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4:01:17

김성환(배우)

김성환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화관.jp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07년
이름 김성환
분야 연기자
화관문화훈장(5등급)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공채 탤런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동양방송 탤런트
1기(1964) <colbgcolor=#ffffff,#191919>김호정 · 윤소정
2기(1965) 김세윤 · 김희준 · 서우림 · 신귀식 · 전양자
3기(1966) 윤여정 · 지윤성
4기(1967) 김종결 · 박용식 · 서승현
5기(1967) 김창숙 · 노주현 · 안병경
6기(1968) 강태기 · 김시원 · 김하림 · 정영숙
7기(1968) 남성훈 · 봉혜선 · 하용수
8기(1969) 김인문 · 연규진 · 임동진 · 정재순 · 최정민
9기(1969) 반문섭 · 유승봉 · 임병기 · 한진희
10기(1970) 김성환 · 김형자 · 박혜숙 · 엄유신 · 이효춘
11기(1971) 박영목 · 장용 · 최윤석
12기(1972) 문숙 · 박칠용
13기(1972) 곽정희 · 남윤정 · 백찬기 · 이덕화
14기(1973) 연운경 · 유지인 · 이계영 · 정운용
15기(1974) 김주영 · 유병준 · 조양자
16기(1975) 장미희
17기(1976) 김보미 · 김영란 · 백준기
18기(1977) 김천만 · 임성민 · 조은덕
19기(1978) 김영철
20기(1978) 경인선 · 원미경 · 이미숙 · 차화연
21기(1979) 최란 · 최화정
22기(1979) 김영기 · 오혜림 · 이기선 · 정한용
23기(1980) 유동근 · 이경표 · 한정국
}}}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 기입}}}}}} ||

}}} ||
김성환
金星煥 | Kim Sung-hwan
파일:탤런트김성환.jpg
<colbgcolor=#283593><colcolor=#fff> 출생 1950년 5월 25일 ([age(1950-05-25)]세)
전라북도 옥구군 미면 산북리 110[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광산 김씨[2]
신체 175cm
가족 아내, 장남 김도균, 차남 김도성
학력 문창국민학교[3] (졸업)
군산중학교 (졸업)
군산고등학교 (졸업)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4] / 학사)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MC리포터학 / 석사[5])
경기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 / 박사 과정 수료)
종교 개신교
데뷔 1970년 TBC 10기 공채 탤런트[6]

1. 개요2. 생애3. 여담4. 활동 내역
4.1. 드라마4.2. 영화4.3. 코미디4.4. MC4.5. 광고4.6. 저서4.7. 음반4.8. 가요무대4.9. 가족오락관
5. 참고/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가수.

2. 생애

1950년 5월 25일 전라북도 옥구군 미면 산북리 110번지(現 군산시 내초동 109-20)에서 8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어린 시절 문창국민학교와 군산중학교를 다니며 특유의 흉내내기로 끼를 발산했고, 영화에도 흥미가 있었다. 군산고등학교 1학년 때 고교 연극제에서 했던 <여명>에 출연해 연기와 인연을 맺었지만, 의사가 되길 바라는 부모의 뜻에 따라 의대 진학을 위해 공부에 매진했다. 그러나 대학입시 성적이 어중간해서 의대는 못 갔고, 1969년 졸업 뒤 상경하여 입시학원을 다니다가 재수생 친구들의 권유로 1970년 동양방송 10기 탤런트로 입사했다.

연기생활 초기에는 시체, 포졸, 병사 등 단역부터 시작하며 연기를 차차 익혔고, 당대 인기드라마 <아씨>에서 머슴 역으로 고정 출연한 뒤 1972년 <홍도야 울지마라>에서 부잣집 딸(안인숙 분)을 좋아하는 머슴 역을 맡기도 했다. 1973년 일반병으로 군 입대 후 위문차 찾아왔던 강부자, 조영남 등을 만난 걸 계기로 정훈병으로 배치되어 보안사령부 영화촬영반에서 <진짜 사나이>를 찍었고, 1975년 전역 후 단역 생활로 돌아왔다가 1980년 <동녀미사> 및 <필녀>에서 당대 트로이카 중 하나인 정윤희, 장미희와 각각 열연했고, 김정현 감독의 영화 <멋대로 해라>를 통해 은막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같은 해 주말연속극 <현해탄은 알고 있다>에서 주인공으로 발탁되어 일본으로 촬영을 떠나려다 촬영 당일 언론통폐합으로 TBC가 KBS에 통합되면서 엎어졌다. 이에 따라 김성환 자신도 KBS로 배치된 채 1982년 약속의 땅에서 이미경과 같이 나와 열연했지만, 출연량이 줄어 슬럼프에 시달렸다. 이에 그는 1982년부터 서울 무교동의 나이트클럽 '엠파이어'를 시초로 1990년대 초~중반까지 천호동 '천궁', 장안평 '챰피온' 등지 밤무대에서 주로 서남 방언으로 노래를 부르며 인기를 얻었고, 1984년부터 몇 년 동안 <전국일주>의 리포터도 맡았다.

