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0:29:10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레드핫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밴드의 이름을 딴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스탠드에 대한 내용은 레드 핫 칠리 페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000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
파일:the red hot chili peppers.jpg
파일:freaky styley cover.jpg
파일:the uplift mofo party plan jacket.jpg
파일:714RRxP82XL._SL1300_.jpg
파일:external/johnwelbourn.powerathletehq.com/BLOOD-SUGAR-SEX-MAGIK1.jpg

1984

1985

1987

1989

1991
파일:one hot minute jacket.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91OLmiYnIyL._SL1500_.jpg
파일:by the way jacket.jpg
파일:81lOFvmn6tL._SL1500_.jpg
파일:im with you album cover.jpg

1995

1999

2002

2006

2011
파일:the getaway album cover.jpg
파일:Unlimitedlove.png
파일:the return of dream canteen 표지.jpg

2016

2022

2022
}}}}}}}}}}}}}}}}}} ||

파일:Red-Hot-Chili-Peppers-Logo.png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이름레드 핫 칠리 페퍼스
RED HOT CHILI PEPPERS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앤소니 키디스, 힐렐 슬로박, 플리, 잭 아이언스,
클리프 마티네즈, 존 프루시안테, 채드 스미스, 조시 클링호퍼
입성 연도2012년
후보자격 연도2010년
후보선정 연도2010년, 2012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90년대 아티스트
21위

파일:Evening_Standard_logo_투명.png
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 밴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1D1D1B, #1D1D1B 20%, #1D1D1B 83.9%, #DD052B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000,#fff> 2018년 이브닝 스탠더드The 25 greatest American rock bands of all time를 발표.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너바나 비치 보이스 에어로스미스 이글스 R.E.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건즈 앤 로지스 라몬즈 플리트우드 맥 본 조비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토킹 헤즈 스틸리 댄 메탈리카 펄 잼 스트록스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더 밴드 픽시즈 벨벳 언더그라운드 버즈 블론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밴 헤일런 도어즈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앤 영 푸 파이터스 레드 핫 칠리 페퍼스
같이 보기: 영국 밴드, 미국 밴드
}}}
}}}}}} ||

파일:UCRlogo.jpg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353a3d,#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3px -1px -11px"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
<colbgcolor=#dda0dd><colcolor=#ffd700> 이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ed Hot Chilli Peppers
분야 음악
입성날짜 2022년 3월 31일
위치 6212 Hollywood Blvd. }}}}}}}}}}}}
}}} ||
<colbgcolor=#fff><colcolor=#BD0837>{{{#!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Red-Hot-Chili-Peppers-Logo.png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ed Hot Chili Peppers
}}}
파일:RHCP.png
▲ 왼쪽부터 : 존 프루시안테, 앤서니 키디스, 플리, 채드 스미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사진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redhotchilipeppers1984.1.jpg
결성 당시 라인업
▲ 왼쪽부터 : 플리, 힐렐 슬로박, 잭 아이언스, 앤서니 키디스
파일:rhcp90s.jpg
1990년의 라인업
파일:rhcp2.jpg
휴식기 후 복귀 라인업
}}}}}}}}} ||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결성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데뷔 1984년 8월 10일
데뷔 싱글 Get Up and Jump
데뷔 앨범
활동 기간 1983년 - 현재
멤버 앤서니 키디스 (보컬)
플리 (베이스 기타)
채드 스미스 (드럼)
존 프루시안테 (기타)
전 멤버
[ 펼치기 · 접기 ]
힐렐 슬로박(기타)[1]
잭 셔먼† (기타)[2]
데이브 나바로 (기타)
드웨인 맥나이트 (기타)
애릭 마셜 (기타)
제시 토바이어스 (기타)
조쉬 클링호퍼 (기타)
잭 아이언스 (드럼)
클리프 마르티네스 (드럼)
D. H. 펠리그로† (드럼)[3]
장르 얼터너티브 록, 훵크 록, 랩 록
레이블 캐피톨 레코즈 · EMI · Enigma · 워너 브라더스
링크 파일:Red-Hot-Chili-Peppers-Logo.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
2.1. 이력2.2. 특징2.3. 기타
3. 멤버
3.1. 현재 멤버3.2. 과거 멤버
4. 발매 앨범

[clearfix]

1. 개요

파일:rhcp1.jpg
미국펑크 록 음악(Funk Rock)[4]밴드. 줄여서 RHCP.[5]

얼터너티브 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전설적인 아티스트이자 8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밴드다.

