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0:29:47

강정애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국가보훈부장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원호청장 (1961~1962)
<nopad> 송요찬 내각
초대
민병권
원호처장 (1961~1985)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민병권
제2대
윤영모
제3대
김병삼
제4대
박기석
제5대
장동운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류근창
제7대
김재명
제8대
이종호
제9대
조철권
국가보훈처장 (1985~2023)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9대
조철권
제10대
최종호
제11대
김근수
제12대
전석홍
제13대
이상연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14대
민경배
제15대
이병태
제16대
이충길
제17대
황창평
제18대
오정소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9대
박상범
제20대
김의재
제21대
최규학
제22대
김유배
제23대
이재달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24대
안주섭
제25대
박유철
제26대
김정복
제27대
김양
제28대
박승춘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8대
박승춘
제29대
피우진
제30대
박삼득
제31대
황기철
제32대
박민식
국가보훈부장관 (2023~현재)
<nopad> 윤석열 정부
초대
박민식
제2대
강정애
}}}}}}}}}
강정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2D84, #0D2D84 20%, #0D2D84 80%, #0D2D8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D2D8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rowcolor=#000,#fff> 임숙재 김두헌 김두종 김순식 윤태림
<rowcolor=#0D2D84>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11대
<rowcolor=#000,#fff> 이인기 김경수 서명원 차낙훈 김옥렬
<rowcolor=#0D2D84> 제12대
제13-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rowcolor=#000,#fff> 정규선 이경숙 한영실 황선혜 강정애
<rowcolor=#0D2D84> 제20대 제21대
<rowcolor=#000,#fff> 장윤금 문시연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대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
姜貞愛 | Kang Jung-ai
파일:88026171.1.jpg
출생 1957년 5월 5일 ([age(1957-05-05)]세)
서울특별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본관 진주 강씨
현직 국가보훈부장관
재임기간 제19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2016년 9월 1일 ~ 2020년 8월 31일
제2대 국가보훈부장관
2023년 12월 26일 ~ 현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종교 가톨릭 (세례명: 율리아나)[1]
가족 아버지 강갑신[2], 어머니 권경분
배우자 권영빈[3]
학력 홍익여자고등학교 (졸업 / 6회)
숙명여자대학교 정경대학 (경영학 / 학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4] / 석사[5])
파리 제1대학교 대학원 (인적자원경제학 / 박사[6])
경력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제19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상무위원회 공익위원
인사혁신처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비상임이사
제29대 한국인사관리학회 학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산업기술연구회 이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비상임이사
한국폴리텍대학 비상임이사
국가보훈처 보훈기금운용심의위원
}}}}}}}}}
1. 개요2. 약력3. 생애
3.1. 국가보훈부 장관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배우자 신용카드 사용액 관련
4.1.1. 강정애 측의 반박
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영학자이자 제2대 국가보훈부장관.

2. 약력

3. 생애

1957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에서 아버지 강갑신과 어머니 권경분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강갑신은 6.25 전쟁에 참전해 혁혁한 전공을 세워 화랑무공훈장을 수훈했다. 이후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명예교수인 권영빈과 결혼했는데, 시아버지는 조선의용대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비서로 활동했던 독립유공자 권태휴(權泰烋)[9]이며, 시조부는 과거 의열단에서 활약했으며, 8.15 광복 후에는 육군 소장까지 지낸 독립유공자 권준 선생이다.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직인사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프랑스로 건너간 뒤 1988년 파리 제1대학교 대학원에서 인적자원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귀국한 뒤 1998년 모교인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부임했고, 2016년 제19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직에 올랐다.

국가보훈처 보훈기금운용심의회 위원을 4년간 역임한 바 있다. #

3.1. 국가보훈부 장관

2023년 12월 4일, 박민식에 이어서 윤석열 정부의 제2대 국가보훈부장관으로 지명되었다. 12월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여야 합의로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다.# 12월 22일, 임명이 재가되며 26일에 제2대 국가보훈부장관에 취임하였다.#

2023년 12월 26일 취임식을 갖고 국립대전현충원 현충탑에서 참배한 뒤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12월 28일 국가보훈부의 예산으로 6조 4,057억원이 확정되며 국가유공자 보상금 확대, 보훈의료 환경개선 등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1월 2일 신년사를 공개했으며# 이달의 독립운동가이승만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2월 7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업 등 민간으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보훈사업에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월 13일 무연고 국가유공자의 장례서비스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국가유공자법, 5.18특별법 등의 개정 법률안이 공포되었다고 알렸다.#

