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대전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동양고속에서 단독 운행했다.[1][2]2. 노선 정보
고속버스 대전복합 - 동대구 | |||||
기점 |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
동대구행 (하행) | 첫차 | 10:50 | 대전복합행 (상행) | 첫차 | 07:10 |
막차 | 18:10 | 막차 | 14:30 | ||
배차간격 | 운행 중단 | ||||
운수사명 | 동양고속 | ||||
노선 |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 ↔ 경부고속도로 ↔ 금호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서대구IC ↔ 신천대로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노원로 ↔ 신천대로 ↔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3. 특징
- 완행고속버스가 활발히 운행된 과거에는 이 노선도 완행 노선이 존재했는데, 2004년에 시외버스 동대구-구미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 본래는 한진고속, 천일고속, 코오롱고속, 한일고속도 공동 배차했으며, 당시 일반고속은 한진고속과 한일고속만 운행했다. 동양고속은 한진고속을 인수하기 전까지 이 노선에 우등고속 1대만 투입했으며, 한진고속을 인수한 후 배차를 흡수해서 일반고속도 운행 중이다. 천일고속은 오래 전에 철수했다. 코오롱고속이 금호고속에 넘어가면서 금호고속도 자연히 공동 배차해 왔으나 철수하였고, 코로나19로 버스 수요가 줄면서 한일고속마저 철수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대전 ↔ 대구 구간은 철도편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3] 막차도 빨리 종료되며, 심야편도 없다. KTX가 운행하기 시작한 후에는 배차간격이 30~40분에서 50~60분으로 점차 늘어났다. 그래도 완전히 몰락한 대전 ↔ 울산, 대전 ↔ 포항 노선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많이 감차되지 않았고, 서대구역이 개업한 2022년에 들어서야 대전 ↔ 대구 노선이 더 감차되었을 정도로 감차되는 시기는 상대적으로 늦었다. 울산, 부산, 포항보다 거리가 가깝다 보니까 KTX와의 소요시간 차이도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가[4],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기준으로는 나름대로 경쟁력이 있기 때문.[5]
- 충남 서해안에서 동대구로 가려는 충남 서해안 거주민에게는 없어서야 안되는 노선이기도 했다. 서산 ·당진 ↔ 동대구 노선의 폐선 이전에는 동대구로 이동하려는 경우에 이 노선을 대체적으로 활용했다. 출발시간만 잘 맞으면 최소 3시간 40분 정도 이동이 가능하고 모두 일반으로 간다면 19,700원에 대구로 싸게 이동할 수 있었다. KTX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역 간 연계교통의 불편으로 환승저항이 쉽게 발생했다.[6]
- 2023년 4월 1일부터 한일고속이 복귀했다. 대신 한일고속은 금~일만 복귀하며 배차는 1일 4회로 동일하다. 동양고속 2회는 그냥 그대로 철수하여 월~목은 우등 1일 2회만 운행, 결국 대전 ↔ 대구 노선도 사실상 몰락하고 말았다.[7]
- 2023년 6월 1일부터 한일고속이 철수하여 동양고속 단독으로 운행하여 충남 서해안 여행객들의 불편이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이며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역 간의 환승저항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대전 ↔ 천안 고속버스 첫차 시간도 한시적으로 천안에서 대전복합 방향에 한해 6시 30분이 없어지고 7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시외로 통합후 6시 30분발이 복귀한다. 그 이전에는 7시 정각에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첫차가 운행되고 있다.
- 대전에서 영남권으로 가는 마지막 고속버스 노선[8]으로 버티고 있었으나, 결국 수요 감소에 의한 적자 누적 때문에 2024년 2월 29일을 마지막으로 폐선되었다.[9] 그나마 수요가 있었던 서대구 수요마저 서대구역이 여객영업을 시작하자 수요가 급감했다. 이 영향으로 대전에서 영남권으로 가는 고속버스 노선은 전멸했다. 그래서 모든 열차표가 매진되거나 열차 고장, 자연재해 등 선로 문제 및 철도파업이 크게 발생한다면 대중교통으로 대구 ↔ 대전 구간의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아예 방법은 없지 않지만, 대전에서 구미역까지 일반열차 입석표를 끊거나 시내버스를 여러번 갈아타면서 구미역부터는 대경선 전철을 이용할수가 있다.
