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3:39:29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대구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동대구 ]
{{{#!wiki style="margin: -5px 0;"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colbgcolor=#368846><colcolor=#fff>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구리, 의정부
강원도 ↔ 춘천 ↔ 원주
충북 ↔ 청주
호남권 ↔ 광주 ↔ 전주 ↔ 목포
↔ 순천
부산/경남 ↔ 부산 ↔ 진주 ↔ 마산, 진해
폐지 ↔ 경주(고속) ↔ 울산 ↔ 대전복합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인천공항 ↔이천,여주 ↔신갈,용인
충청 ↔제천 ↔충주
대구/경북 ↔구미 ↔포항(직통) ↔포항(완행)
↔경주 ↔예천,경북도청 ↔상주,점촌
↔점촌(직행) ↔죽장 ↔청송
↔영덕,울진 ↔울진,영해,영덕(직행) ↔ 안동
↔ 영주
강원 ↔동해,삼척,강릉,속초(직행)
부산/울산/경남 ↔해운대 ↔양산 ↔김해공항
↔고현 ↔울산 ↔거창
운행중단 ↔ 언양 ↔ 울산(완행) ↔ 포항(경주경유)
↔ 부천,고양 ↔ 수원,안산
↔ 세종,평택 속초(포항미경유) ↔ 당진,서산
↔ 군위,의성
폐지 ↔ 대전청사,유성 ↔ 부산서부 ↔ 울진,강릉,속초(완행)
↔ 왜관,김천 ↔경기광주,하남 ↔ 천안
}}}}}}}}}
[ 서대구(고속)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2> 수도권 ||<width=25%> ↔ 서울경부 ||<width=25%> ↔ 동서울 ||<width=25%> ↔ 인천 ||
↔ 성남 ↔ 의정부
강원도 ↔ 춘천
충북 ↔ 청주
호남권 ↔ 광주 ↔ 전주 ↔ 순천
경남 ↔ 진주 ↔ 마산, 진해
폐지 ↔ 대전복합
[ 대구서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안산,수원,오산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충청 ↔청주
대구/경북 ↔포항 ↔구미 ↔경주
부산/경남 ↔부산서부 ↔마산,창원 ↔진주
↔창녕(직행)/(완행) ↔김해 ↔남마산,고성,통영
↔거창,함양 ↔해인사 ↔초계
↔울산 ↔삼천포
호남 ↔광양,순천,여수 ↔광주, 나주 ↔남원(완행)
↔익산,군산 ↔전주
[ 대구북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인천공항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강릉,양양,속초 ↔태백,고한
↔태백(완행)
충청 ↔충주
대구/경북 ↔포항 ↔안동 ↔영주,춘양
↔진보,영양 ↔탑리,춘산
↔점촌,상주 ↔예천
↔군위,도리원,안계(완행) ↔풍양,지보(완행)
[ 현풍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서울남부 ||<width=25%> ↔동서울 ||<width=25%> ||
부산/경남 ↔부산서부 ↔거창(직통)/(완행) ↔마산,창원
↔창녕
대구/경북 ↔대구서부 (창녕발)
[ 군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동서울 ||<width=25%> ↔인천,안산,수원 ||<width=25%> ||
대구/경북 ↔구미 ↔대구북부 ↔안동(완행)
(대구북부발)
(인천발)
↔안동(직행)
}}} ||



파일:wdhiic-fx1.png 파일:wdhsic-ngp.png
대원고속 차량 사진[운행재개_이후] 거창고속 차량 사진[코로나19로_인한_운행중단_이전]

1. 개요2. 노선 정보3. 폐지된 노선4. 역사5. 특징
5.1. 시간표5.2.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구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령군 대가야읍과 쌍림면(귀원), 합천군 야로면과 가야면을 거쳐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를 잇는 노선이다.

2. 노선 정보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
기점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종점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해인사)
해인사행 첫차 06:40 대구서부행 첫차 06:40
막차 20:00 막차 20:00
운수사명 거창고속 운행횟수 1일 14회(40분~80분 간격)
상세 노선 서부정류장 -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옥포JC - 광주대구고속도로 - 동고령IC - 26번 국도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귀원(쌍림면)[3] - 26번 국도 - 분기 - 1084번 지방도 - 야로 - 1084번 지방도 - 59번 국도 - 가야 - 해인사입구 - 해인사터미널

