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1, 보호개발구 1 | 현급행정구 시할구 21, 현급시 20, 현 16, 자치현 3 | |
창춘시 성도 长春市 | |||
지린시 吉林市 | |||
쓰핑시 四平市 | |||
랴오위안시 辽源市 | 룽산구 龙山区 시안구 西安区 둥펑현 东丰县 둥랴오현 东辽县 | ||
퉁화시 通化市 | |||
바이산시 白山市 | |||
쑹위안시 松原市 | |||
바이청시 白城市 | 타오베이구 洮北区 타오난시 洮南市 다안시 大安市 전라이현 镇赉县 퉁위현 通榆县 | ||
연변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 | |||
창바이산 보호개발구 长白山保护开发区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市) | 주정부 연길시延吉市 | 룡정시 龙井市 | 화룡시 和龙市 | |
도문시 图们市 | 훈춘시 珲春市 | 돈화시 敦化市 | |||
현(县) | 안도현 安图县 | 왕청현 汪清县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도문시 图们市 Tumen city | }}} | |||
<colbgcolor=#6DBB33><colcolor=#ffffff> 인민정부 소재지 | 친선거리 30 友谊街30号 | |||||
상위 행정구역 | 연변조선족자치주 | |||||
하위 행정구역 | 3가두 4진 | |||||
면적 | 1,140.5㎢ | |||||
인구 | 85,248명[1] | |||||
인구 밀도 | 74.7명/㎢ | |||||
서기 | | 권대걸(조선족) | ||||
시장 | | 최영국 (조선족) | ||||
지역번호 | 0433 | |||||
|
1. 개요
조선어: 도문시한국어: 투먼시
중국어 간체: 图们市
중국어 정체: 圖們市
한어병음: Túmén Shì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면적은 1,142㎢, 인구는 13만6,000명이고, 이 중 58%가 조선족이다.
두만강에 접하고 있어서 합법적으로 북한 땅을 볼 수 있는 도시이다. 도문시 건너편에 있는 함경북도 온성군은 한반도 최북단 행정구역이며, 한반도 최북단 지점인 풍서리는 도문시에서 동쪽으로 불과 7km 지점에 있다. 북한 상인들이 꽤나 자주 드나들며 아울러 남한관광객들도 두만강을 배타고 둘러보기도 한다. 사실상 도문시의 유일한 관광자원.
2. 역사
1934년까지 역사, 연길현中文百科全書,圖們(圖們市)
1945년 이전 역사: 圖們 市街 - 每日頭條
1913년에 지린성 연길현(延吉縣) 지인향(誌仁鄉) 5갑(五甲) 의란구(依蘭溝)에 속한 애호전자(艾蒿甸子) 또는 회막동(灰幕洞)이라는 자연마을이었다.
만주사변으로 일본군(관동군)에 점령되었다.
만주국 괴뢰정부가 1933년 6월 1일에 회막동(灰幕洞)을 도문(圖們)으로 개칭했고, 1934년에 간도성 연길현(延吉縣)에서 도문시(圖們市)를 분리했다가 1936년에 도문가(圖們街)로 격하하고 연길현에 재편입했다.
1945년 9월 19일에 중화민국 국민정부가 뒷날에 동북신성구방안(東北新省區方杗)으로 불리는 東北劃為九省案(동북획위구성안; 동북부 만주를 9성으로 분획정하는 개편안)을 공포하며 행정구역을 정리할 때에 송강성(지린성 연길현 도문진(圖們鎮)과 松江省) 왕청현 춘화구(春華區) 등으로 개편되었다.
1946년 2월에 중국공산당이 만주를 '해방'하는 과정에서 도문구위(圖們區委) 민주대동맹(民主大同盟)의 '협조' 아래 도문진정치위원회를 접수하고 연길현에서 도문진을 분리해 도문시로 재승격했다.
1946년 3월에 정식으로 도문시정부를 세웠고, 1949년 9월에 도문시인민정부로 개칭했다.
