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음반(音盤)이란 음악을 기록해놓은 원반 형태의 매체를 말한다. 판, 레코드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로는 대표적으로 CD와 같은 디지털 매체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디스크 형태의 아날로그 매체를 일컫는다.과거에는 주로 SP, EP, LP 같은 바이닐 레코드로 음악을 기록했고, 이후 카세트테이프를 거쳐 CD에 음악을 담는 방식이 주류가 된다. 하지만 디지털 음원이 등장하며 CD 대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를 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계속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상술된 매체로서의 뜻보다는 일반적으로 대중음악시장에서 음악작품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음반이나 카세트테이프같은 자기테이프이라는 물건 자체가 현대에 와서 점점 사라져가고 있고 음반으로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줄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바뀐 케이스다. 훌륭한 작품을 모아 함께 들을 때 더 큰 감동을 받을 수 있는 음반이 존재하며, 흔히 이를 명반이라 부른다.
유행은 돌고 돈다더니 2010년대부터는 다시 LP가 각광받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
워낙 실물 음반 시장이 줄어들다보니 아이돌 팬 카페 가입후 정회원 승격때 이전엔 실물 음반 구매 인증만 가능했으나 현재는 멜론 같은 음원 사이트의 음원 구매 인증도 허용해주고 있다.
2. 음반과 앨범의 차이점
한국에서는 '음반'과 '앨범'이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나 차이가 있다. '음반'은 대중음악에서 하나 또는 여러 곡의 음악이 담긴 음악작품의 의미로, 앨범(정규 앨범) 뿐 아니라 싱글, EP(미니앨범)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일반인들에게 디지털 음원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모든 음악이 아날로그 방식의 바이닐 레코드[1]나 CD나 카세트테이프같은 매체로 듣는 것이었지만 현대에 오면서 이러한 LP나 EP같은 레코드들을 일컫는 단어들이 '발매형식'의 의미로 보편화 되었기에 일상생활에서 음반이라고 하면 주로 앨범이나 싱글, EP 등 음악작품 자체를 뜻하므로 LP나 CD같은 매체로서의 의미로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정규 앨범을 LP라고 부르거나 미니 앨범을 EP라고 부르는 것이 이런 맥락. 과거 사진앨범처럼 여러장의 레코드를 하나로 묶어서 팔기 시작한게 앨범의 시작인데, 기술의 발전에 따라 LP가 등장하고 LP 하나에 기존의 앨범에 넣을 분량의 수록곡을 모두 넣을 수 있게 되었고, 여러곡을 모은 모음집을 앨범으로 부르게 되었다.SP 음반이 LP 음반에 밀려 사라진 70년대 이후, 한국 음악 시장에는 싱글이나 EP라는 개념 없이 정규 앨범만이 남아있었다. SP 음반은 한 곡 정도밖에 기록이 불가능했던 것에 비해 LP는 이름 그대로 장시간 녹음이 가능했다. 이에 한국에서는 LP가 아닌 EP나 바이닐 싱글을 생산하는 것이 비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앨범만이 남게 된 것이었다. 모든 음반이 앨범이었기 때문에, '음반'과 '앨범'을 같은 뜻으로 써도 별 문제가 없었다. 심지어는 '음반을 영어로 번역하면 album 아니냐.'고 잘못된 인식이 퍼지기도 했다. 영어에서 음반과 호환되는 단어는 record이며, 싱글 음반은 그냥 single이라고 부르는 게 보통이다.
2000년대 들어서 디지털 싱글, 미니 앨범 등 다양한 형태의 음반이 등장하였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음반'과 '앨범'을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가수의 노래가 수록된 매체를 가리킬 때는 '음반'이라는 말보다 '앨범'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고 있고, 이러한 언어의 사회성 때문에 국어사전에서도 앨범을 "여러 곡의 노래 또는 연주곡 따위를 하나로 묶어 만든 물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외국에서는 상반된 뜻을 지닌 '싱글'과 '앨범'을 묶은 '싱글 앨범'이라는 표현이 한국에서는 통용되어 소소한 논쟁거리가 되고는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싱글 항목 참조.
