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3:08:09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비국가 올림픽 선수단
{{{#!wiki style="color:#000,#fff;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 화이트.svg 2024 파리 올림픽 참가 선수단
[[대만 올림픽 대표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
(사실상 대만)
(1984년 동계 올림픽 ~ 현재)
[[난민 올림픽 선수단|
파일:오륜기.svg
]]
난민 올림픽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 현재)
[[개인 중립 선수단|
파일:Individual_Neutral_Athletes_at_the_2024_Summer_Olympics_Flag.svg
]]
개인 중립 선수단
(사실상 러시아 · 벨라루스)
(2024년 하계 올림픽 ~ 현재)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3> 역대 비국가 올림픽 선수단 ||
파일:오륜기.svg

독립 선수단
(사실상 동티모르)
(2000년 하계 올림픽)
파일:오륜기.svg

독립 선수단
(사실상 인도)
(2014년 동계 올림픽)
파일:오륜기.svg

독립 선수단
(사실상 쿠웨이트)
(2016년 하계 올림픽)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파일:오륜기.svg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
(사실상 러시아)
(2018년 동계 올림픽)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인 디아스포라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러시아 연방보안국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018)
Olympic Athlete from Russia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2020~2022)
Russian Olympic Committee
파일:오륜기.svg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rowcolor=#000,#fff>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1. 개요2. 원인3. 제한
3.1. 2018 평창: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
3.1.1.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NPA)
3.2. 2020 도쿄, 2022 베이징: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3.2.1.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RPC)
3.3. 난민 올림픽 선수단과의 차이3.4. 청소년올림픽 미해당
4. 참가 대회5. 역대 상징6. 유사 사례7.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08macur-master768.jpg
러시아 출신 쇼트트랙 선수들의 모습[1]
중립 선수 자격[2]으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을 가리킨다. 이 선수단은 러시아도핑 스캔들로 출전 금지 처분을 받은 관계로 러시아 국기국가를 사용하지 못한다.

공식 표기는 OAR 또는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 또는 Olympic Athlete from Russia이지만, 방송에서는 편의상 러시아 선수단, 또는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불러도 길기 때문에 경기 중에는 그냥 러시아라고 말해 버리는 중계진도 많다. 국내 방송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OAR(러시아) 등으로 표기되었다.

2020 도쿄 올림픽부터는 제재가 다소 완화되어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ussian Olympic Committe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ROC라고 표기하며, 국내 방송에서는 ROC(러시아)라고 표기한다.

2. 원인

2016년 러시아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에 대한 IOC의 징계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다만 도핑 검사에 통과한 러시아 선수들은 국가 소속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단,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선수들은 자국 국기와 국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OAR)"이라는 중립 선수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본래 IOC는 러시아가 세계 반도핑 기준을 준수하고 벌금 1,500만 달러를 납부하면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징계를 해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평창 동계 올림픽 때 컬링 남녀혼성과 여자 봅슬레이에서 러시아 선수들이 도핑 양성 반응을 보이자, 징계 해제를 대회 이후로 연기했다.

이후 올림픽이 끝나고 2월 28일에 러시아에 대한 IOC의 징계가 3개월 만에 해제되었다.

평창 패럴림픽에는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Neutral Paralympic Athletes, NPA)라는 이름으로 참가했으며, 개회식에서는 '중립'을 기준으로 중국 바로 뒤에 입장했다. 이는 IOC보다 엄격한 제재에 해당한다. OAR에는 최소한 "러시아" 출신이라는 표현이라도 들어갔지만, 패럴림픽에서는 얄짤없이 중립을 강조했고 나라 이름은 일절 빼버렸기 때문이다. 심지어 IOC가 올림픽 이후 러시아에 대한 징계를 해제했지만 IPC는 그런 것도 없었다.

2020년 12월,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국제스포츠대회 출전 금지 조치와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의 판결로 인해 2020 도쿄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등 2022년 12월 16일까지 또다시 러시아 국가로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시즌 도중 카밀라 발리예바 도핑 적발 사건이 터지면서, 징계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생겼는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끝나자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시작 전에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일으키는 바람에 IOC가 이례적으로 분노를 드러낸 상태라 영구 징계로 갈 가능성까지 나온 상태이다.

결국 2022년 3월 1일, IOC는 러시아와 벨라루스를 퇴출시켰다.

