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fedbef><colcolor=#000> 미와 아키히로 [ruby(美輪, ruby=みわ)][ruby(明宏, ruby=あきひろ)] | Akihiro Miwa | |
| <nopad> | |
| 본명 | [ruby(丸山, ruby=まるやま)][ruby(明宏, ruby=あきひろ)] (마루야마 아키히로, Akihiro Maruyama) |
| 출생 | 1935년 5월 15일 ([age(1935-05-15)]세) |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
| 국적 |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배우, 연출가, 방송인, 성우, 작가 |
| 장르 | 샹송 |
| 활동 | 1952년 – 현재 |
| 신체 | 161cm |
| 학력 | 카이세이 중학교 (졸업) 구니타치 음악대학 부속고등학교[1] (중퇴) |
| 소속사 | 오피스 미와[2] |
| 레이블 | 킹 레코드 |
| 링크 | |
1. 개요
| |
인간은 육체와 정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비타민제나 영양보조식품은 찾지만 정신을 유지하는 것에는 너무 무관심 합니다. 정신에 있어서 비타민제는 무엇인가? 그것이 바로 '문화'입니다.
저서 천성미어(天声美語) 중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연출가, 방송인, 성우, 작가.저서 천성미어(天声美語) 중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마루야마 아키히로(아명: 신고)이다. 1971년까지 본명인 마루야마 아키히로로 활동했다.
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와 아키히로/생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와 아키히로/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출연작
3.1. 연극
- 아오모리현의 곱사등이 남자 (1967, 1983)
- 모피의 마리 (1967, 1983, 1994, 1996, 2001, 2009, 2016, 2019)
- 검은 도마뱀 (1968, 1969, 1993, 1994, 1997, 2003, 2005, 2008, 2013, 2015)
- 쌍두의 독수리 (1968, 1984, 1997, 1999, 2007, 2008)
- 츠바키히메 (1968, 1969, 1998, 2004, 2012)
- 마타 하리 (1969)
- 고엽의 침상 (1978)
- 사랑의 찬가 에디트 피아프 이야기 (1979, 1981, 1996, 2000, 2006, 2011, 2014)
- 꽃가루열 (1979)
- 리처드 3세 (1980)
- 알라바르의 대전례 (1985)
- 근대 노가쿠집 아오이조·소토바코마치 (1996, 1998, 2002, 2010)
3.2. 영화
- 여자라는 것 (女であること:1958)
- 개미 거리의 마리아 (蟻の街のマリア:1958)
- 신혼열차 (新婚列車:1959)
- 사냥꾼 일기 (猟人日記:1964)
- 검은 도마뱀 (黒蜥蜴:1968)
- 흑장미의 관 (黒薔薇の館:1969)
-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 (書を捨てよ町へ出よう: 1971)
- 일본인의 배꼽 (日本人のへそ:1977)
- TAKESHIS' (2005)
3.3. TV
- 긴자의 산적 (銀座の山賊 : 1962)
- 프로 (プロ:1963)
- 플레이 걸 (プレイガール:1969)
- 유키노죠 변화 (雪之丞変化:1970)
- 비정의 라이센스 (非情のライセンス:1973)
- 풀이 타오르다 (草燃える: 1979)
- 요시츠네 (2005) - 키이치 호겐[3]
- 하나코와 앤 (2014) - 나레이션
- 목숨을 팝니다[4] (2018) - 나레이션
3.4. 성우
- 마테를링크의 파랑새: 틸틸과 미틸의 모험 여행 (1980) - 밤의 여왕
- 환마대전 (1983) - 플로이
- 모노노케 히메 (1997) - 모로
- 하울의 움직이는 성 (2004) - 황야의 마녀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2009) - 아르세우스
4. 여담
- 일본에서 영능력자로 유명하기도 하다. 스피리츄얼 카운셀링 프로인 오라의 샘[5]에서 무속인 에하라 히로유키 TOKIO의 고쿠분 타이치와 함께 방송을 진행했다. 요괴나 귀신은 실존한다고 주장하며 미즈키 시게루의 작품은 자신이 느낀 것과 비슷하다며 그의 작품을 좋아하고 홍보를 해줬으며 개인적인 교류를 가지기도 했다. 요괴워치도 미즈키 시게루의 뒤를 이어나가는 작품이라고 하며 좋아한다.
- 한 때 휴대폰 대기화면을 미와 아키히로의 사진으로 설정하면 애인이 생긴다라는 도시전설이 있었으나, 본인 스스로가 “쓸데없는 헛소리 하지 말라”며 한 방에 부정했다.
-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폭과 전쟁의 참상을 직접 겪은 인물인지라 일본의 우경화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아베 신조와 자민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먼저 전쟁터로 나가야 한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 "삶은 영혼의 수행의 과정"이라며 "자살은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절대 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수행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이 되어버린다고.
- 노년부터 머리를 샛노랗게 염색을 하기 시작했는데 왜 그러냐는 질문에 "내 전생이 피카츄라서." 라고 답변했다.