3. 음반의 형태
3.1. 매체
💿 음반 매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936>아날로그 | <colbgcolor=#E0E0E0,#222>레코드 | 실린더 레코드 · 표준시간 음반(SP) · 장시간 음반(LP)[1] · 익스텐디드 플레이(EP)[2] |
자기테이프 | 오픈릴 테이프 · 카세트 테이프 | ||
디지털 | ODD | CD(CD-i[3] · 미니디스크(MD) · SACD) · DVD-Audio · BD-Audio · UMD[4] | |
자기테이프 |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 디지털 콤팩트 카세트(DCC) · NT | ||
데이터 파일 | MP3 파일[5] · USB 메모리 · SD카드[6] · 플랫폼 앨범 | ||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 }}}}}}}}} |
[1] 콜럼비아 개발 규격, 12인치 33.3 RPM.[2] RCA 빅터 개발 규격, 7인치/12인치 45 RPM.[3] 몇몇 음반이 CD-i로 발매되었다.[4] 극소수의 음반이 UMD로 발매되었다.[5] 매체 대신 다운로드 코드만 있는 게 있고 이를 통해 인터넷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뮤직 커넥팅 카드 등이 그 사례. 다만 이는 매체 안에 음원이 없으므로 음반으로 볼 수 없다. 이는 국가, 차트 집계 회사마다 다르며 일본 오리콘 차트는 이를 음반으로 보지 않는다.[6] 24비트 무손실로도 출시될 경우, 거의 이 방식을 이용하는 추세다.
- 게임 팩 (ROM 카트리지): 주로 칩튠 앨범을 해당 음악을 연주하는데 사용된 사운드 칩이 내장된 게임기나 PC에 호환되는 카트리지로 발매하는데 사용되며, 대부분은 녹음된 음악파일 대신 악보가 저장되어있고 이를 게임기나 PC에 내장된 사운드칩이 실시간으로 연주한다. 원래 ROM 카트리지가 음악저장용이 아닌 게임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담기위해 설계된 매체인만큼 이스터에그를 통해 해금하는 숨겨진곡이나 미니게임같은 부가기능이 들어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국내에는 이런형식의 앨범들중에서 8BIT MUSIC POWER가 가장 많이 알려져있다.
3.2. 발매 형식
음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싱글 (디지털) | 앨범 (디지털) | 더블 앨범 | EP(미니 앨범) |
콘셉트 앨범 | 라이브 앨범 | 리패키지 | 컴필레이션 앨범 |
- 싱글
1곡에서 3곡이 들어간 가장 작은 단위의 음반. 일본에서는 이 단위로 신곡을 발표한다. 그 뒤 정규앨범에 포함하는 때도 있다. 역으로 정규앨범에 있는 곡을 싱글로 발매하는 것을 '싱글컷' 이라고 한다.[2] 전자 음원으로 발매하는 때는 디지털 싱글이라고 부른다. 외국 일렉트로닉 뮤직의 경우 싱글은 사전 그대로의 1~3곡 수록인 경우도 많지만, 1곡과 그 곡의 리믹스가 최소 3개 이상 들어가서 러닝타임이 EP에 준하는것 역시 싱글로 쳐주는듯하다. - EP
일반적으로 4곡 이상의 트랙이 들어가고 30분 미만의 재생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노래는 4곡 이하로 잡고 싱글과 마찬가지로 리믹스나 inst로 때우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흔히 '미니 앨범'으로 부르며, 현재 한국 음반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간혹 정규 앨범을 2~3개로 쪼개서 여러 파트의 EP로 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 중에는 어른의 사정(밴드나 팀의 해체, 가수의 죽음 등)으로 인해 발매는 되었으나 후속 파트들이 나오지 못해 그대로 정규 앨범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앨범
