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4:41:07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남아공군에서 넘어옴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동아시아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서유럽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5deg, #000 5%, #ffb612 5% ,#ffb612 10%, #007a4d 10%, #007a4d 20%, #fff 20%, #fff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to bottom, #de3831 10%, #fff 10%, #fff 15%, #007a4d 15%, #007a4d 85%, #fff 85%, #fff 90%, #002395 90%)"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b612><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줄루 왕국 · 오라녜 자유국 · 트란스발 공화국 · 오렌지 강 식민지 · 남아프리카 연방 · 아파르트헤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헌법
외교 외교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권 · 영연방 · 영미권 · 아프리카 연합 · G20 · BRICS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호주-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뉴질랜드-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캐나다-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미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네덜란드-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포르투갈-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한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경제 경제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 Vodacom · Naspers · 요하네스버그 증권거래소
국방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사회 남아프리카 우정국 · 요하네스버그 가이드라인 · 센테크 타워 · 남아프리카항공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 로벤 섬 · 마일 트레인 · 케이프타운 대학교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루이보스차 · 남아프리카 방송공사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축구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영어 ·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 아프리칸스어 · 나마어
인물 샤카 · 넬슨 만델라 · 데스몬드 투투
지리 희망봉 · 로벤 섬 · 드라켄즈버그 산맥 · 칼라하리 사막 · 테이블 산
민족 보어인 · 줄루족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케이프 컬러드 · 케이프 말레이인
}}}}}}}}} ||
남아프리카 국방군
South African National Defence Force
Suid-Afrikaanse Nasionale Weerma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 엠블럼.svg
<colbgcolor=#007a4d> 국가 <colbgcolor=#fff,#1f2023>
[[남아프리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소속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부
상비군 74,508명
예비군 15,107명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e3831><colcolor=#fff> 전차 195대
장갑차
(APCs/IFVs)
1,500대
자주포 49문
다연장로켓 101문
수송 차량 -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48a0><colcolor=#fff> 해군 전투함 총합 42척
주력 수상함
호위함 4척
잠수함
SSK 3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7CEEB><colcolor=#fff> 4.5세대 전투기 26기
항공기 총합 230기 }}}}}}}}}

1. 개요2. 역사3. 수뇌부4. 구성
4.1. 육군4.2. 해군4.3. 공군
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대. 공식 명칭은 남아프리카 국방군 (South African National Defence Force, SANDF) 이다.

2. 역사

1910년 영국의 주도하에 설립된 '남아프리카 연방'의 군대였던 연방 방위군(Union Defence Force (South Africa) / UDF), 남아프리카 방위군(South African Defence Force / SADF)이 그 전신이다. 연방 방위군은 1912년에 창군되어 1957년에 남아프리카 방위군으로 개편되었다. 남아프리카 연방이 1960년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바뀐 후에도 남아프리카 방위군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다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된 이후인 1994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방위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경제 사정이 양호한 나라라서 노후화된 AK-47이나 H&K G3, FN FAL 같은 구식소총을 사용하는 타 아프리카 국가와 달리 군 현대화가 비교적 잘 되어 있다. 과거, 남아프리카 연방 시절에는 한국전쟁에 미국과 함께 UN군으로 참전하였다. 미군의 평가에 의하면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여단급 작전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1] 특히 여러 무장이 자체 개발한 국산인 경우가 많은데, 아프리카의 지리적 특성상 유럽이나 미국, 아시아와 다른 교범과 군사 체계가 필요한 이유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과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외산 무기를 수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특히 지뢰에 대응할 수 있는 많은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게릴라들이 즐겨 쓰는 지뢰를 방호하는 데에 특화된 라텔 장갑차가 그 예시이다. 또한 지뢰로 인한 피해가 많아 라텔 장갑차 이외에 여러 군용 차량을 대지뢰 방호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MRAP으로서 처음에는 MRAP에 큰 관심이 없던 미군이라크아프가니스탄에서 IED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자 남아공에서 급히 구매할 정도였다.[2]

여러 남아공산 무기가 수출 시장에도 뛰어들 정도로 그 성능이 확실하지만, 실험 정신이 강한 무기가 많아 큰 주목을 받지는 못한다. UZI처럼 그립 부분에 탄창이 들어가는 펌프액션 산탄총 MAG-7, 그립과 방아쇠가 총 측면에 달려있는 20mm 유탄발사기 PAW-20 NEOPUP[3] 등의 무기가 제식 화기로 사용되었다. 스트라이커 샷건은 리볼버샷건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가졌으며, 기능도 그에 걸맞게 독특한 것으로 유명하다.