- 폐선 이후 대전에서 오직 버스로만 가야 한다면 거창이나 진주등으로 내려와서 거기서 다시 대구서부[10]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는 엄연히 다른 곳이다!!] 가는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거창으로 가는 이 경우에는 함양이나 거창에서 다시 매표를 나눠해야 하고 함양을 거쳐 가기 때문에 3시간 정도 걸린다. 거기에 대전복합터미널에서 함양을 거쳐 거창으로 운행되는 노선 80%가 대구서부정류장으로 연결되고 그래서 대전복합터미널에서는 거창을 거쳐 버스편으로 대구를 갈꺼라면 무주까지만 끊어 무주부터 거창까지 시내농어촌버스 릴레이를 하고 거창에서 다시 대구서부정류장표를 끊어 이동하는 방법밖에없는데 문제는 거창-대구서부정류장노선 자체가 비좌석제 선착순으로 만차시 다음차를 기다려야하는 문제가 있기에 극단적으로 지정좌석제 착석이 보장되는 고령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서 또 606번을 타고 대구로 가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거기에 12월 14일 606번은 대구버스와 대경선개통과 동시에 광역환승할인이 시행될 예정이다. 폐선 전 2월 24일 KTX가 동대구역에서 멈췄고, 폐선 후 8월 18일 동대구역과 경주역 사이에서 KTX-산천이 탈선하여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 평일 한정으로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하차 승객이 없는 경우 바로 북대구IC로 진출 후 신천대로를 통해 동대구터미널로 향한다. 이때는 기사가 물어본다.[11]
- 대전 ↔ 대구 구간은 KTX/SRT, 일반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그 중에서도 고속열차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노선의 폐선 이후로 선택지가 고속열차 밖에 없다. 고속버스는 대전-서대구간 KTX 운임보다 2,000원, 그리고 동대구간 KTX 운임보다 3,600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4월말까지 주말, 공휴일 임시편으로 운행한 대전-동대구 직통 ITX-마음 열차도 28분 더 빠르고 700원 정도 저렴하다.
4. 사건사고
5. 운임표
[12][13]일반[14] | 우등 | |
성인 | 11,000원 | 16,100원 |
아동 | 5,500원 | 8,100원 |
6.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만평역
- 일반 철도역: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7.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대전광역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대전복합 ] {{{#!wiki style="margin: -5px 0;" |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colbgcolor=#00ae4d><colcolor=#fff>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
충남 | ↔태안 | ↔서산 | ↔당진 | ||
강원 | ↔강릉(고속) | ||||
호남 | ↔광주 | ↔전주(고속) | |||
운휴/폐지 | ↔부산(노포) | ↔부산(사상) | ↔동대구 | ↔포항 | |
↔상봉 | ↔울산 | ↔천안(고속) | |||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수도권 | ↔광주,하남 | ↔용인,기흥,신갈 | ↔인천공항 | ↔안산 | |
↔안성 | ↔의정부 | ↔서울남부 | ↔성남 | ||
영남 | ↔함양,거창 | ↔진주 | ↔창원,마산,김해 | ↔사천,삼천포 | |
↔남해 | ↔상주,점촌(완행) | ↔안동, 영주 | ↔통영, 고현 | ||
충북 | ↔청주공항 | ↔혁신도시,진천 | ↔청주 | ||
충남 | ↔공주 | ↔금산 | ↔논산 | ↔천안 | |
↔보령 | |||||
강원 | ↔(원주,횡성,홍천),춘천 | ↔원주,횡성,홍천,인제,속초 | ↔태백,고한,영월 | ↔강릉(시외),동해,삼척 | |
↔원주 | |||||
호남 | ↔무주(직통) | ↔무주,장수,남원 | ↔군산 | ↔광양,여수 | |
폐지 | ↔연천,문산 | ↔김해공항 | ↔안동(완행) | ↔거창(완행) | |
↔수원,오산 |
- [ 유성(고속) ]
- [ 유성(시외) ]
- [ 대전서남부 ]
- [ 둔산(고속) ]
- [ 둔산(시외) ]
- [ 도룡동 ]
- [ 자운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 ↔동서울 ||
문서가 존재하는 대구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동대구 ] {{{#!wiki style="margin: -5px 0;" |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colbgcolor=#368846><colcolor=#fff> 수도권 | ↔ 서울경부 | ↔ 동서울 | ↔ 인천 | ||
↔ 성남 | ↔ 구리, 의정부 | ||||
강원도 | ↔ 춘천 | ↔ 원주 | |||
충북 | ↔ 청주 | ||||
호남권 | ↔ 광주 | ↔ 전주 | ↔ 목포 | ||
↔ 순천 | |||||
