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4-05 10:34:45

아프로디테스 차일드/음반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반젤리스
1. End Of The World (1968)2. It’s Five O’Clock (1969)3. 666 (1972)

1. End Of The World (1968)

파일:external/www.elsew.com/endofw_b.jpg

국제적 명성을 얻을 수 있었던 1960년대 그리스의 락밴드 아프로디테스 차일드의 데뷔 앨범은 완벽하게 영어를 구사하는 보컬이 아니었으며,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변환하는 접점에서 겉멋만 든 영국 사이키델릭 록 그룹의 작품으로 들린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론가들의 의견이었다.

사실, 아프로디테스 차일드 밴드 자체의 음악적 완성도와 작품성은 여타 영국 밴드들보다도 훨씬 우수했지만 데뷔 앨범의 완성도로 따져 보았을 때는 다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들이 아무리 그리스의 유복한 가정에 태어난 자식들이어도 혈혈단신으로 영국과 프랑스에서 비잔틴식 억양의 영어를 구사하며 그것도 사업이 아닌 음악을 하기 위해 건 것이라면 그들의 음악성이 아무리 좋더라도 차별이라는 꼬리표는 어쩔 수가 없었다. 특히 영국과 미국등지의 자국 제작사들에게 적극적 지원을 받는 아티스트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음악을 했어야 했다. 물론 이들 아프로디테스 차일드 뿐 아니라, 스코틀랜드 출신의 포크록 가수 도노반과 같은 가수들도 인고의 시간을 보내며 데뷔를 했는데 도노반의 경우, 음악을 하기위해 걷거나 히치하이킹으로 런던에 도착하여 음악을 시작했다. 즉 당시 이러한 인재들의 데뷔는 당연한 것이었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을 타파하기 위해 밴드는 데뷔 앨범을 기존의 사이키델릭 밴드들보다 감성적이게 제작하였다. 자신의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부르는 데미스 루소스의 어색한 보컬과[1] 반젤리스가 당시 유행하던 멜로트론을 사용하여 이끌어 낸 멜랑꼴리한 장엄함은 사이키델릭 밴드들이 생각했을 적절함보다도 더욱 감성적이었고 이러한 밴드의 사운드는 대중들에게 부담스럽게 작용하였다.

하지만 해외에서의 반응과 달리 본국인 그리스에서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무엇보다도 이 앨범을 통하여 그리스내의 밴드들과 대중들이 사이키델릭 록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 앨범이다.

1. End of the World 3:13
2. Don’t Try to Catch a River 3:38
3. Mister Thomas 2:52
4. Rain and Tears 3:10[2]
5. The Grass is No Green 6:05
6. Valley of Sadness 3:13
7. You always Stand in My Way 3:55
8. The Shepherd and the Moon 3:04
9. Day of the Fool 5:50


타이틀곡 End of the World.


정작 타이틀곡보다 더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둔(...) Rain and Tears.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Lacrime e pioggia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어 달리다(Dalida) 외 많은 가수들이 리메리크하기도 했다.


The Shepherd and the Moon. 1집 중에서 메인 두 곡을 제외하고 2015년 12월 현재 유일하게 웹에 실황 영상이 남아 있는 귀중한 영상.

2. It’s Five O’Clock (1969)

파일:external/www.elsew.com/itsf_b.jpg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은 데뷔앨범의 연장선상이자, 자신들의 모험과도 같은 방법들 중의 하나였다. 앨범 내에 쓰인 키보드 연주는 당대 유행하고 있던 영국 사이키델릭 밴드들의 연주를 기반으로 하였다. 타이틀 곡의 오르간은 루퍼트 피플스의 'Reflections of Charlie Brown'같이 영국 사이키델릭 록 앨범내 연주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밴드는 이 앨범에서 기존의 사이키델릭 밴드들과는 무척 상반된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다소 열렬한 사회 의식('Wake Up'), 꽤나 파워풀하고 팝-사이키적인 곡('Let Me Love, Let Me Live')이나, 최소한으로 성공을 얻은 컨츄리 록('Take Your Time') 과 걸걸한 경극배우 목소리('Good Time So Fine')를 내기도 했다. 'Funky Mary'는 손드럼, 봉고, 그리고 재즈 비브라폰의 뮤지크 콩크리트연주 지원 속에서 데미스 루소스가 기존의 굉장히 감성적이고 로맨틱한 창법과 정반대되는 미니멀적인 보컬을 들려주는 거의 실험적인 곡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완성도를 지닌 수작이다. 8번 트랙 'Marie Jolie'는 그야말로 그리스를 여행하는 것 같은 지중해 풍의 이국적인 분위기와 발라드와 팝의 결합을 떠올릴 만한 명곡이다.

아프로디테스 차일드의 곡이 대개 그렇지만 이 앨범의 곡들은 거의 다 반젤리스 작곡이며, Annabella는 데미스 루소스, Let Me Love, Let Me Live는 루카스 시데라스의 작곡이다. 본래 드러머 포지션인 루카스 시데라스도 자신이 작곡한 Let Me Love, Let Me Live에서 메인으로 노래하지만, 전체적으로 데미스 루소스의 메인 보컬이 미친 존재감을 자랑한다. 꼭 여러 사람이 부른 것 같은 Good Time So Fine도 데미스 루소스의 원래 보컬에서 음정을 한 음 낮추고 올려 편집한 결과물. 특유의 발음이나 발성이 다 티가 난다(...). 이때 나온 특이한 목소리는 이후 666 앨범의 The Beast 같은 곳에서 다시금 쏠쏠하게 써먹는다.

아프로디테스 차일드는 데뷔 앨범에서 미약하게 나마 느껴졌던 사이키델릭의 색깔과 그들이 본래 갖고 있던 비잔틴적, 지중해풍의 억양과 음조를 잘 결합한 2집 앨범을 통해서 영국 음악을 카피하는 그리스 출신의 초짜 아티스트가 아님을 세상에 널리 알렸다. 하지만 앨범의 판매량은 데뷔 앨범보다 저조했고 이에 아프로디테스 차일드는 데뷔 앨범과 두 번째 앨범따위는 장식임을 느끼게 해주는 거대한 앨범을 만들게 되는데...

1. It’s Five O’Clock 3:29
2. Wake Up 4:05
3. Take Your Time 2:40
4. Annabella 3:55
5. Let Me Love, Let Me Live 4:42
6. Funky Mary 4:11
7. Good Time So Fine 2:44
8. Marie Jolie 4:47
9. Such A Funny Night 4:33


타이틀곡 It's Five O'Clock.


루카스 시데라스가 보컬로 노래한 몇 안 되는 작품 Let Me Love, Let Me Live. 이 영상은 TV 출연용으로 약간 축약된 버전이고 풀 버전은 이쪽 링크를 참조. #


앨범의 마지막 곡 Marie Jolie.

3. 666 (1972)

항목 참조.


[1] 앨범내에 수록된 하드록 곡에서는 다소 과잉된 소울풀한 보컬을 선보였다.[2] 앨범 발매 1년전에 싱글로 발매되어 대박을 친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