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19:01:25

남수단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동아시아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서유럽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45B4DB 5%, #FCDD09 5%, #FCDD09 6%, #45B4DB 6%, #45B4DB 11%, 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15%, #da121a 15%, #da121a 85%, #fff 85%, #fff 90%, #078930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78930> 상징 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수단 인민해방운동
외교 외교 전반 · 남수단 여권 · 아프리카 연합 · 동아프리카 공동체
경제 남수단 파운드
국방 남수단군
교통 주바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주바 아랍어 · 남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인물 존 가랑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 알렉 웩
지리 주바 · 백나일강
민족 누에르족 · 딩카족
}}}}}}}}} ||

파일:남수단보병차량.jpg
파일:SPLA T-72.jpg
남수단 인민방위군
South Sudan People's Defence Forces
SSPD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Flag_of_the_SPLA_%282011_to_present%29.svg.png
국가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상비군 185,000 명 (2020년)
전차 80+ 대 (2020년)
장갑차(APCs/IFVs) ? 대 (2020년)
박격포 30+ 문 (2013년)
자주포 24 대 (2013년)
MLRS 15 대 (2013년)
헬리콥터 23 기 (2020년)
공군기 총합 26 기 (2020년)
대공 미사일 16+ 대 (2020년)
예산
국방비 총합 93,900,000 달러 (2020년

1. 개요2. 역사3. 육군
3.1. 육군 소개3.2. 육군 편성3.3. 육군 장비 현황
4. 공군5. 여담6. 관련 링크

[clearfix]

1. 개요

남수단군대이며 정식 명칭은 남수단 인민방위군이다.[1] 총병력 18.5만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은 1983년 SPLA라 불리우는 반 수단 게릴라조직으로 출발하여 제1차 수단 내전에 참전, 잠깐의 평화 협정 이후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아 2차 수단 내전에 참전하였고 현재 독립국가의 군대로서 존재하고 있으나 내전의 여파로 군대의 국토 장악력이 매우 약하여 실질적으로 불안정한 군벌들의 연합의 형태를 띤 군사조직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내륙국가 특성상 육군공군만 존재한다. 2005년 평화협정으로 독립하면서 2007년국방부가 성립되었으나 문민통제는 기대하기 어렵고 제복군인국방장관을 겸하며 총참모장(Chief of General Staff)를 통하여 군령권이 가동된다.

통수권남수단 대통령-부통령이 같이 가진다.#

2. 역사

1983년 남수단 지역 보르(Bor)의 막사에서 수단군 105대대(105 Battalion)가 수단 군대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며 SPLA의 파란만장한 역사가 시작된다. 이때에는 수단 내의 반란군 형태의 게릴라 조직이었다. 이 첫 항쟁을 시작으로 다양한 남수단 지역의 거점에서 일부 수단군들이 반기를 들며 SPLA는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수단이슬람 국가화라는 명목으로 독재를 하며 개신교 신도들을 탄압하는데 대한 불만으로 남수단 내의 무장투쟁이 시작된 것이다. 최초로 반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에티오피아수단에리트레아 인민해방전선을 지원해준 것에 대한 보복정책으로 SPLA를 지원해주었다. 반란을 일으킨 게릴라군들은 에티오피아로 도주하여 그곳을 홈그라운드 삼아 남수단 곳곳에서 저항하며 1차 수단 내전이 진행된다. 초대 지휘관은 존 가랑(John Garang de Mabior)로 1983년 SPLA 창설부터 2005년 평화 협정 이후 3주간 남수단 1대 대통령으로 재직하다 헬기 추락으로 사망한다. 어쨌던간에, 결국 1차 내전 외에도 협상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아서 다시 2차 내전으로 확산하게 된다. 결국 1978년에 남북으로 각각 나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는가 했던 2차 수단내전은 석유문제로 다시 격화되기 시작하면서 90년대 수단 정부와 당시 SPLA였던 남수단과의 교전은 그 절정을 다하게 된다. 상당히 체계적으로 전투하던 SPLA였으나 치명타가 터져버리는데 바로 멩기스투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체제가 무너지고 멜레스 제나위의 통치 아래의 에티오피아가 발흥한 것. 당시 군수품, 훈련 시설과 군 기지 그리고 피신처까지 모두 제공하던 최우방국이 무너지자 SPLA는 당시 초대 지휘관, 가랑 드 마비오르의 지휘력에 대한 의심이 증가하였던 상황에서 위의 일이 터지자 급속도로 군벌 단위로 분열되어버리며 나시르 파벌이 나시르 선언으로 쿠데타를 감행하여 결국에는 SPLA-Garang(가랑 드 마비오르) 파벌과 SPLA-나시르 파벌로 반갈죽이 되어버린다. 이에 수단군이때를 노렸어를 외치며 대공세를 감행, 반군이 처음 조직된 보르 지역 등 북부 지역이 대부분 함락되어버린다. 하지만 SPLA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고 다시 반격에 들어가 영토를 일부 되찾으며 전황이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된다.

