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2 19:45:05

캐나다-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국·캐나다·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프리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다자관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에스와티니
}}}}}}}}} ||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2.2. 20세기2.3. 21세기
2.3.1. 2000년대2.3.2. 2010년대2.3.3. 2020년대
3. 경제 교류4. 문화 교류
4.1. 스포츠
5. 교통 교류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캐나다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며 양국은 영연방회원국이고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양국은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었다. 다만, 캐나다는 19세기 중반에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고 남아공은 20세기에 독립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2.2. 20세기

남아공은 1934년에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독립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추진하면서 캐나다와도 갈등이 생겨났다. 캐나다와 남아공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관련해 갈등이 있었고 양국은 90년대초까지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다. 캐나다는 남아프리카 연방과는 항의하는 뜻으로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다.

브라이언 멀로니 캐나다 전 총리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반대하며 영영방 국가들의 남아공 제재를 이끌었다.#

90년대초에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이 무너진 뒤, 양국은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보어인의 일부가 캐나다로도 이주했다.

2.3. 21세기

양국은 영연방 회원국이다. 그리고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캐나다내에는 90년대에 이주한 보어인의 일부가 거주하고 있다. 캐나다내 보어인들은 캐나다인의 일부가 되었다. 그외에도 양국은 영연방 회원국이기 때문에 영국과의 협력이 활발하다.

2.3.1. 2000년대

2009년 9월 2일, 남아공 출신 백인 남성이 캐나다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았다.#

2.3.2. 2010년대

2016년 5월 31일, 캐나다 산불 화재가 발생하자 남아공에서 지원 인력 300명이 왔다.#

2.3.3. 2020년대

2020년초부터 양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의 피해를 입었다. 양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망자가 크게 발생했고 확진자가 크게 발생했다.

2021년 11월 26일, 미국과 캐나다 양국은 오미크론이 확산돼 남아공, 보츠와나, 짐바브웨, 나미비아, 레소토, 에스와티니, 모잠비크, 말라위 출신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한다고 밝혔다.#1#2

2023년 6월, 캐나다 산불 화재로 피해가 발생하자 남아공에서 지원 인력 200명이 왔다.#1#2

2024년 10월 26일, 남아공과 캐나다, 인도 등 3개국이 영연방 정상회의에 참석하면서 노예무역에 대한 공동보상 성명을 냈다.#

2025년 2월 25일, 캐나다에서 일론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박탈해야 한다는 여론에 대해 일론 머스크는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라고 밝혔다.#1#2

3. 경제 교류

캐나다 기업과 남아공 기업간에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2014년 3월 18일, 남아공 국영 철도회사가 캐나다, 중국으로부터 1천대 이상의 새 기관차를 발주했다.#

2021년, 남아공은 미국, 유럽연합, 일본, 캐나다 등 9개국과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4. 문화 교류

양국은 영어권국가이기 때문에 문화적인 교류도 활발하다. 양국은 영어가 공용어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양국에서 쓰이는 영어는 영국식 영어를 바탕으로 두고 있으며 표기도 영국식을 따르고 있다.[1] 캐나다인들중에는 남아공으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4.1. 스포츠

2006년 3월 8일, 캐나다 야구팀이 남아공 야구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1#2

2007년 11월 20일, 남아공과 캐나다 간의 축구 친선 경기가 열렸다.#

5. 교통 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양국은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양국 국민들이 상대국을 방문시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6. 여담

7. 관련 문서


[1] 캐나다는 미국식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표기는 영국식을 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