2024년 3월 1일 3.1절 행사에 참석했다. 3월 15일 AI 시스템으로 제대군인들에게 취업관련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는 '제대군인 전직지원시스템'이 운영을 시작했다. 3월 18일 참전유공자에게 맞춤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소리드림' 서비스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3월 26일에는 더본코리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 5월 2일 육군 제9보병사단 29여단을 방문했으며 5월 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리위원부를 방문하고 대한민국의 독립을 도왔던 루이 마랭에게 건국훈장을 전했다. 또한, 파리에서 크리스티앙 캉봉 프랑스 상원의원을 만나 보훈분야 협력을 요청했다.# 5월 10일에는 독일을 방문해 이미륵 애국지사의 유골 봉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5월 24일 국립 횡성호국원 조성을 위해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명기 횡성군수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 6월 25일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 참석했고 하루 뒤인 6월 26일 '백범 김구선생 서거 제75주기 추모식'에 참석했다.

2024년 7월 10일 6.25전쟁에서 활약한 로버트 구필 대위 중대의 깃발을 특별 제작해 유족에 전달했다. 7월 2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하여 유공자 보상금 인상, 상이등급 기준을 개선, 보훈가족 마음치유센터 운영 확대, 제대군인과 제복근무자 지원 등의 업무현황을 보고했다. 또한, 정무위원회에서 조승래 의원이 건국절 논란에 대해 따져묻자 "1919년이냐 48년이냐 하는 논란은 독립운동을 하신 분들이나 대한민국을 위해서 일했던 지도자분들도 그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7월 30일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허미미 선수에게 "파리에서 태극기를 들어 올린 독립운동가 후손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는 내용의 축전을 보냈다.

2024년 8월 2일 영국 한국전쟁 참전비에 '독도'를 표기한 로더미어 자작부인에게 감사를 표했다. 8월 7일 에티오피아를 방문해 아이샤 모하메드 에티오피아 국방부 장관과 면담해 6.25전쟁 참전용사 지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2482명의 이름을 새긴 명비 제막식에 참석했고, 참전용사 마을 코리아 빌리지를 방문해 위문했으며 LG-한국국제협력단 희망학교를 찾았다.# 8월 25일 광복절 행사에 참석했다.

2024년 9월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참석해 동학농민운동 참가자 독립유공자 선정 문제에 대해 "2020년부터 최근까지 4회에 걸쳐서 학계의 의견 수렴을 했습니다. 의견을 수렴한 결과 대다수가 반대, 신중한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파악이 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 9월 9일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보훈병원에 비상 근무체계를 가동한다고 알렸으며 9월 11일부터 23일까지 부산지방보훈청과 울산보훈지청을 시작으로 전국 지방보훈관서에 순회 방문해 정책 소통 및 직원 격려를 하였다. 9월 26일 국가유산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천안함 선체, 유엔군 기념비, 연평도 포격 당시 불탄 철모 등 예비문화유산 선정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24년 10월 17일 소련 지역(러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사망한 독립유공자 김경천, 오성묵, 한창걸, 김미하일, 최성학, 한성걸, 이영호 7인을 국립서울현충원에 합동 봉안하는 행사를 개최하고 "일제 강점이라는 가장 어두운 시기를 밝혀내신 일곱 분을 비롯한 모든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과 독립 정신을 끝까지 기억하고 계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10월 26일 국가보훈부와 동아일보가 공동 개최하는 '2024 리스펙트 런'[10]이 열렸다.

2024년 11월 1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국가보훈부 소관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 제안 설명했다. 11월 16일 이미륵 지사의 유해 봉환식이 열렸다. 11월 28일 보훈부와 유영하 의원이 함께 국회의원회관에서 '보훈디지털 혁신의 방향과 전략'을 주제로한 포럼회에 참석해 기념사를 했다.

2024년 12월 3일 일명 '비상계엄 국무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12월 10일 겨울철 한파에 대비해 '취약계층 국가유공자를 위한 집중지원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12월 12일 '6.25 전쟁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의 합동 봉안식'에 참석했다.

2025년 1월 1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참배했으며 신년사를 공개했다. 1월 13일 재향군인회를 방문했으며 1월 14일에는 전국 6개 보훈병원장과 간담회를 개최해 보훈병원 현장의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다. 2월 13일 백범김구도서관에서 열린 '국가보훈부 2030자문단 광복 80주년 킥오프 전체회의'를 주재하였다.