결국 남수단은 아비에이를 포함한 북부 지역 상당수를 잃게되나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주변국의 지원으로 엎치락 뒤치락하는 상황이 되고 2005년에 평화협정이 체결되면서 인민해방군이라는 입장으로서의 남수단 정규군으로 독립하게 된다. 독립전쟁을 치른 군대라고 보일 수 있으나 그 과정에서 사령관의 아들을 비롯한 수많은 소년병 문제와 더불어서 민간인 학살과 강간과 같은 전쟁범죄 문제에 굉장히 많이 관여한 조직이기도 하다. 평화 협정 1년 전인 2004년, 영국의 단체인 소년병 근절을 위한 연합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10만이 넘는 수단 인민해방군 중 2,500명에서 5,000명이 소년병일 정도로 막장화되어 있었다. 특히 2013년 남수단 정치분열문제 때에도 남수단의 군경이 UN 여성직원들을 성추행이나 성폭행 위협 문제가 당시 UN 사무총장인 반기문 총장이 언급할 정도로 군벌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문제도 있다.관련기사

3. 육군

3.1. 육군 소개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남수단군 (1983~현재)
SSPDF
<colbgcolor=#fff> 개인화기 권총 PM, P250
기관단총 MP5
소총 AKM, 자스타바 M70, 56식 자동소총, 갈릴 ACE, AMD-65, MIC 테랍
지원화기 기관총 PKM, RPD, DShK
대전차화기 RPG-7, 69식 화전통
대공포 ZU-23
※ 윗첨자C: 노획 장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남수단군테크니컬.jpg

총 9개 사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사단들은 3개의 군관구로 나뉘어 각 지역의 방위를 담당 중이다. 8개 보병사단 1개 기계화보병사단 1개 특수전여단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특수전여단은 예하로 4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기계화사단이라고 해서 별볼일 없을 것처럼 보이나 2013년 확인된 규모로만 해도 T-72를 무려 110대나 보유한 군대라고 할 수 있기에 기계화보병사단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20년, 비교적 최근에는 내전으로 장비가 갈려나간 뒤라 T-72AV의 보유 수량이 80대로 뚝 줄어버렸다. 군대는 소화기부터 중장비에 이르기까지 구소련권에서 지원된 장비들로 무장해 있다. 다행히도 이번에는 수단 역시 경기 불황, 쿠데타, 그리고 내전까지 일어나며 완벽하게 고자가 된 상황이라 남수단군이 수단군과 대규모 전면전을 벌일 확률은 아비에이 국경전이 일어날 가능성을 제외한다면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총 12대의 2S1 그보즈디카, 12대의 2S3 아카치야,15대의 BM-21 그라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맘바 장갑차 등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남수단군의 미래가 밝아보이는건 바로 UAE로부터 신형 무기가 어떤 경로로든 수입된걸로 보인다는 것인데, UAE의 기업인 STRAIT 그룹의 타이푼 장갑차가 2014년의 열병식에 등장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캐나다 방산기업의 남수단 무기 수출 의혹 등이 제기되는 걸로 보아서는 장비가 다수 유입된 듯 하다. 추가적으로 보병들의 차량의 경우 한국군의 K-311A1 닷지와 같은 전술차량이 다수 운영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관련정보

3.2. 육군 편성

파일:남수단 군관구.png

3.3. 육군 장비 현황

남수단 육군의 주력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T-72AV 주력 전차 소련 80대 내전 당시 20대가 넘는 차량이 격파되었다.
T-55 주력 전차 소련 ?대
남수단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STREIT 쿠거 MRAP UAE ?대
STREIT 타이푼 MRAP UAE ?대
남수단 육군의 자주포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2S1 자주포 소련 12대
2S3 자주포 소련 12대
남수단 육군의 다연장로켓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BM-21 다연장로켓 소련 15대
남수단 육군의 대공시스템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특이 사항
S-125 대공미사일 소련 16대

4. 공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SPAF_Mi17_helicopters_at_Juba_Airport_January_2011.jpg
South Sudan Air Force
Beechcraft 1900 여객기 1대
Mi-17 헬기 9대
Mi-172 헬기 1대
Mi-24 헬기 5대
L-39 고등훈련기 2대

5. 여담

가수 엠마뉴엘 잘(Emmanuel Jal)이 소년병으로 뛰었던 군대다.[2]

https://en.wikipedia.org/wiki/Sudan_People's_Liberation_Army

6. 관련 링크



[1] 원래는 수단 인민해방군이었으나 사실상의 내전 종식 이후 2018년에 공식적으로 South Sudan People's Defence Forces, 즉 남수단 인민방위군으로 명칭이 바뀌었다.[2] 울지마 톤즈의 톤즈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