- 컴필레이션 앨범
- 리패키지
- 정규 앨범(Full-length Album, Full Album, Studio Album)
과거에는 LP길이 제한으로 인해 약 35분 이상을 정규 앨범으로 간주했지만 현재는 트랙 수가 많고, 대개 8트랙 이상이 들어가는 앨범을 칭한다. 일본과 해외의 경우 싱글에 수록된 곡 + 신곡들을 포함하는 형식을 쓰고 있으며 한국도 아주 간혹가다 이런 경우의 정규앨범을 볼수있다. 한국 정규앨범의 대부분은 전부 신곡인 경우가 많으며 만약 앨범이 10곡이상으로 A-side와 B-side 나뉜 정규앨범일경우 이전의 앨범타이틀들을 B-side에 수록하는 경우나 정규 10곡중 1-2곡을 전앨범에 수록된 수록곡이나 타이틀곡으로 넣는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정규앨범 구성이 싱글에 수록된곡+신곡들 구성이라 보긴 어렵다. - 더블 앨범
- 라이브 앨범
실황 공연을 녹음한 앨범. 라이브 특유의 소음, 떼창 같은 현장감이 잘 느껴진다. 스튜디오 녹음보다는 라이브 공연에서 멤버들의 실력과 호흡이 뚜렷이 드러나기에, 라이브 앨범에 수록된 곡이 정규 앨범에서보다 더 유명히지기도 하며, 때로는 라이브 앨범 자체가 정규 앨범으로 대접받기도 한다. - 스플릿 앨범
두 음악가가 자신들의 음악을 하나의 음반에 같이 수록하는 것.
CD 음반이 주로 나오기 전 시절, 그러니까 음반이 카세트테이프나 LP 같은 아날로그 매체로 발매되던 시절에 처음 만들어진 용어다. 카세트테이프의 경우 테이프의 앞 뒷면, A 사이드와 B 사이드로 나눠져서 녹음되었고 LP도 마찬가지로 앞 뒷면, 두 면으로 나뉘어졌다. 이 때 각각의 면에 각각의 아티스트가 자신들의 곡을 넣은 것. 스플릿 앨범의 장점은 한 앨범으로 두 아티스트가 동시에 곡을 발표할 수 있기에 저렴한 것. 그리고 두 아티스트간의 친분과도 관련이 있다. 아무래도 아티스트들간의 커뮤니티성이 강한 하드코어 펑크 같은 언더그라운드 록 장르에서 많이 보인다. - 믹스테입 / Mix CD
주로 힙합 뮤지션들이 내는 비공식 앨범. 기존에 있던 비트에 새롭게 랩을 해서 만들어낸 곡이다. 해당 곡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하려면 비트의 원 저작자와 협의를 통해 허가 절차를 걸쳐야 하는데 이 절차를 '클리어런스'라고 한다. 국내 언더그라운드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믹스테잎의 경우, 비용 문제로 이 절차가 생략되는 편. 종종 클리어런스를 거치지 않은 믹스테잎의 유료 배포가 문제시되어 판매 중단되는 일이 있다..[3] - 부틀렉
4. 음반 매장
문서가 있는 매장은 분류:음반매장을, 문서가 없는 매장은 음악 관련 정보의 음반 매장 문단 참조.5. 나라별 특징
5.1. 한국
초기에는 싱글이나 EP는 없고, 정규 앨범만을 발매하는 기형적인 형식이었다. 이는 SP나 EP보다 LP가 더 효율적이라는 이유로 LP만을 생산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한국 음반 시장에서는 '앨범'이 주 단위로 정형화되고, '타이틀 곡'이라는 독자적인 용어가 생겨났으며, 음악의 규격은 타이틀 곡과 후속곡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음반에 수록된 다른 노래들의 취급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겼고, 그 결과 효율적인 마케팅을 할 수 없었다.한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 음원 시장의 팽창과 함께 음원 불법 공유가 증가하고, 디지털 음원 시장이 발달하면서 음반을 사는 행위가 거의 팬질의 일부로 취급된다.(사실 음반 수집가도 음원은 컴퓨터로 리핑하고, 음반은 보관만 하는 것이 대부분.) 그래서 대중음악 음반들은 일반 CD케이스로 나오는 일이 드물고, 거의 소장용으로 빵빵한 사양을 갖춰서 나온다. 또한 음악 방송 순위에서 음반 판매량이 순위에 낮은 비율로 반영된다.(5~15%)
