최종적으로 숲 전체의 재앙으로 돌아오기는 하지만, 그 파괴 행위의 결과물이 남녀가 평등하고 나환자들이 보호받는 이상적인 공동체의 건설이라는 점에서 이것을 무턱대고 악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다[21].

이런 점에서 모노노케 히메에서 보여주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주제 의식은 나우시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며,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영화 속 인물들에 대해 어떠한 판단을 내릴지는 관객의 가치 판단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분노한 들과 인간들의 싸움 속에서 행복한 결말은 있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증오와 살해 속에서도 살아갈 이유는 찾을 수 있습니다.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만남은 존재합니다. 우리는 더 소중한 것들을 위해서, 증오를 그립니다. 우리는 자유를 위해서, 저주를 그립니다. 저희가 그린 것은 소년소녀를 이해하고, 소녀가 소년에게 마음을 열어가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에 소녀는 소년에게 "아시타카는 좋아해. 하지만 인간은 용서할 수 없어."라고 말하죠. 그럼에도 소년은 웃으며 말합니다. "그래도 좋아. 나와 함께 살아가자."
- 미야자키 하야오

싸움을 어떻게든 막으려고 노력한 아시타카에 의해서 산은 인간과 조금 더 가까워지게 되고, 에보시도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고 더 좋은 마을을 만들겠다고 다짐한다. 이처럼 모노노케 히메는 극적인 해결이 아닌 현실적인 화법으로 보다 나은 세상으로의 한 걸음을 강조한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이상향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작은 노력과 변화들이 쌓이며 변해가는 것으로. 산과 에보시의 변화가 바로 이러한 미야자키 감독의 이데올로기를 상징하는 것이다.

11.2. 후일담

いえ、彼らはずっと良い関係を続けていくだろうと思います。それから、サンが生きていくために、アシタカはいろいろな努力をするだろうと思います。同時に、タタラ場の人々が生きていくためにも、大変な努力を払うだろうと。そのために、アシタカは引き裂かれて、傷だらけになるだろうと思います。それでも彼は、それを曲げずに生きていこうと思って、両方を大切にしようと思い続けるだろう。だから、彼の生き方は、私たちが今の時代を生きていく生き方に、共通するんだと思うんです。
(아뇨. 그들은 앞으로도 좋은 관계를 계속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산이 살아가기 위해, 아시타카는 여러가지 노력을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타타라 마을의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고요. 이를 위해 아시타카는 찢기고, 상처투성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그는 그것을 굴복하지 않고 앞으로도 모두를 소중히 여길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가 살아가는 방식은 우리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삶에 공통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SA 인터뷰 #

아시타카의 후일담에 대해서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인터뷰에서 직접 언급했다. 미국의 인터뷰에서 질문자가 왜 아시타카와 산이 결혼하지 않았냐는 질문의 대답이다.
파일:0204.jpg

그림 콘티에 산이 아시타카의 프러포즈를 받아들인다는 서술은 있다.[22] 프러포즈가 간접적인 표현으로 묘사된 부분에 대해서는 나쓰메 소세키의 일화를 참고하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될 것이다. 또한 미야자키는 NHK 「프로페셔널(プロフェッショナル)」 특집에서 둘의 관계를 가요이콘(通い婚)이라 했는데, 이는 결혼한 부부가 함께 살지 못하고 남편이 아내가 있는 곳으로 왕래하는 혼인 형태다. 링크

정확한 결말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아시타카와 산의 인연은 계속되며 이들은 고난 속에서도 함께 살아간다는 것만큼은 확실하다.