2. 상세

2.1. 이력

1983년 캘리포니아에서 보컬 앤소니 키디스와 플리, 힐렐 슬로박(הלל סלובק, Hillel Slovak[6]), 잭 아이언스가 처음 결성했다. 1984년 셀프 타이틀 앨범 <The Red Hot Chili Peppers>로 데뷔하였다. 이듬해인 1985년 P-Funk의 전설 조지 클린턴이 프로듀싱을 맡은 <Freaky Styley>로 인디씬에서 명성을 얻었다.[7] 이후 1987년 3집 <The Uplift Mofo Party Plan>을 발표하고 투어를 하던 중 1988년 기타리스트 힐렐 슬로박이 헤로인 과다복용으로 사망하는 일이 벌어진다. 그의 사망 직후 힐렐과 가장 친했던 멤버인 잭 아이언스가 힐렐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과 헤로인 금단증상으로 정신병원으로 보내진 후[8][9] 남은 멤버인 앤서니와 플리는 공개 오디션을 개최하여 기타에 당시 18살이었던 존 프루시안테를,[10] 드럼에 채드 스미스를 영입하고 1989년 4집 앨범 <Mother's Milk>를 낸다.

이 앨범으로 메이저에 조금씩 이름을 알리다가 1991년 마침내 포텐셜을 터트린 <Blood Sugar Sex Magik> 앨범으로 funk rock 분야의 정점에 올라선다. 앞으로 장기 협업을 이어 나가게 될 릭 루빈의 프로듀싱을 받았으며 외설적인 가사와 쫀득쫀득한 사운드가 결합된 이 앨범은 레드핫 최고의 명반 중 하나이자 90년대 명반 중 하나로 손꼽힌다.

하지만 단번에 메이저로 올라선 것에 회의를 느낀 존 프루시안테가 1992년 밴드에서 탈퇴해버린다.[11]

이후 밴드는 제인스 어딕션 출신의 데이브 나바로를 영입해 활동을 계속한다. 하지만 데이브 나바로와의 불화[12]로 밴드는 얼마가지 못하고 그의 탈퇴와 함께 다시 팀은 표류했다. 밴드의 이러한 막장 상황을 보다 못한 보컬 앤서니 키디스는 마약에 절어있던 존 프루시안테에게 다시 기타를 잡도록 설득하고[13]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밴드는 1999년을 강타한 앨범인 <Californication>을 발매한다. 전작의 그루브한 면은 줄었지만, 좋은 넘버들이 많았던 이 앨범이 크게 히트하면서 다시 정상으로 돌아선다.

이 시기 우드스탁 1999 공연에서 플리가 몇 만 명이나 되는 관중 앞에서 말 그대로 맨 몸에 베이스 하나 걸치고 연주한 것은 몹시 유명한 에피소드다.[14] 이후로도 많은 히트를 기록했다. 사실 이말고도 여러 정신나간 퍼포먼스를 자주 했다. 벌거벗고 거기다 양말만 끼우고 공연한다든가[15] 그 유명한 비틀즈Abbey Road패러디앨범 자켓에서도 나타난다. 머리에 대형 전구를 뒤집어 써 혹여 전구가 떨어질까 조심조심 공연했던 1994년 우드스탁 공연도 인상적이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By the Way'와 'Stadium Arcadium'이 잇달아 흥행하면서 상업적으로 최고의 시기를 맞이했다. 특히 'Stadium Arcadium' 앨범은 200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5개의 상을 RHCP에게 선사했다.