외국에서는 음반 출시를 알리는 텔레비전 광고도 자주 나오지만 한국에서는 시장성의 문제, 그리고 비주얼도 같이 신경 써 주는 음악산업이 뒤늦게서야(일찍 잡아도 1990년대 중반 지나서) 발전했다는 특성이 겹쳐진 탓인지 가수들이 새로운 음반을 낼때마다 광고를 잘 안하는 편이다.[4] 심지어는 서태지나 소녀시대같은 90년대 이후의 당대 유명가수 및 유명 아이돌 가수들 조차도 신보를 낼때마다 TV광고를 낸 사례가 거의 없다.[5] 한국에서 2010년대 이후로는 동방신기 5집, EXO 1집, 그리고 동방신기 7집이 TV 광고를 했으며 2014년 3월에는 소녀시대 미니 4집이 TV광고를 했다. 국내에서는 음반판매고를 어떻게든 올리기 위해
5.2. 일본
미국과 같이 음악의 주 단위는 '싱글'이며, 싱글이 쌓이면 정규 앨범을 출시하는 방식이다. 또, 단일 타입으로 출시하는 경우가 많은 한국과는 달리 하나의 싱글을 여러 타입으로 나누어 발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각 타입마다 수록곡이 다른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는 아이돌 계를 기준으로 하며, 솔로나 밴드의 경우는 차이가 있다.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음반 시장이다. 이로 인해 70년대부터 수많은 팝스타들이 프로모션/투어로 일본을 자주 방문했다.
6. 음반 판매량
자세한 내용은 음반 판매량 문서 참고하십시오.7. 음반 목록
===# 모든 정규 음반이 문서화된 뮤지션 #===
- 강타
- 걸스데이
- 골든차일드
- 공원소녀
- 국카스텐
- 그레이시
- 그린 데이
- 나니와단시
- 너바나
- 노기자카46
- 니시노 카나
- 다프트 펑크
- 도어즈
- 드림 시어터
- 디아 프램튼
- 라나 델 레이
- 라디오헤드
- 라붐(아이돌)
- 러블리즈
- Red Velvet
- 레드 제플린
- 레이디스 코드
- 레인보우
- 렌카
- 로빈 깁
- 루시드폴
- 링고 스타
- 마릴린 맨슨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마이클 잭슨
- 매기 린데만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메탈리카
- 멜라니 마르티네즈
- 머라이어 캐리
- 모리스 깁
- 뮤즈
- 미나세 이노리
- 미즈키 나나
- 배리 깁
- 버즈
- 머스트비
- 본 조비
- 비 지스
- 비틀즈
- BIGBANG
- 사운드 호라이즌
- SHINee
- 서태지/서태지와 아이들
- 소녀시대
- SUPER JUNIOR
- SEKAI NO OWARI
- 스트록스
- 스펙트럼(아이돌)
- 신승훈
- 신해철/N.EX.T
- 아이유
- 아케이드 파이어
- AKMU
- 오로라(노르웨이 가수)
- 아리아나 그란데
- 에픽하이
- 엘튼 존
- 여자친구
- 오마이걸
- 오아시스
- 우주소녀
- 우타다 히카루
- 울랄라세션
- 원더걸스
- 위키미키
- 윙스
- 유재하
- 윤하
- 음율
- 이문세
- 인피니트
- 이승환
- 임창정
- 자우림
- 전람회[7]
- 조용필
- 조이 디비전
- 조지 해리슨
- 존 레논
- 존 본 조비
- 주걸륜
- GBB(아이돌)
- 체리블렛
- 체리필터
- 칸예 웨스트
- 카라
- 칼리 레이 젭슨
- 캐시미어 캣
- 케이티 페리
- 코요태
- 콜드플레이
- 퀸
- 크라프트베르크
- 크립테리아
- 태연
- 토이(유희열)
- 트래비스
- 트래비스 스캇
- 페퍼톤스
- 폴 매카트니
- 프로미스나인
- 플래쉬(아이돌)
- 화나
- 하마사키 아유미
- Acid Black Cherry
- AKB48그룹
- Alan Walker
- Apink
- APRIL
- aespa
- BLACKPINK
- 보아
- Buono!