이 때문인지 사람이 CG로 보인다...
- 자신을 일본 최초의 싱어송라이터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 당대의 유명인사들과 친했다. 미시마 유키오 이외에도 에도가와 란포, 요시유키 준노스케, 세토우치 자쿠초, 오에 겐자부로, 테라야마 슈지, 타미야 지로 등과 친했다. 제28대 참의원 의장 니시오카 다케오는 중학생 시절 동창이다.
- 에디트 피아프 덕후이며, 친필 사인도 소장하고 있다.
- 2019년 2월, 뇌경색을 앓았다. 다행히도 증상은 가벼워 불과 두 달 만에 직장에 복귀했다.
- 2025년 90세 생일 영상에서는 많이 야위고 목소리의 힘이 빠진 모습을 보였다.#
4.1. 미시마 유키오와의 관계
미시마 유키오와 미와 아키히로의 첫만남에 대해 쓴 기사[6]
미시마 유키오와 연인 관계였다는 설로 퍼져있지만 정확히는 미시마가 정식으로 커밍아웃을 한 인물도 아니었고 미와 아키히로의 증언을 보면 둘은 우정적인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미시마 유키오는 본인의 커리어와 별개로 일명 미시마 사건으로 유명한 극우적 성향의 소설가인데 미와 아키히로는 이와 반대로 반자민당파인 평화주의자이기 때문에 애인이 아니라는 의견이 크다. 물론, 정치 성향이 정반대인 사람끼리 연애하는 경우는 꽤 있는 편이지만 둘이 동성 연인 관계였다는 것이 확증된적이 없다. 본래 허약한 체질에 왜소한 몸이었던 미시마 유키오의 팔뚝을 보고 미와 아키히로가 장난삼아 놀리자, 빡친 미시마가 그때 이후로 미시마 유키오는 헬스로 몸을 단련해서 근육질의 몸을 만들었고, 그 몸으로 화보 촬영을 해서 달라진 몸매를 과시하고 다녔다. 이후로도 검도나 복싱 등 다양한 스포츠를 섭렵했다. 다만 미시마 유키오가 미와에게 인간적인 호감을 가지고 그의 활동을 지지해주었던 것은 맞다.
미시마와 관련된 일화에는 재밌는 것이 많은데, 농담인지 진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미와에 대한 미시마의 플러팅이 주를 이룬다. 하루는 미시마가 "마루야마(미와 아키히로의 본명)군. 당신에게는 한 가지 결점이 있다. 그것은 나에게 반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미시마는 후카사쿠 킨지 감독의 영화 《검은 도마뱀》에 출연한 적도 있는데, 출연 동기가 '검은 도마뱀' 역으로 출연한 미와 아키히로와 키스하고 싶어서라는 이야기도 있다.
더불어 미시마는 육체와 관련된 콤플렉스가 많았기 때문에 미와 아키히로가 이를 놀릴 때마다 화를 냈었는데, 미와와 무도장에서 춤을 추다가 미와가 미시마의 어깨, 팔뚝을 만지며 "패드, 패드밖에 없네, 미시마 씨 어디 있나요??"라고 웃으며 농담을 던지자 미시마는 버락 소리치며 "파트너 교체다, 나는 가겠다." 하곤 뒤도 안 돌아보고 떠난 후 헬스클럽에서 육체미 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참고로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것은 미와 아키히로가 아직 16세 때였다고 한다.
5. 외부 링크
[1] 구니타치(国立) 라는 이름과 달리 국립학교가 아니고 사립학교이다. 일본의 국립학교는 고쿠리츠라고 읽는데 구니타치는 훈독, 고쿠리츠는 음독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일본 한자는 이렇게 읽는 방법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2] 개인 소속사다.[3] 교토 쿠라마데라에서 살며 샤나오라고 불리던 어린 시절의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히에이 산의 텐구에게서 병법을 배웠다는 전설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다. 작중에서는 추격군을 도술로 바람을 일으켜 내쫓는 등 병법가라기보다는 도사에 가까운 이미지로 등장한다.[4]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을 원작으로 드라마화했다.[5] 연예 문화 스포츠관련 인물들이 게스트로 출연하여 에하라가 오라의 색으로 성격을 알아맞추거나 전생을 알려주거나 수호령에 대해 알려주며 현재의 어려움을 헤쳐나갈 방법을 알려주기도 한다. 나름 치유계 버라이어티 방송으로, 한동안 스피리츄얼 붐의 중심에 있기도 했다. 2008년 종영. 이 방송에서 미와는 나름대로 명언을 많이 남겼는데, 한국과 중국은 일본처럼 서양 문물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지 않아서 사람들이 진중하고 예절바르지만, 일본은 서양의 슬럼 문화도 함께 받아들여 슬럼화가 진행되어 문란해졌다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물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외국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들이 매우 피상적이고 한정적임을 고려하면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무리가 있다.[6] 글을 쓴 사람은 미시마 유키오 연구가 오카야마 노리히로(岡山典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