돌격소총이스라엘의 영향이 많이 녹아났는데, 주력으로 사용하던 제식 소총인 R4 시리즈 소총들은 전부 다 갈릴의 현지화 버전이다.[4] 물론 갈릴 특유의 무거운 무게 문제는 여전하였으나 국토가 넓고 군인 수는 많지 않아서 기계화가 잘 이루어졌던 관계로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5]

이후 이스라엘이 갈릴에 관련된 모든 생산권, 저작권 등을 전부 남아공 측에 판매했다. 남아공 측에서는 갈릴 설계에 전신 플라스틱 재질 불펍 껍데기를 씌움으로써 '무게 문제가 해결된 갈릴'인 CR-21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본디 갈릴이 AK 시리즈를 참조한 것을 감안하면 CR-21 역시 안정성은 확실하지만, 확장성이 너무 떨어지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인하여 혹평을 받았다.

제식 대물 저격총 NTW-20의 경우 또한, 20mm 탄환을 사용하는 '조준경 달린 핸드캐논' 소리를 들을 만큼 대단한 위력을 자랑하지만 위력을 위해 기동성을 과감히 희생시킨 바람에 너무 무겁고 조잡한 신뢰성으로 혹평을 받았다. 총열 길이만 해도 1,000mm에 달하기 때문에 운반을 위해서는 두 사람이 분해해서 들고 다녀야 한다. 물론, 이 저격총은 설계 자체부터 다인 운용 및 차량 운반을 기본 전제로서 운영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에서 전수받은 기술을 기반으로 요르단군 기갑 전력 현대화 사업에 참가하여 팔콘 무인 포탑 등을 개발하고 있기도 하다. 종합적으로, 남아공의 무기는 도전적 실험정신이 강해서 그렇지 결과물들은 적어도 기능에 충실한 무기들이다. 상기한대로 미군 또한 남아공의 아이디어를 받아 라텔 장갑차를 도입한 전력도 있다.

파일:남아공군 m83군장.png

1983년에 채용된 M83 전투조끼는 장거리 이동이 필수적인 남아공군의 전장환경에 맞춰져 탄창, 수류탄, 수통, 그외 각종 군장품들을 다량으로 운반하면서도 무게 배분이 잘 되어 장시간 착용해도 피로감이 덜한 명품 전투조끼로 평가받고 있으며, 독일 연방군테러와의 전쟁 때 아프가니스탄 파병 초기에 중동지역에 적합한 군장이 도입될 때까지 임시로 채택해 사용하기도 했다. 영화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에서 주인공 맥스 로카탄스키가 착용하고 나온 것처럼 서바이벌 업계에서는 호평을 받아 지금도 레플리카가 여러 업체에서 생산되고 있다.

3. 수뇌부

아파르트헤이트 이전에는 군 최선임을 백인들이 차지했지만 아파르트헤이트가 끝나면서 흑인 장성들이 군 수뇌부를 차지하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General_Yam_-_DRC.jpg
육군참모총장인 린들 얌 중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Samuel_Hlongwane.jpg
해군참모총장인 새뮤얼 흘로과네(Samuel Hlongwane) 중장.

파일:fabian-msimang-020e4bbd-73d9-4f11-8b89-5ba4a1e34b7-resize-750.jpg
(오른쪽 흑인 장성)
공군참모총장인 파비앙 음시망(Fabian Msimang) 중장. 현재 흑인 장성들은 아파르트헤이트가 실시되던 70년대나 80년대에 입대한 사람들이다.