3. 제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OAR)은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출전 금지 제재를 받아 생성된 만큼, 일반 참가국들 그리고 난민 올림픽 선수단과 다른 제한을 받는다.

3.1. 2018 평창: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

3.1.1.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NPA)

3.2. 2020 도쿄, 2022 베이징: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3.2.1.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RPC)

대체로 ROC와 동일한 제한사항을 적용받는다.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는 RPC(アールピーシー)라는 이름으로 에티오피아(エチオピア)와 엘살바도르(エルサルバドル) 사이에 입장했다.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벨라루스 출신 선수단에게 아예 참가 금지 제재가 내려졌다.[5]

2022년 11월 17일. 벨라루스와 함께 무기한 출전 금지 징계가 내려졌다.

3.3. 난민 올림픽 선수단과의 차이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은 난민 올림픽 선수단과 유사하게 취급되지만, 러시아의 출전 선수가 워낙 많다 보니 별도로 처리된다.

또한, 난민 선수단의 경우에는 선수가 직접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했던 반면,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은 이것조차도 금지되어 국내 자원봉사자가 대신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했다.

3.4. 청소년올림픽 미해당

다만 이 제재는 성인 올림픽에만 해당하고, 청소년올림픽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2018 부에노스 아이레스 하계청소년올림픽2020 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 모두 러시아 국기를 들고 정상적으로 참가했으며, 시상식에서도 러시아 국가가 연주되었다.

IOC 퇴출 이후 치러진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모두 불참했다.

4. 참가 대회

4.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4.2.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Neutral Paralympic Athletes, NPA)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며, 개회식에서는 '중립'을 기준으로 중국 바로 뒤에 입장했다. 이는 IOC보다 엄격한 제재에 해당한다. OAR에는 최소한 "러시아" 출신이라는 표현이라도 들어갔지만, 패럴림픽에서는 얄짤없이 중립을 강조했고 나라 이름은 일절 빼버렸기 때문이다. 심지어 IOC가 올림픽 이후 러시아에 대한 징계를 해제했지만 IPC는 그런 것도 없었다.

4.3. 2020 도쿄 올림픽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선수단'(Russian Olympic Committee athletes, ROC)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며, 국기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깃발을 사용하며, 메달을 땄을 때 연주되는 음악도 국가가 아닌 러시아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사용하기로 했다.[8] 개회식 순서는 산마리노(サンマリノ)와 시에라리온(シエラレオネ) 사이인 77번째. IOC의 공용어 중 하나인 프랑스어로 Comite Olympique Russe로 표기한 후 그 이니셜을 딴 シーオーアール를 기준으로 했다.

4.4. 2020 도쿄 패럴림픽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선수단'(Russian Paralympic Committee, RPC)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며, 국기는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깃발을 사용하며, 메달을 땄을 때 연주되는 음악도 국가가 아닌 러시아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사용하기로 했다.

개회식 순서는 에티오피아(エチオピア)와 엘살바도르(エルサルバドル) 사이인 29번째. IPC의 공용어 중 하나인 영어로 Russian Paralympic Committee로 표기한 후 그 이니셜을 딴 エヌ・ピー・シー・アール・ピー・シー(NPC RPC)를 기준으로 했다.

4.5.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선수단'(Russian Olympic Committee athletes, ROC)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며, 국기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깃발을 사용하며, 메달을 땄을 때 연주되는 음악도 국가가 아닌 러시아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 사실은 폐회식 때 시상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50km 메달 시상식에서 해당 음악이 연주하는 장면이 전 세계에 전파를 타 잘 알려지게 되었다. 개회식 순서는 루마니아(罗马尼亚)와 프랑스(法国) 사이인 46번째. 영어식 약자인 'ROC'를 사용했으며, 중국어 명칭은 '俄罗斯奥林匹克委员会代表團(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대표단)'이다.