- BVNDIT
- B1A4
- DECO*27
- EXO
- f(x)
- globe
- GRANRODEO
- Ho1iday
- HOLICS
- H.O.T.
- IZ*ONE
- M.C The Max
- NCT
- NELL
- NewJeans
- ORANGE RANGE
- Perfume
- PIXY
- RIIZE
- SF9
- SG워너비
- Sia
- SS501
- TWICE
- XXX
- 2PM
- 국카스텐
- 김동률
- 김현철(가수)
- 나인뮤지스
- 나카모리 아키나
- 다비치
- 대국남아
- 러블레스
- 마마무
- 마후마후
- 먼데이 키즈
- 박정현
- 반젤리스
- 방탄소년단
- 보이프렌드
- 브라운아이드걸스
- 블락비
- 비스트
- 성시경
- SUPER JUNIOR
- 세븐틴
- 신화
- 심규선
- 써니힐
- 씨스타
- CNBLUE
- 아이언 메이든
- 애프터스쿨
- 에일리
- 엠투엠
- 예람
- 오렌지캬라멜
- 요정제국
- 유키스
- 유희열
- 윤상
- 윤종신
- 윤하
- 이문세
- 이소라
- 이시바시 에이코
- 이현도
- 장기하와 얼굴들
- 제이투엠
- 조유진
- 창모
- 카미야 히로시
- 캐스커
- 코토부키 미나코
- 크레용팝
- 타케타츠 아야나
- 터보(그룹)
- 티아라
- 틴탑
- 퓨처리스틱 스웨버
- 피싱걸스
- 4minute
- 현아
- 히스토리(아이돌)
- 에이피스
- B.A.P
- 비투비
- DAMIJAW
- EXID
- EXO
- f(x)
- 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 FTISLAND
- JAM Project
- 미쓰에이
- VIXX
- 2NE1
8. 관련 문서
[1] LP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디스크 형태의 음반의 총칭.[2] 하지만 국내에서는 신곡을 공개하는 것이 전략상 더 유리해서 하지 않는다.[3] 실제로 랩퍼 딥플로우는 한국에 한창 믹스테잎붐이 일어나던 2008년, 믹스트릿 닷컴이라는 믹스테잎 다운로드 전용 사이트를 만들고 본인의 믹스테잎인 "Rap Hustler"를 실제로 팔려고 5천장이나 찍어놨는데 소니 뮤직(Sony Music)에서 항의 전화가 와서 천여장만 팔고 나머지는 판매중지를 해야 했다. 참고로 당시 팔다가 남은 믹스테잎은 아직도 그의 집에 쌓여 있다고.[4] 대신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소설책 CF가 일본의 음반 CF에 맞먹는 비중을 자랑하고 있었다.[5] 서태지같은 경우 Seo Tai Ji의 티저 광고가 TV 전파를 탄 사례가 있긴 하다. 물론 소녀시대처럼 한류로 일본진출한 경우에 한정짓자면 이러한 신보 TV광고가 나오는것으로 보인다. 물론 일본반 광고용이기 때문에 이러한 광고들은 일본 TV에서만 볼 수 있다.[6] 유재하의 앨범은 이 앨범 한 장뿐이다.[7] 전람회의 음반은 단 3장이다.[8] 이쪽의 경우는 음반 목록뿐 아니라 곡들도 개별 문서가 생성된 것이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