4. 구성

4.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의외로 핵무기도 보유한 전적이 있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개발 문서 참조. 아파르트헤이트로 국제적으로 완전고립된 상황에 국가의 존립을 보장하고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80년대에 총 6기의 핵탄두를 만들었다. 참고로 비슷한 처지의 이스라엘과 협력을 했는데 이스라엘의 도움을 받은 남아공의 데넬 사는 탄도 미사일인 RSA 시리즈를 개발했다. 이후 넬슨 만델라의 석방과 함께 인종차별정책을 포기하면서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고 안보적 상황이 바뀌자 핵 보유는 무의미했기 때문에 1991년 핵 확산 금지 조약에 가입하고 이 핵무기들을 모두 전량 폐기했다.

남아공군의 높은 기계화율과 차량 승무원의 생존성을 중시하는 성격 등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다른 형태로 연관된다는 해석도 있다. 극심한 흑백차별로 인해 남아공군의 병력은 소수의 백인들만이 구성하게 되었고, 여기에 저항하는 흑인 게릴라들과 민간인 거주지에서 싸우다 보니 전투원이 직접적인 위협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당연히 전투원의 생존성을 크게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이 또한 이스라엘군의 성격과 유사하다.

백인정권 당시 아파르트헤이트에 연루된 직접적인 당사자이다보니 이 당시에 일어난 학살사건이나 인권침해 문제에 당연히 많이 끼어들었고 백인이라 할지라도 동성애자일 경우에는 아예 치료(?)를 해서[6] 이성애자로 만들려고 했고 그래도 동성을 사랑한다 싶으면 아예 이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시켰다. 군에 입대한 게이/레즈비언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강제적인 성전환 수술을 당했다. 혐오감 프로젝트 문서 참조.

1950년 6.25 전쟁 당시에 참전할 예정이였던 남아공군 600명을 태우고 가던 구축함 SS 맨디가 그만 사고를 당해 영국 해협에서 침몰하는 일이 있었다.

아프리카국가들 중에서는 문민통제가 매우 잘 이루어지는 편이다. 1910년 5월 31일남아프리카 연방으로 독립할 때부터 국가를 주도하던 지배층들이 영국네덜란드등 입헌군주제가 발달한 유럽계 혈통이거나 해당 국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의원내각제를 도입하여 민주주의 제도를 수립하고 문민통제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백인들이 모든 특권과 자유를 누리고 있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흑인들은 완전히 배제된 상태였으며, 국민당(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집권하고 아파르트헤이트가 시행되고 나서는 문민통제는 유지되었으나 국민당의 일당제상태였으며, 냉전시기 수많은 아프리카국가들에서 쿠데타가 발생할 때, 남아프리카 공화국문민통제만 유지되었지 사실상 동시대 다른 폭압적인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독재국가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력한 문민통제1994년아파르트헤이트가 폐지되고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에 취임해서도 정부의 군에 대한 장악력이 확고해서 여러 사회 갈등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문민통제가 잘 이루어지는 편이다.

6. 관련 문서



[1] 아프리카를 통틀어 본다면 이집트군이 가장 강군으로 평가받는다.[2] 이는 미군의 이라크, 아프간 파병 초기인 2004~5년까지의 이야기이다. 2005년도를 기점으로 미국도 자국과 주요 우방국 차량 방산업체들이 만든 MRAP을 도입하여 전쟁 초기 남아공산 MRAP들을 대체해 갔다. 미군이 이라크에서 철수를 시작하던 전쟁 말기, 2008~9년도쯤 되면 대부분 미국산 MRAP들로 대체되었다.[3] 유탄은 20mm 기관포탄의 길이를 줄인 직사 유탄을 사용한다.[4] R4 이전에 도입했던 R1, R2, R3 시리즈는 FN FAL의 자국군/경용 국산 라이센스 버전이었다. 이스라엘 또한 자국산 FAL인 'IMI ROMAT'을 갈릴로 대체하기까지 제식소총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다만, 남아공군 버전 FAL인 R1 시리즈가 80년대에 남아공산 갈릴인 R4에 대체되기 전까지 20여 년 동안 제식소총의 자리를 굳건히 차지한 것과는 다르게 이스라엘 버전의 FAL인 IMI ROMAT은 곧바로 갈릴에게 퇴출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5] 산이 적고 평야가 많지만 행군에 무리가 가는 기후로 인하여 일부 중동아프리카는 게릴라 부대도 테크니컬 부대를 운용할 만큼 기계화가 잘 되어있다.[6] 말이 치료지 실상은 고문이나 마찬가지였다.[7] 사령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