3. 폐지된 노선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직통)[4]
기점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종점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해인사)
해인사행 첫차 대구서부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5] 운행 횟수
상세 노선 서부정류장 -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옥포JC - 88올림픽고속도로 - 해인사IC - 야로 - 1084번 지방도 - 59번 국도 - 가야 - 해인사입구 - 해인사터미널

4. 역사

5. 특징

5.1. 시간표

대구서부 → 고령 → 해인사 운행시간표 해인사 → 고령 → 대구서부 운행시간표[45]
대구서부 고령 해인사 고령
06:40 07:10 06:40 07:25
08:00 08:30 08:00 08:45
08:40 09:10 08:40 09:25
10:00 10:30 10:00 10:45
11:00 11:30 10:40 11:25
12:00 12:30 12:00 12:45
12:40 13:10 12:50 13:35
14:00 14:30 14:00 14:45
14:40 15:10 14:40 15:25
16:00 16:30 16:00 16:45
16:40 17:10 16:40 17:25
18:00 18:30 18:00 18:45
19:00 19:30 18:40 19:25
20:00 20:30 20:00 20:45

5.2. 연계 철도역


[운행재개_이후] 대원고속과의 공동 운행 당시(2020년 5월 23일~2024년 11월 24일)[코로나19로_인한_운행중단_이전] 경전여객, 대원고속과의 공동 운행 당시(2018년 11월 7일~2020년 2월 23일)[3] 귀원삼거리에 정차한다.[4] 이 타이틀은 대구광역시에서 거창군, 함양군으로 넘겨 대전복합터미널로 변경했으나 2022년 코로나로 인한 수요감소로 폐선되었다.[5] 알수없음.[6] 대구서부에서 고령까지 고속도로 직통으로 운행한다.[7] 88올림픽고속도로 개통 이후부터 대구서부-상인동-논공-고령 구간은 경상교통(현. 대가야여객)의 시외완행버스 300번이 담당하게 되었으며, 300번 시외완행버스는 1998년에 일반시내버스 606번으로 전환해 서문시장으로 연장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자세한 건 고령 버스 606 참조.[8] 동시에 코리아와이드 그룹의 진안고속이 고령에서 철수했다.[9] 한편 경전고속은 대구-합천완행대구-진주완행도 운행을 중지하면서 대구에서 고령방면으로는 경전여객이 철수하였으며 고령에서 대구 방면도 2022년 10월 11일에 경전고속이 철수함에 따라 대구-고령 구간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 대구서부 - 고령 노선의 철수한 대부분 배차는 경전고속이며, 3회 정도만 거창고속이 감회했다.[10] 한편 고령의 모든 노선으로 넓혀봐도 합천행 2회 및 진주행 2회, 서울남부행 2회 밖에 남지 않게 되어 경전고속의 80% 이상 배차가 고령에서 철수했다.[11] 동시에 KD 운송그룹대원고속이 고령에서 철수하게 되었다.[12]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 및 합천-삼가(합천직통은 합천만 경유하는 진주행이다)를 경유하는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노선을 합쳐 16~18회(평일은 16회, 금요일은 17회, 토일, 공휴일은 18회.)를 운행했으나, 코로나19 이후 1일 10회 운행(대구서부 - 합천, 삼가 단독 운행 운행중단, 또한 대구 ~ 합천간 완행 완전 운행중단 및 대구서부--합천-진주 노선(1일 6회)과 대구서부-합천-사천, 삼천포 노선(1일 2회, 단, 주말 1일 4회)으로 줄었다.[13] 그리고 이 노선도 코로나19 이후 1일 14회 운행으로 줄었다.[14] 참고로 합천→대구 방면으로 이용시에는 합천에서는 좌석이 6석 밖에 배정되지 않는다.[15] 하지만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는 2024년에는 고령 606번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 포함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해져 대구서부(서부정류장)~고령 구간의 수요는 대부분 도시철도와 환승이 불가능한 시외버스 대신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한 606번으로 쏠리게 될 것이다.[16] 고령 장날 때 고령~가야 구간에서는 자리가 차게 되는 상황이 생긴다.[17] 단, 등산객 수요가 많은 주말에는 고령에서 탈 시 자리가 동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18] 고령축협은 버스기사에게 '축협에 세워 주세요'라고 얘기하면 세워준다.[19] 물론 이는 성주-대구서부대구서부-초계도 마찬가지.