1948년 5월에 춘화구를 왕청현할구인 제7구로, 같은 해 7월에 석현구(石峴區)로 고쳤다.
1952년 9월 3일에 연변 조선족 자치구(1955년 8월 30일에 현 연변 조선족 자치주로 변경)가 설정되며 이에 속하게 되었다.
1956년 3월에 연길현인민정부가 도문시를 철폐하고 도문진(圖們鎮)과 농안향(農安鄉)으를 분치했다. 동시에 석현구에서 대관하던 향·진을 석현진(石峴鎮)으로 통합했다.
1958년에 중국내 모든 향급 행정구역과 촌급 행정구역을 각각 인민공사와 생산대 등으로 개편할 때에 도문진과 농안향을 도문공사(圖們公社)로 통합했다.
1965년 4월에 연길현 도문공사와 왕청현(汪清縣) 석현공사(石峴公社)를 갈라 도문시를 다시 두는 결정을 내리고 동년 5월 1일에 시행했다.
1969년 7월에 연길현 월청공사(月晴公社)와 왕청현 신농공사(新農公社)를 편입했다.
3. 지리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 북한 함경북도 온성군과 이웃하고, 동쪽은 훈춘시, 서쪽은 연길시, 북쪽은 왕청현에 접해 있다. 북한의 라선시까지는 160km 떨어져 있다.4. 행정
3개 가도, 4개 진, 1개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가도(街道)
향상가도(중국어 간체: 向上街道, 정체: 向上街道)
신화가도(중국어 간체: 新华街道, 정체: 新華街道)
월궁가도(중국어 간체: 月宫街道, 정체: 月宮街道)
진(중국어 간체: 镇, 정체: 鎭)
월청진(중국어 간체: 月晴镇, 정체: 月晴鎭, 병음: Yuèqíng zhèn)
석현진(중국어 간체: 石峴镇, 정체: 石峴鎭, 병음: Shíxiàn zhèn)
장안진(중국어 간체: 长安镇, 정체: 長安鎭, 병음: Chángān zhèn)
양수진(중국어 간체: 凉水镇, 정체: 凉水鎭, 병음: Liángshuǐ zhèn)
향(중국어 간체: 乡, 정체: 鄕)
홍광향(중국어 간체: 红光乡, 정체: 紅光鄕, 병음: Hóngguāng xiāng)
5. 언어
중국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매우 많다. 주 민족이 조선족이라서 그런 것인데 여기서는 되려 이 곳으로 건너온 한족들이 한국어를 배워서 사용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심지어 충청 방언을 사용하는 한족마저 존재한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한국인이 부산광역시에 가서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인들과 같이 살아가는 것과 비슷하다.6. 유의사항
북한과 중국 사이를 잇는 다리 가운데 도문대교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끔씩 다리를 건너서 북한땅을 밟는 남한 관광객도 좀 있다. 북측도 이를 눈감아주는지 강이 끝나고 북한 땅이 시작되는 육지 위까지 오는 건 묵인하는 듯 하다. 다만, 다리 너머에 있는 북한 검문소에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여러 모로 상황이 골치아파진다. 검문소에 일정거리 이상 접근하면 북한 경비대가 팔로 X표시를 하면서 달려와 확성기로 더 이상 접근하지 말고 사진도 찍지 말라며 우리말로 얘기한 뒤 돌려보낸다. 참고로 이 경비대원은 조선인민군 소속이기 때문에 헛소리를 시도하거나 접촉한 것 만으로도 잘못하면 국가보안법에 걸릴 수 있다.도문시 내부에 정암촌이 있는데 대단히 특이하게도 충청도 출신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이 때문에 도문시의 조선족들은 충청 방언을 쓰는 사람이 많다.
7. 그 외
봉오동 전투가 이곳에서 벌어졌다. 이곳 수도국 봉오저수지에는 봉오동전투의 전적비가 있다.[1] 2020년 제7차 인구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