12. 기타


[1]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공식통계 누적관객수[2] 해당 캐치프레이즈를 제작한 사람은 이토이 시게사토. 본작이 상영을 시작한 지 일주일 뒤에 개봉한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은 정반대로 "모두 다 죽어버리면 좋을 텐데"라는 카피를 내세워 화제가 되었다.[A] 𦻙記[A] 𦻙記[5] 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은 せつ라 읽는다고 하여 파일:アシタカせっ記のせん.svg記의 독음은 せっき가 된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대만의 표준 한자 집합에 이 한자가 존재한다고 하는데, 聶의 오자이거나 대용 표기로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유니코드 CJK Unified Ideographs Extension B에 U+26ED9라는 코드가 할당되어 있어 입력하는 것은 가능하다. 일본에는 없는 한자다 보니 유니코드를 쓰지 않는 환경을 배려해 일본어 독음이 같은 聶으로 표기하기도 한다.[A] 𦻙記[A] 𦻙記[8] 저작권 개념이 희박하던 90년대엔 소극장에서 자체적으로 구한 작품들로 꾸린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상영 주간을 갖는 것이 흔했고, PC통신의 동호회나 대학교의 영화 동아리에서 소극장을 빌려 상영 주간을 갖기도 했다. 소극장까지 가지 않더라도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갖고 상영회를 갖는 문화 공간도 많았다.[9] 모노노케에는 위의 설명처럼 인간이 아닌 것, 요괴나 영령 등의 의미도 갖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들개신 모로의 수양딸이기도 한 산은 모노노케 히메란 의미에도 부합한다. 요괴의 딸, 요괴 공주 등의 말로도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여러 의미들을 간과할 수 없기에, 의미가 한정되는 원령 공주가 아닌, 모든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모노노케 히메로 정한 듯 하다.[10] 그들이 산을 바라보는 관점은 산을 진짜 들개가 낳은 딸로 인식한다기보단, 들개들에게 혼을 빼앗겨서 저러는 거라는 가련한 취급 한다. 다시 말해, 뭐에 씐 여자애로 보는 것이다.[11] 그나마 폭력적인 작품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정도뿐이다. 여기서도 캐릭터들이 총칼에 맞아 피를 흘리긴 한다.[12] 왜 그렇게 생각하냐는 한국 기자의 질문에는 "일본 영화를 무시하니까요."라고 답했다.[13] 이 기록은 1997년 12월에 일본에서 타이타닉이 개봉하면서 깨진다. 이후 일본 애니 글로벌 흥행 부문에서도 1억이 아닌 1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에 뮤츠의 역습으로 인해 깨지게 된다.[14] 90년대 후반만 해도 대학가 상영도 엄청 해줬다. 거기다가 그 인기의 여파로 대원씨아이에서 구버전 애니 코믹스 발매도 하였다.[15] 영어 더빙판에서는 wolf라고 부른다.[16] 그런데 애초에 개는 늑대와 같은 종이다. 개와 늑대는 교배하면 번식 가능한 자손이 태어난다. 늑대를 데려다가 인간이 길들인 것이 바로 개다. 많은 사람들이 개와 늑대가 같은 생물이라는 것을 모를 뿐. 따라서 야생 들개와 늑대는 애초에 구분이 안 되는 것이고, 등장하는 동물이 늑대냐 들개냐는 논의는 의미가 없다. 영어에서 울프로 번역된 이유도 그 때문이다.[17] 산과 다른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은 단 하나도 없다. 아시타카 이외의 사람과는 단 한 차례의 대화도 나오지 않으며, 최후반부에 지코보를 정면으로 노려보면서 하는 대사는 있지만 맥락상 아시타카에게 하는 말이다. 동물들도 마찬가지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지 않는다. 초반부 나고가 아시타카에게 당해서 죽기 직전에 에미시족의 점성술사 히이에게 말하는 장면은 있지만, 대화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최후의 단말마였다.[18] 마을의 생활상에 관심을 보이면서도 그는 마을 내부의 '숲'에 대한 감정을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 결과 마을 사람들은 산을 지키려는 그에게 결국 총을 겨누고, 고의는 아니지만 발포되어 중상을 입힌다.[19] 산도 사람들이 모로의 공격으로부터 도망치다가 갓난아이 시절 버림받은 존재다. 그리고 이 산이 마을로 쳐들어왔을 때 에보시는 우리도 숲의 짐승들한테 소중한 사람을 잃고 원한을 품은 이들이 있다고 소리친다.[20] 성성이들은 끝까지 그녀를 백안시한다. 나중에 멧돼지들도 산을 보고 숲에 인간이 왜 있냐고 나무란다. 그나마 옷코토누시는 그녀가 모로의 딸이라는 소문을 들어 알고 있었지만.[21] 성평등이야 이 영화가 개봉될 즈음에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었으니 넘어간다 쳐도, 일본에서는 나병 환자에게 강제로 불임 수술을 시키고 격리시켜 보호 시설에서 감금하던 법인 우생 보호법이 이 영화가 개봉되기 불과 1년 전인 1996년까지 있었다.[22] 결혼해 달라고 한 것은 아니지만 '함께 살아가자'는 프로포즈나 마찬가지라고 한다.[23] 목과 팔이 뜯겨 나가는 장면도 나오고 총에 맞아 몸이 뚫리는 묘사도 서슴지 않고 등장한다. 2000년대 초중반 한국의 초등학교에서 모노노케 히메를 틀어주는 경우가 많았는데, 잔인한 장면 때문에 무서워했던 학생들이 많다.[24] 근데 일본에서는 전체관람가(G)등급이다.[25] 스즈키 토시오 作 지브리의 천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