1996년 KBS 월화드라마 <조광조>의 김 내관, 1999년 대하드라마 왕과 비김처선을 각각 열연하는 등 내시 역할도 꽤 많이 했다.[7] 한번은 내시 역할에 너무 질려서 이번엔 내시 아니라는 말에 덜컥 승낙했는데, 알고 보니 MBC 특별기획 드라마 영웅시대비서실장 역이었다고(…)... 본격 비서라인. [8]

파일:external/img.kbs.co.kr/cast21.jpg

하지만 사극에서는 가끔 야심가 캐릭터로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윗 짤방, 2001년작 KBS 특별기획 드라마 <명성황후>의 민겸호 역할도 맡았다.

흥미로운 점은 왕과 비에서 맡은 김처선은 연산군한테 충언을 하다 죽은 충신이었는데 비해 명성황후에서 맡은 민겸호는 자신의 하인들에게 군인들 봉급에 모래와 겨를 섞어서 임오군란을 촉발시키고 그 와중에 내시로 변장하고 도망가다가 군인들한테 걸려서 죽은 간신이었다. 전자 후자 둘 다 처참하게 죽었지만 평가는 정반대로 김처선은 후대에도 충신으로 기억되어 존경을 받는데 비해 민겸호는 군납비리를 저지른 악인으로 후대에 기억된다.

연기 외적으로 1992년부터 2020년까지 TBS에서 라디오 DJ를 맡아 왔는데, 쉰 기간을 제외하고 약 20년 넘게 진행했다. 거쳐간 프로그램이 9595쇼, 서울부르스, 비바트로트 등이다. 또한 1998년부터 11년간 MBC <해피실버 고향은 지금>, 2010년부터 6년 간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의 MC를 각각 오래 맡아 대중들에게 얼굴을 오래 알리기도 했다. 2004년 12월부터 6년여 동안 한국방송연기자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3. 여담

4. 활동 내역

4.1. 드라마

4.2. 영화

4.3. 코미디

4.4. MC

4.5. 광고

4.6. 저서

4.7. 음반

4.8. 가요무대

4.9. 가족오락관

※ 손미나 아나운서가 진행한 회차는 굵게 표시. (8회 출연, 4승 4패)

5. 참고/관련 자료



[1]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내초동 109-20[2] 43세손 환(煥) 항렬일 수 있으나 나이에 비해서 항렬이 낮다.[3] 現 문창초등학교[4] 부전공은 연극영화학[5] 석사 학위 논문: 디지털 방송(放送) 환경에서 M.C.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2010)[6] 동기로는 김동완(1945년생), 김형자, 박혜숙, 이효춘, 엄유신 등이 있다.[7] 그러나 흔히 생각하는 촐싹맞은 스타일의 내시가 아니라, 충직하게 왕을 보필하는 스타일의 내시 연기였다. 특히 왕과 비의 김처선 역할은 충신 그 자체.[8] 다만 영웅시대에 나온 비서실장 캐릭터의 원래 인물인 소병해이병철 시절 아들인 이건희이맹희도 부담스러워할 정도로 엄청난 권한을 가졌던 삼성의 2인자였다.[9] 기사 5번째 단락 중, TBC 공채탤런트 동기 박해숙은 박혜숙의 오자이다.[10] 2015년 KBS 미니시리즈 별난 며느리에서는 극 중 부부 사이로 호홉을 맞춘 적도 있다.[11] 나이는 박원숙이 1살 더 많다.[12] 판소리를 배운 적이 있다.[13] 오리지널 발표곡은 아니다. 원곡은 남성트리오 별셋이 발표했던 '보통 인생' 이라는 곡으로, 별셋의 멤버인 손정우가 작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