2025년 2월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용만 더불어민주당의원이 "백범 김구 선생이 중국인이었습니까?"라는 질문에 이부분에 대해서는 헌법에 삼일정신을 이야기하면서 답변을 머뭇거렸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추가 답변의 시간을 줬는데, 1965년 한일 기본 조약을 통해서 1910년 이후의 모든 것은 무효가 되었기 때문에 김구 선생의 국적은 한국이라고 답변하였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배우자 신용카드 사용액 관련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배우자인 권모씨가 최근 5년간 신용카드와 현금영수증 등 사용액을 0원으로, 전통시장 사용분, 대중교통 이용분, 기부금 내역도 0원으로 신고했다.

강정애의 배우자 권씨는 중앙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근로소득 4억3200여만 원을 신고했다. 그리고 2018년부터 2022년까지 2007년식 아우디 A6(496만 원), 서울 서초구 잠원동 오피스텔 전세권(1000만 원), 예금(5억8811만 원) 등 총 5억8689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권씨가 신용카드 사용액 등을 0원으로 신고한 기간 동안 강정애의 사용액 합계는 4년간 총 2억2764만 원이었다.

강정애의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직불카드, 대중교통·전통시장 사용액, 기부금액은 2018년 7437만원, 2019년 8981만 원, 2020년 3900만 원, 2021년 2445만 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다가 이듬해인 2022년에는 강정애도 배우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사용액을 0원으로 신고했다.

이에 대해 JTBC 기자가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받지 않았다. 다만 강정애 후보자 측 관계자는 "국회에서 공식적인 질의를 받는 대로 사실관계를 파악해 성실하게 소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강훈식 의원은 "공식 재산만 35억인 후보자가 국민이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소비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신용카드 사용액 등을 국세청에 통보하기 싫은 사정이 무엇이었는지 청문회를 통해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다.

4.1.1. 강정애 측의 반박


보훈부는 일부 언론보도에 나온 강정애 후보자와 배우자의 신용카드 사용액 등 0원 신고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자료를 냈다.

후보자의 배우자는 2018년~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로 신용카드 사용액 등을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신고하여 반영되어있고, 후보자도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자로 신용카드 사용액 등이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고 설명했다.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국무총리 국무위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373A3C,#DDD"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svg 국무총리
한덕수직무정지
최상목 이주호
유상임 조태열 김영호 박성재직무정지
(공석)직무대행 김선호 (공석)직무대행 고기동 강정애 유인촌
송미령 안덕근 조규홍 김완섭
김문수 (공석)직무대행 신영숙 박상우 강도형
오영주
※ 둘러보기: 국가행정조직
{{{#!wiki style="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E61E2B; border-right: 10px solid #E61E2B;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기획재정부장관.svg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E61E2B> 추경호최상목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교육부장관.svg
박순애이주호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svg
이종호유상임
파일:외교부장관.svg 박진조태열
파일:통일부장관.svg 권영세김영호
파일:법무부장관.svg 한동훈박성재
파일:국방부장관.svg 이종섭신원식김용현공석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이상민공석
파일:국가보훈부장관.svg 박민식강정애
파일:문화체육관광부장관.svg 박보균유인촌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정황근송미령
파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svg 이창양방문규안덕근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조규홍
파일:환경부장관.svg 한화진김완섭
파일:고용노동부장관.svg 이정식김문수
파일:여성가족부장관.svg 김현숙 공석
파일:국토교통부장관.svg 원희룡박상우
파일:해양수산부장관.svg 조승환강도형
파일:중소벤처기업부장관_국문_흰색글자.svg 이영오영주 }}}
}}}}}}}}}



[1] #[2] 6.25 참전 유공자, 화랑무공훈장 수훈[3]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명예교수. 독립운동가 권준의 손자. 아주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KAIST 통신공학 석사, 프랑스 국립고등전기통신학교(ENST) 박사.[4] 조직인사관리 전공[5] 석사 학위 논문 : 女性勤勞者(여성근로자)의 能力開發(능력개발)에 관한 硏究(연구) : 專務職(전무직)을 中心(중심)으로(1981).[6] 박사 학위 논문 : Etude comparative des migrations Internes : ile de France et region de Seoul(1988).[7]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8] 現 경상대학 경영학부[9] 독립유공자 공훈록[10] 1년 365일을 뛰는 제복근무자를 응원한다는 취지의 마라톤 행사[11] 아버지 권준 선생이 의열단 활동을 하다 투옥 후 망명하여 상하이 황푸군관학교 생도였을 때 10살 무렵의 어린 나이에도 중국으로 건너가 아버지와 만나 중국중앙군관학교와 윈난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의용대에서 활동하다가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비밀요원으로 활동하였다. 광복 후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서 살았고, 팔당댐 수력발전소장을 역임했다. 사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