2008년에는 2년간의 휴식기(Hiatus)를 선언하면서 각자가 자기 나름대로의 재충전을 했다. 앤서니는 아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고, 플리는 음악 공부를 하면서 라디오헤드톰 요크와 함께 아톰 포 피스(Atom For Peace)[16]라는 실험적인 밴드를 결성하여 같이 활동했다.[17] 존은 틈틈히 해왔던 솔로 활동을 계속 하였다. 채드 역시 "치킨풋"이라는 하드 록 성향의 밴드를 결성하는 등 다른 뮤지션들과 협업을 진행하였다.[18]

하지만 2009년 12월 존 프루시안테는 두 번째 탈퇴 선언을 했다. 이 때 존은 "이번의 탈퇴는 밴드 내의 문제가 있어 생긴 것이 아니다. 멤버들은 나를 지지해줬고 이해해줬다. 하지만 나는 이제 (밴드의 지향점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라고 말하면서 탈퇴 사유를 말했다.

2010년 가을에 복귀해 라이브 공연을 돌며 다음 앨범을 준비중이다. 다만 존 프루시안테가 탈퇴하여 기타리스트는 이전 투어때 백킹 기타로 참여한 1979년생의 조쉬 클링호퍼(Josh Klinghoffer)[19]가 대신했다.

그러나 확실히 프루시안테가 빠진 RHCP는 뭔가가 빠졌다는 느낌인데, 앤소니의 독특한 보컬이나 방방 뛰는 플리에 비해 존재감이 없는 것 같지만 RHCP의 대표적인 곡들의 상징적인 특징은 대부분 기타 리프였다. 이 기타 리프를 만들고 연주했던 존의 부재는 단순히 RHCP에서 오래 활동했던 기타리스트의 부재 그 이상의 의미로서 조시 클링호퍼가 이 부재를 메워주지 못하면서 무대가 확실하게 변했다. 위 언급한 기타 리프도 그렇지만 레드핫의 또다른 전매특허가 바로 앤소니의 보컬 위에 얹어주는 프루시안테의 코러스인데[20] 기타야 스타일 문제라 쳐도 이건 어쩔 수가 없기 때문이다.[21][22] 수 년이 지난 지금에도 많은 팬들은 '조쉬는 좋은 기타리스트다. 하지만 그는 존이 아니다.'라며 존의 부재를 아쉬워하고 있다.

다만 조쉬라는 기타리스트를 딱 떼놓고 봤을 때는 아직까지 음악성에서 레드핫과의 융합이 덜 되었다 정도일 뿐이지 실력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니다. 어느 밴드가 되었든 오랜 시간을 함께 하던 멤버가 교체되면 이전 멤버가 남겨놓은 흔적과 밴드의 성향이 새로운 멤버와 제대로 어우러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게다가 Dot Hacker라는 실험성 짙은 밴드에서 작곡과 보컬, 기타를 맡고 있으니 단순 세션으로서의 능력 뿐 아니라 자신의 음악관도 뚜렷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조쉬도 RHCP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면서 골수팬들에게도 인정받기 시작했었다.

2012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하지만 행사에 데이브 나바로와 존 프루시안테가 불참해서 아쉬움을 남겼다. 나바로야 플리-앤서니와 안 좋게 깨졌으니 이해가 되지만 존의 경우 멤버들의 초청도 모두 거절하였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올드 팬들을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2014년 2월 2일 슈퍼볼 공연에서 브루노 마스와 함께 공연했...으나 공연을 핸드싱크로 진행해 논란이 있었다. 결국 플리가 사과를 하며 사건은 끝났다.