2월 10일,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한 15살인 카밀라 발리예바도핑 테스트에서 적발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미 12월부터 해당 금지약물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4.6. 2024 파리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직후 러시아와 벨라루스 NOC가 퇴출되면서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두 국가 출신 개인 자격 선수들을 묶어 개인 중립 선수단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5. 역대 상징

명칭
팀 엠블럼
대표기 대표 음악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lympic Athlete from Russia (OAR)
오륜기 올림픽 찬가
파일:OAR 로고.svg 파일:오륜기.svg 영상
파일: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로고.svg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중립 패럴림픽 선수단
Neutral Paralympic Athletes (NPA)
아지토스 패럴림픽 찬가
파일:패럴림픽 엠블럼(2004~2019).svg 영상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svg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선수단
Russian Olympic Committee Athletes(ROC)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 피아노 협주곡 1번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로고.svg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영상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svg 2020 도쿄 패럴림픽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선수단
Russian Paralympic Committee Athletes (RPC)
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기 피아노 협주곡 1번
파일: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로고.svg 파일:러시아 패럴림픽 위원회 기.svg 영상

6. 유사 사례

쓰고 싶지 않은데 ROC를 써야 하는 러시아와 달리 ROC를 쓰고 싶어해도 못 쓰는 곳이 있다. 바로 대만(중화민국, Republic Of China)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UN 가입 전까지는 ROC로 출전했지만 중국의 가입이 성사된 이후 중화민국 명칭으로 올림픽에 나서지 못하고 중화올림픽위원회의 자격(신분)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출전한다. 약호도 TPE를 사용한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당시 쿠웨이트 정부가 자국 올림픽 위원회에 부당하게 간섭한 사실이 발각되어 2015년 10월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로 인해 쿠웨이트 선수들은 개인 선수 자격으로 대회에 출전했고, 다른 독립 선수단인 난민 올림픽 선수단과 구분하기 위해 "올림픽 독립 선수단(Independent Olympic Athletes)"으로 명명했다. 그리고 대회를 통틀어 이 선수단은 사격에서만 금 하나, 동 하나를 획득했는데 하필이면 이 때의 금메달이 쿠웨이트의 사상 올림픽 첫 금메달이었다. 물론 선수가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한 것이라서 공식적으로는(De jure) 쿠웨이트의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북한코로나19의 범유행을 이유로 든 2020 도쿄 올림픽 불참으로 인해 IOC로부터 참가금지 제재를 받아 이론상 북한 선수단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보내려면 ROC처럼 '북한 출신 올림픽 선수단'이란 이름을 써야 할 상황이었으나, 북한이 이번에도 선수단을 아예 보내지 않기로 하며 실현되지 않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3월 4일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위원회에서 러시아 대표가 추방되고 러시아의 회원국 자격이 박탈되었으나 6명의 러시아 국적 학생들이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는 것은 허용하는 안이 통과되었다. # 비슷하게 3월 12일에는 국제정보올림피아드(IOI) 측에서 2022년 대회에 러시아, 벨라루스 학생의 경우 온라인으로만 참가할 수 있으며, 러시아, 벨라루스 국기가 아닌 IOI 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

7. 기타

평창 올림픽 당시에는 금지된 러시아 국기를 대신하여 옛 소련 국기를 비롯한 역대 옛날 국기가 나온 바 있다.


[1] 사진 속 인물은 검은 헬멧이 에미나 말라기치, 흰색 헬멧이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다.[2] 흔히 중립국 자격으로 불리지만, 사전적 의미의 중립국 소속 선수가 아니므로 중립 선수로 명칭하는 게 적합하다.[3] 러시아 대통령기의 경우 링크에는 제정 러시아 국기라고 나와 있다. 제정 러시아의 전신인 루스 차르국 국기와도 유사하지만 독수리 모양과 색이 다르다.[4] 사상 초유의, 쇼트 25위까지 프리에 진출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야기했다. 결국 심리적인 부담을 이기지 못한 카밀라 발리예바는 프리 스케이팅 때 치명적인 실수를 연발하며 메달권에서 이탈하고 말았다.[5] 개회 2일전엔 2018 평창 패럴림픽처럼 중립 선수단으로 참여하도록 결정했으나, 다음날인 3월 3일에 이전 결정을 번복하고 결국 출전 금지로 제재가 상향되었다.[6] 사실 이 때 안 선수의 나이는 34살이고, 이전 대회에서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해 이번 올림픽에 나왔더라도 좋은 성적을 거뒀을 가능성은 낮다. 이미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로 하락세를 타고 있었으며 평창 동계올림픽 전후로 열린 월드컵과 세계선수권에서도 단 한 번도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7] 단체종목은 팀원 중 1명이라도 도핑이 적발되면 팀 전체의 메달이 박탈된다.[8]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올림픽기와 올림픽 찬가를 시상식에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