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6 00:15:30

마스코트/정부기관 및 공기업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마스코트|마스코트]]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1. 대한민국
1.1. 지자체1.2. 정부기관 및 공기업
2. 일본3. 미국4. 필리핀5. 바티칸

1. 대한민국

이걸 참고해도 좋다. 도메인이 변경되었는데 아래 서술하는 내용을 따르게 됐다.(한국콘텐츠진흥원 내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8년부터 우리동네캐릭터대상이란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벤트에서 공공부문에 기재되어 있는 마스코트들도 존재하는데(지역은 지자체 쪽 마스코트.), 역대 수상작 캐릭터들도 확인가능.[1][2]

(해당 대회 대상수상 기관은 회차별로 국립공원공단[제1회], 울산 중구[3][제2회], 보성군/아시아문화원[제3회],[4] 용인시/대한적십자사[제4회], 진주시[제5회])

1.1. 지자체

1.2. 정부기관 및 공기업

2. 일본

3. 미국

4. 필리핀

5. 바티칸



[1] 이 쪽은 신청-예선-본선-최종선정(수상) 과정을 따르므로, 인기도가 높은 쪽은 아무래도 매년 본선에서 통과해 수상받은 16곳의 지자체 마스코트들과 16곳의 공공기관 마스코트들이 된다.(단, 신청~예선 구간은 전문가 심사가 포함된다.)[2] 예선에서 통과되지 못한 경우, 공홈에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공식 페이스북이나 인스타로 가야 할 뿐...[3] "울산큰애기" 라는 캐릭터가 대상을 받았다. 문서에 있는 '가람이'는 구 마스코트.[4] 3, 4회는 지역부문과 공공부문 대상을 별도로 뽑았다.[5] 성 고정관념을 고착시킨다는 지적을 받고 다른 캐릭터로 변경되었다.[6] 우리동네 캐릭터 1회 대상 수상[7] 마스코트가 있는 곳은 이 5군데가 전부다.[8] NEMA, 즉, 대한민국 소방청의 영어 이름(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에서 따온 것.[9] 2023년 후반에 영이 & 웅이의 디자인을 수정하면서 추가.[10] 현재 강원소방 대표 엠블럼으로 쓰이고 있다. 전 캐릭터인 범이 & 곰이가 들어간 디자인과 비교하면 바뀐 캐릭터 외에는 글자 부분만 수정되었다.[11] 우리 동네 캐릭터 4회(2021) 공공부문 우승[12] 한국을 상징하는 시아와 동북아시아를 상징하는 고니(용), 중앙아시아를 상징하는 페리(앵무새), 남아시아를 상징하는 엘리(코끼리), 동남아시아를 상징하는 키니(원숭이), 서아시아를 상징하는 칼리(자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동네 캐릭터 3회(2020) 공공부문 우승[13] 공모를 통해 선발되었다. #[14] 정확히는 산업인력공단의 투명경영인 '샘물경영' 이미지 캐릭터.[15] 2024년 초에 미리 디자인을 리뉴얼 함과 동시에 체키. 지키, 무니를 추가시켰다.[16] 2021년 겨울에 해룡이와 해린이의 디자인을 전체적으로 바꾸면서 추가.[17] 해양수산부는 부활했지만, 결국 바다랑은 부활하지 못했다. 하지만 몇몇 항구에 가보면 바다랑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18] 지금은 2세대 키미&보미로 바꿨다. 당연히 구형 병원카드에는 1세대 캐릭터가 새겨져 있다.[19] 정확히 말하면 소비자청 자체의 마스코트라기보다는 어린이 안전 이미지 캐릭터. 즉 소비자원으로 치면 소망이보다는 안심이 포지션의 캐릭터였다.[20] Electricity(전기) + Sheriff(보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