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2:45:33

경제왕 연산군/개변된 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제왕 연산군
1. 개요2. 조선
2.1. 경제2.2. 정치2.3. 사회2.4. 군사
3. 국외
3.1. 명나라3.2. 일본3.3. 동남아시아

1. 개요

웹소설 경제왕 연산군에서 개변된 역사.

2. 조선

2.1. 경제

2.2. 정치

2.3. 사회

2.4. 군사

3. 국외

3.1. 명나라

3.2. 일본

본작은 일본이 분열되어 있어서 조선이 군사적으로 개입하기 쉬우며, 무역 확대가 매우 용이하다는 지리적 요인을 반영하여 타 대체역사소설들에 비해 일본의 이야기가 비해 자주 다뤄지는 편이다. 오키나와와 홋카이도를 포함한 현대 일본의 영토도 이 단락에서 다룬다.

3.3. 동남아시아

본작은 원래 역사의 시대상과 주인공의 대전략이 반영되어 다른 대역물과 다소 다르게 동남아시아 항로의 비중이 상당하다.


[1] 미래 한국에 있을 적 IMF 사태저축은행 사태를 겪어보고 은행을 믿지 않고 장롱에 돈을 보관하는 할머니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서 조선의 백성들은 대부분 이런 수준일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2] 그래서 조선의 경제적 안정성이 21세기 산유국에 도달한 데 뒤이어 조선의 민주주의도 21세기 강대국 수준에 도달했다는 너스레가 나왔다.[3] 이것도 집중된 것으로, 서울 이외의 지방에 있는 갑옷장 다 합해 50명이란다.[4] 주인공이 4학년 당시 빨리 취직해야 하는데 사학과목이 발목을 잡는다고 짜증을 내던 걸 감안하면 취직 준비를 위해서 경영학 수업을 들었거나 경영학 자격증 공부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5] 경식은 딱히 불교에 유감이 있었다는 말은 없었으므로 이융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물론 신하들은 아주 반가워했다.[6] 정부 납품분은 세금이 없고, 같은 양만큼 세금이 공제된다. 즉 정부에 납품한 양 이내만큼에서는 완전면세로 팔 수 있다.[7] 현대 우유 생산 역시 그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 잔인하진 않다. 낙농업을 주제로 다룬 만화 백성귀족에서는 그걸 직접적으로 밝힌다.[8] 이조전랑은 정 6~5품 수준이라 별로 고위직이 아닌 것 같지만 대간들에 대한 인사권이 있는 자리라서 권한이 매우 강했다. 본작의 대간들이 의미있는 저항을 못한 이유의 태반도 이조전랑이 대간들을 좌지우지한다는 점을 들어 단숨에 쳐내진 것이 크다.[9] 다만 경식이 조선의 물가 산정 과정에서 좀 착각하는 바람에 갑사들에게 수당을 과도하게 많이 주고 있다는 묘사가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진행된 이후 전개에서는 비중이 많이 내렸을 것이다.[10] 조선 전국의 결수가 이론상 160만 결 정도여서, 지폐로 세금을 걷으려면 1600만 전이 필요한 상태였다.[11] 한민족의 식사량 문서에서도 나오지만, 이극돈은 정말로 조선인들이 너무 많이 먹어서 기근에 시달리는 것이라는 주장을 한 사람이다. 연산군 시절에 활동한 사람인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무오사화 때 김일손을 고발한 사람으로, 본작 초반에 꽤 언급되는 조연이다.[12] 당장에 자본주의가 유지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인 사유재산권의 보장이나, 자유시장경제를 위한 자유의 개념 자체가 유교에는 부재하다.[13] economy 의 번역어인 경제의 어원은 동아시아의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약어다. 이런 맥락을 생각하면 당대 조선인들 입장에서도 매우 자연스러운 이름일 것이다.[14] 공식적으로는 한반도 안에선 실전되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확인되지 않은 야사로는 철장들이 본인들의 마을 안에서만 비전으로 전수하고 있다는 말이 있는데, 이를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15] 4진의 위치는 각각 현재의 훈춘, 옌지, 크라스키노, 투먼이다.[16] 백성들이 세금을 못 내거나 나라에 진 빚을 갚지 못하면 그것을 불량채권으로 처리해 세금 받았다고 퉁치고 그렇게 확보한 재정으로 사업을 계획하여 진행한 뒤, 인력이 필요한 곳에 불량채권인 백성들을 동원해서 인건비로 갈음하는 구조다. 첫 해에 1500만전 수취는 사실 이런 회계의 꼼수, 혹은 '신용'이 있었던 것.[17] 특히 원 역사에서 동시기 연산군이 사치를 부린다고 서울 전체에서 긁어모은 후추의 양이 몇십 근 수준이라는 서술을 넣어 큰 대조를 이룬다.[18] 반조선파를 다 제압했으니 군축하고 싶었으나 번리여진들은 자기들끼리도 사이가 나쁘다. 완전히 신종한 지금도 힘의 차이나 조선의 지지가 있으면 서로 통수칠 것이라고.[19] 딸이나 여동생을 조선 갑사들과 결혼시켜 인척관계를 형성하고 그들을 통해서 소금과 철, 초피를 거래해 관세를 절감한다든가.[20] 조총은 그대로 지원품으로 주었으나, 대포는 지원군이다.[21] 원래 역사에서도 톤도는 스페인이 동남아에 왔을 때 당시 선제적으로 동맹 요청을 했으며, 순다는 포르투갈에게 동맹 요청을 했다.[22] 작중 조선 수군이 쓰는 대포는 가장 큰 대포도 작중에서 천근포라고 불리는, 원역 기준 12파운드포 수준의 대포이며 그조차도 신료들과 병사들이 과잉화력이라고 자꾸 반대해서 천자총통이나 지자총통 수준으로 다운그레이드되었다는 묘사가 나온다. 반면 종선은 당시 시점에 500톤~2000톤에 달하여 18세기의 전열함과도 맞먹고, 동남아에서 많이 나는 경목인 티크 목재로 외판을 4겹 이상 덧댄, 떠다니는 도시 수준의 배였다. 왜구나 북중국 해적 정도를 바르고 다니던 기존의 조선의 배로는 이길 수 없는 게 당연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