2016년 6월 17일, 새 앨범 ‘The Getaway’가 발매되었다. 데뷔한 지 40년 가까이 되는 밴드의 기존 히트곡이 아닌 신곡 뮤직비디오임에도 4억 가량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단순히 옛날에 잘나갔던 전설이 아닌 젊은 층에게도 사랑받는 현재 진행형 밴드임을 입증했다. 앨범은 프루시안테 체제에서의 미니멀한 악기 구성과는 다소 방향을 달리하며 다양한 악기들과 일렉트로니카적 요소까지 곡에 포함시키는 등, 기존의 사운드를 그리워하는 팬들에게는 다소 아쉬움이 있을지라도 원로 밴드의 새로운 도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23]

2016년 7월 지산밸리록페스티벌 1차 라인업이 공개되면서 내한이 확정되었다! 공식 사이트

2019년 12월 15일, 플리의 인스타그램에 조쉬 클링호퍼가 하차하고 존 프루시안테가 다시 복귀했음을 알렸다.

2020년 2월 8일, 베벌리힐스에서 소규모의 공연을 가졌다.존 프루시안테가 복귀하고 첫 공연인 셈.[24]

2021년 인터뷰에서 존 프루시안테 2번째 복귀 후 처음으로 내는 새로운 정규 앨범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2022년 1월 29일, 티저 영상이 공식 계정들에 올라왔다.

2022년 6월부터 월드투어를 가진다는 소식이 공식유튜브에 올라오며 복귀를 알렸다. 존 프루시안테를 빼면 멤버들이 이제 거의 환갑 가까이 됐는데도 아직 쌩쌩해 보인다.

2022년 2월 3일 Black Summer가 선공개되었다.

2022년 3월 31일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였다.

2022년 4월 1일 새 앨범 Unlimited Love가 발매되었다.

2022년 8월 19일 Tippa My Tongue가 선공개되었다.

2022년 10월 14일 새 앨범 Return Of The Dream Canteen가 발매되었다.

2024년 8월 11일 2024 파리 올림픽 폐회식에서 공연했다. #

2.2. 특징

미국 최고의 펑크 락 (Funk Rock) 밴드로 꼽힌다. 기본적인 스타일은 펑크에 기반한 얼터너티브 록이다. 80년대에는 순수 펑크 록만 했으나 90년대부터 얼터너티브 록의 요소를 대폭 받아들였다. 8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존속한 장수 밴드이다.

멤버들의 평균 연주 실력이 빼어나기로 정평이 나 있다. 존 프루시안테의 경우, BBC에서 '지난 30년간의 최고의 기타리스트'로 선정되었을 정도이고, 플리는 락 베이시스트 중에서 손에 꼽히는 실력자이다. 락 베이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플리를 모를 수가 없고, 특히 공격적이면서 그루브한 슬랩으로 유명하다.[25] 채드 스미스도 펑크 락 드러머 중에서 탑에 꼽히는 실력자이다.

이제는 전 멤버가 된 조쉬 클링호퍼 역시 훌륭한 기타리스트이나, 아무래도 존 프루시안테 쪽이 더 선호된다. 존의 인상적인 기타 리프들, 거기에 걸맞은 소울 충만한 연주모습이 기타키드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으로 여겨질 법도 하다.

이들이 음악계에 미친 영향은 지대한데, 수많은 밴드들이 직ㆍ간접적으로 스타일이나 가사에서 언급할 정도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는 흑인 음악 외에도 갱 오브 포미니트맨 같은 밴드들에게도 영향을 많이 받았다. 플리가 가지고 있는 펜더의 60년대 재즈 베이스에도 미니트맨의 보컬 얼굴이 붙어 있다.

이들의 곡들 상당수의 가사는 멤버 본인들의 이야기들이다. 자신의 과거 이야기(아무래도 작사를 담당하는 보컬 앤서니의 이야기가 많다) 혹은, 지인에 관한 이야기를 가사로 사용하는데, 미국인들도 가사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곡은 자서전이나 잡지 인터뷰를 통해서 의미를 설명해주고, 따로 가사집을 발매하기도 한다.