부산/경남 | ↔ 부산 | ↔ 진주 | ↔ 마산, 진해 | ||
폐지 | | |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 |||||
수도권 | ↔인천공항 | ↔이천,여주 | ↔신갈,용인 | ||
충청 | ↔제천 | ↔충주 | |||
대구/경북 | ↔구미 | ↔포항(직통) | ↔포항(완행) | ||
↔경주 | ↔예천,경북도청 | ↔상주,점촌 | |||
↔점촌(직행) | ↔죽장 | ↔청송 | |||
↔영덕,울진 | ↔울진,영해,영덕(직행) | ↔ 안동 | |||
↔ 영주 | |||||
강원 | ↔동해,삼척,강릉,속초(직행) | ||||
부산/울산/경남 | ↔해운대 | ↔양산 | ↔김해공항 | ||
↔고현 | ↔울산 | ||||
운행중단 | ↔ 언양 | ↔ 울산(완행) | ↔ 포항(경주경유) | ||
↔ 거창 | ↔ 부천,고양 | ↔ 수원,안산 | |||
↔ 세종,평택 | 속초(포항미경유) | ↔ 당진,서산 | |||
↔ 천안 | ↔ 군위,의성 | ||||
폐지 | ↔ 대전청사,유성 | ↔ 부산서부 | ↔ 울진,강릉,속초(완행) | ||
↔ 왜관,김천 | |
- [ 서대구(고속) ]
- [ 대구서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안산,수원,오산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충청 ↔청주 대구/경북 ↔포항 ↔구미 ↔경주 부산/경남 ↔부산서부 ↔마산,창원 ↔진주 ↔창녕(직행)/(완행) ↔김해 ↔남마산,고성,통영 ↔거창,함양 ↔해인사 ↔초계 ↔울산 ↔삼천포 호남 ↔광양,순천,여수 ↔광주, 나주 ↔남원(완행) ↔익산,군산 ↔전주
- [ 대구북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인천공항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강릉,양양,속초 ↔태백,고한 ↔태백(완행) 충청 ↔충주 대구/경북 ↔포항 ↔안동 ↔영주,춘양 ↔진보,영양 ↔탑리,춘산 ↔점촌,상주 ↔예천 ↔군위,도리원,안계(완행) ↔풍양,지보(완행)
- [ 현풍 ]
- [ 군위 ]
[1] 현재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대구 서부정류장 시외 노선이 사라진 관계로 대전-대구 전환 시외버스 버전이라 해도 된다.[2] 현재 대전복합에서 대구서부-고령-합천운행 타이틀은 12월 26일부터 서울남부-성주-고령-합천 중 1회가 대전에 중간 경유하게 되었다가 다시 무정차 운행으로 변경했다.[3] 대전 ↔ 부산 구간도 마찬가지다. 대전 ↔ 울산, 대전 ↔ 포항 노선이 대전 ↔ 대구, 대전 ↔ 부산(이후 대전 ↔ 서부산 계통이 분리) 노선보다 고속버스 운행 횟수가 많았던 이유는 당시 울산과 포항의 철도교통 여건이 열악했기 때문이다.[4] 서울 ↔ 대전, 서울 ↔ 둔산(대전청사), 서울 ↔ 천안, 서울 ↔ 유성 노선이 승객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5] 서대구역이 있긴 하지만,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서대구역보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좋다.[6] 그러나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천안 구간이 개통되어 당진-부산사상 고속버스 노선이 선산휴게소에 들어갈 확률이 생겼기 때문에 선산휴게소 환승이라는 대안이 새로 나올 수도 있다.[7] 몰락과 동시에 막차편이 끊긴다면 터미널 앞에서 택시를 타라고 권유하기도 하는데 대전역에서 KTX·SRT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또 막차도 23시 44분(SRT 379)으로 늦게까지 있다.[8] 진주, 마산, 창원 등 경전선 라인 지역이나 영주, 안동, 상주, 점촌 등 철도로 바로 갈 수 없는 지역들, 함양, 통영, 거제 등 철도가 아예 없는 곳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은 남아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남부내륙선이 개통한다면 몇몇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9] 공식 문서에는 '운행 중단'으로 되어 있으나, 티머니GO 및 고속버스티머니 등 예매사이트의 팝업 공지에는 '폐선'으로 공지되고 있다.[10] 일명 '서부정류장'으로[11] 이유는 동대구로 끊고도 서대구에서 내려서 가는 경우가 있어 물어보는 듯하며 매표를 서대구로 하면 검표에 떠서 물어보지 않는다. 또한 서대구로 끊고도 깊이 잠들어서 동대구터미널에 도착해도 같은 대구 운임이기에 부정승차로 간주하지 않는다. 열차는 대전역에서 KTX, SRT를 서대구역으로 끊고 동대구역으로 가거나 무궁화, ITX-새마을, ITX-마음을 대구역으로 끊고 경산역까지 가거나 할 경우 운임이 틀려 부정승차로 간주해 부정승차한 추가운임에 10배의 부가운임을 징수할 수 있기 때문.[12] 이 노선은 동대구와 서대구출발 운임 동일[13] 지금 현재 요금이 대전 ↔ 서대구 KTX 운임과 2,000원, 대전 ↔ 동대구 KTX 운임과 3,600원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KTX, SRT를 이용해 서대구역 혹은 동대구역으로 이동해 목적지로 가는게 낫다.[14] 정규 배차에는 없으나 설, 추석 명절 등 임시배차에는 투입될수 있어 요금만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