[20] 가야-해인사 구간은 버스기사에게 'OO에 세워 주세요'라고 얘기하면 세워준다.[21] 소리길 트래킹을 하려면 대장경테마파크에서 내려야한다.[22] 진안고속 시절의 진안고속 시간은 경상북도에 민원을 넣어야 했었으며,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를 했었던 시절의 대원고속 시간은 경기도에 민원을 넣어야 했었다.[23] 이전에는 대구서부-고령-초계 노선 외에도 대구서부-고령-가조-거창 노선, 대구서부-고령-묘산-거창 노선과 번갈아가며 운행했었다.[24] 2010년대 중후반부터 2022년까지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45인승 일반 중고차량으로 운행하였다.[25] 순수 일반 차량(수평와이퍼 적용)과 좌석 개조 차량(수평와이퍼 적용/미적용)으로 나뉜다.[26] 2010년대 초반 이후에는 주로 대구서부-의령-진주 노선과 진주-사천-삼천포 노선, 마산-함안(-의령) 노선에만 운행하다가 2014년에 유니시티로 대차되었다.[27] 2005년식은 2010년대 초반에 대구서부-의령-진주 노선과 진주-사천-삼천포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2010년대 중반 또는 후반에 유니버스 럭셔리 또는 프레스티지로 대차되었으며, 2007년식은 2014년 이후에는 대구서부-의령-진주 노선과 진주-사천-삼천포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2010년대 후반 경에 유니버스 프레스티지로 대차 되었다.[28] 2014년식 유니시티는 2015년 경에 관광부로 이적되었다.[29] 하차벨이 달려있으며, 소리는 나지 않았다.[30] 현재 2010년식 유니버스 럭셔리 45인승 일반 중고차량은 진주-사천-삼천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LG디스플레이 셔틀버스 출신 2011년식 뉴그랜버드 파크웨이 45인승 일반 중고차량은 다른 노선에서 운행 중이거나 말소되었다.[31] 가끔 그랜버드/뉴그랜버드 파크웨이 28인승 우등차량이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32] 대구서부-구미-청주-문산 노선의 전신인 구미-청주-문산 노선에도 운행하였다.[33]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2대 모두 말소되었다.[34] 가끔 구형 예비차량이나 2016년식 뉴그랜버드 파크웨이 28인승 우등차량이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35] 2017년 2월부터 2018년 11월까지는 창문에 대구(서부정류장)-상주-수원이라는 스티커이 붙혀지기도 하였다.[36] 2024년 1월 경에 평택-당진(R8340) 노선과 평택-부천(R8434) 노선, 평택-충주 노선의 운행 중단으로 인해 차량이 남아돈 평택영업소에서 넘어왔다.[37] 2021년 경에 동대구-울산 노선의 시외우등 전환으로 인해 동대구-울산 노선에서 넘어왔다.[38] 2020년 이전에는 경북고속 출신 2011년식 FX120 41인승 일반 차량 2대도 함께 운행하였으나 1대는 2019년에 청주-김포공항-김포-강화 노선으로 이적하다가 2020년 경에 말소되었고 1대는 계속해서 대구서부-대구북부-원주-춘천 노선의 일반 시간대와 이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2020년 경에 말소되었다.[39] 2024년 1월까지는 2014년식 FX116 41인승/45인승 일반 차량이 운행하였으나 FX116 41인승 일반 차량은 2023년 12월에 말소되었으며, FX116 45인승 차량은 2024년 1월에 광역버스 예비차로 전환되어 광역버스 노선의 예비차로 운행 중이다.[40] 2020년~2021년 사이와 2023년 12월부터는 대구서부-대구북부-원주-춘천 노선의 고정 차량(코로나 이전에는 우등 시간대 고정 차량)인 FXII120 28인승 우등 차량이 이 노선에 가끔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대원고속 대구서부-해인사 우등[41] 대구서부→고령 06:40[42] 대구서부→고령 20:00, 고령→대구서부 20:45[43] 대구-고령 완행 고령 버스 606번의 막차는 대구(서부정류장, 서문시장)방향은 20:20(서문시장 종료)이며, 고령 방향은 서부정류장에서 21:10(서부정류장 중간 출발)이다.[44] 실제로 대구서부보다 부산서부에서 고령, 거창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고령으로 와서 이 노선을 갈아타고 가야산으로 등산 오는 수요가 많다고 한다. 실질적으로 대구권은 가야산이 아닌 팔공산등산객이 많다는 점에 부각된다.[45] 고령 → 대구서부 한정으로 경일교통 배차도 이용할수 있으나 그 노선은 성주에서 출발 하므로 본 문서에는 따로 기재하지 않는다. 고령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시간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