1999년 이후로 뮤직비디오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요소들을 집어넣기도 했다. Californication에서는 영상 구성을 비디오게임과 같이 그려냈고, Dani California에서는 멤버 전원이 직접 락의 역사를 수놓은 굵직한 밴드들로 분장했으며[26] Can't stop에서는 Erwin Wurm의 One Minute Sculptures를 흉내내는 등이다. 물론 Californicaiton 이전에도 그들의 똘기 넘치는 뮤직비디오는 많이 있다...[27]

2.3. 기타

}}} ||
}}} ||

3. 멤버

3.1. 현재 멤버

3.2. 과거 멤버

4. 발매 앨범


[1] 헤로인 중독으로 1988년 6월 25일 사망.[2] 심장마비로 2020년 8월 18일 사망.[3]데드 케네디스 멤버. 2022년 10월 28일 사망.[4] 후술하겠지만 사실 펑키한 사운드를 바탕으로 하드 락, 펑크, 얼터너티브 락 등등 많은 실험을 했던 밴드이기 때문에 딱히 어느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만 기본적으로 펑키함이 베이스가 되는 사운드이기 때문에 펑크 록으로 분류한다.[5] 한국은 레드핫 또는 레핫칠, 일본은 レッチリ(렛치리) 라고 한다.[6] 이스라엘 하이파 시 출신인 유대계 미국인이다.[7] 하지만 멤버들은 너무 펑키한 사운드로만 채워진 앨범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8] 중증의 헤로인 중독자였던 다른 멤버들 또한 힐렐의 사망 이후 충격을 받아 5년동안 마약을 끊었다고 한다.[9] 다행히도 그뒤로 영영 폐인이 되어버린 건 아니었는지, RHCP 밖에서도 드러머 활동을 이어갔고, 펄 잼 드러머로도 잠깐 뛰었던 경력도 있다.[10] 너무 어려서 영입할까 말까 고민했다고...[11] 일본에서의 콘서트 직후 바로 사라졌다. 프루시안테는 공연 직후 자주 앤서니에게 "우린 너무 유명해졌어. 난 이 정도의 명성은 원하지 않았다고. 나는 2년 전에 (그러니까 메이저에서 주목받기 이전의 시절) 클럽 같은 곳에서 연주했던 시절이 좋았어."라고 따졌던 적이 많았다고 한다. 앤서니와 플리에게 "형들이 원하는 밴드의 미래가 이런 거였냐"며 따진 적도 많았다고...[12] 빠듯한 투어 일정을 견디지 못했다는 설, 양말 꽂는 미친 퍼포먼스를 싫어했다는 설(첫 공연이 전구공연이엇는데 나바로의 여자친구와 그 어머니가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 뒤 2번째 공연에 여자친구의 친척이 30명 가까이 왔는데 그게 하필 양말 공연이었다고) 등이 있다. 하지만 가장 그럴듯한 이유는 나바로의 헤로인 중독과 그와 밴드 사이의 음악 견해 차이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존 프루시안테가 당시 유행하던 메탈의 날카로운 톤을 배제하고 보다 감성적인 톤과 즉흥연주를 특기로 하는 기타리스트였다면, (Mother's Milk앨범에 수록된 Stone Cold Bush라는 곡을 녹음하던 중 프로듀서인 마이클 베인혼이 메탈의 날카로운 톤을 요구하자 빡쳐서 녹음실을 박차고 나와 잠적한 일화도 있다.) 데이빗 나바로는 메탈의 날카롭고 빈틈 없는 기타톤에 다양한 형식의 연주를 접목시키는 것을 특기로 하는 기타리스트이기 때문이다.[13] 마약 산다고 기타도 다 팔아치우고 얼굴도 엉망이 돼서 성형까지 시키고(정확히 말하자면 얼굴 통째로 뜯어고친 게 아니고, 작살난 턱 교정이랑 부러진 코 수술.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94년도의 존 프루시안테 단독 인터뷰를 보면 얼마나 망가졌는지 알 수 있다.) 앤서니가 Fender사의 62 스트랫을 사주었다.[14] 우드스탁 '99 DVD에 수록된 인터뷰: "우리가... (홀딱) 벗고 나와서 연주하면 이목이 집중되고 그럴까요?" "글쎄요? 지금 여기에도 (상반신을) 벗은 사람이 꽤 많으니까 그렇게 주의를 끌진 못할 것 같은데요." 이 인터뷰 후 플리가 홀딱 벗고 나와서 Fire를 연주하는 영상이 이어진다. 오오 플리신...[15] 이는 나중에 기타 항목에 더 자세히 나와있다.[16] 톰 요크의 솔로 앨범인 The Eraser에 수록된 동명의 곡에서 따왔다.[17] 후에 2013년엔 AMOK라는 앨범을 출시했다. 전반적으로 일렉트로니카가 주가 되는 앨범이다. 라디오헤드 후기 음악이 취향에 맞는다면 추천.[18] 기타에 조 새트리아니, 보컬과 베이스에는 각각 밴 헤일런새미 헤이거마이클 앤소니가 있는 슈퍼밴드였다.[19] 레드핫의 투어에도 함께하였으며 존 프루시안테의 솔로 앨범 작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20] Can't Stop, Charile, Funky Monks 등 여러 노래에서의 코러스 부분에서 진가를 발휘한다.[21] 실제로 투어에 세션으로 참가했을 당시에도 삑살을 내기도 했으며 공연 중간중간 팬 서비스 차원에서 노래를 할 때도 엄청난 삑살이 난무한다. 최근 들어서는 점점 나아지는 것 같....기도?[22] 당연한 것이지만 존과 조쉬의 평상시 목소리 톤도 다르다. 이 덕분에 조쉬는 존 보다 조금 더 여성스러운 목소리를 내는데 이것이 오래전 부터 레드핫 노래를 들어왔던 팬들은 이질감을 느낀 것이다.[23] 이 앨범에서는 가장 먼저 공개된 Dark Necessities에서도 잘 나타나듯 건반 악기가 사운드 구성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존 프루시안테와 함께한 BSSM이나 Californication의 기타-베이스-드럼의 미니멀힌 구성을 생각해보면 이는 밴드 정체성 차원의 큰 변화라 볼 수 있다.[24] 레드핫의 전 기타리스트 데이브 나바로가 함께하였다![25] 앵간한 RHCP의 히트곡에는 플리의 슬랩이 필수 요소이다. Dark Necessities, Can't Stop, Aeroplane 같은 곡이 그렇다. 하지만, One Hot Minute앨범의 Walkabout, Shallow be thy Game, Transending이나, I'm With you 앨범의 The Adventures of Rain Dance Maggie, Factory of Faith, Look Around 같은 곡들을 들어보면 핑거 피킹하는 리듬감도 엄청나다.[26] 엘비스 프레슬리로 시작해서 비틀즈, 지미 헨드릭스, 팔리아먼트-펑카델릭, 데이비드 보위, 섹스 피스톨즈, 미스피츠, 키스, 너바나를 거쳐 마지막 코러스에서는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본인들로 마무리. 유튜브에 찾아보면 메이킹 필름도 있다.[27] 사막에서 온몸에 금색 페인트칠을 하고 부르는 Give it away 뮤비 등...[28] 1999년 우드스탁땐 플리는 아예 알몸이었다.[29] 앞의 이력 항목에도 언급된 비틀즈의 Abbey Road를 패러디한 사진도 보인다.[30] 영상에 잠깐 백스테이지에서 박수치며 웃는 여성은 당시 존의 여친이었던 밀라 요보비치이다.[31] 영문 위키피디아의 검색 결과이다.[32] 아마 꽤 히트한 미드인 캘리포니케이션이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동명곡을 오프닝 등으로 사용하기를 원했으나 거절한 일이 어쩌다보니 한국에서는 이렇게 알려지게 된 발단인 듯 하다.[33] 데스노트1에는 Dani California , 2:라스트네임에는 Snow 라는 곡이 사용되었다.[34] 조쉬의 테크 같은 경우 특유의 호탕한 웃음소리, 유머감각, 친절한 설명으로 평이 매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