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22:41:40

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ㅢ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colbgcolor=#ddd,#222> 이름 ᄋᆜ
분류 이중모음
음성 jɯ̽~jɯ

1. 개요2. 유래3. 대체자 ᆖ4. 발음5. 사용례
5.1. 한국어5.2. 외래어 표기 시 가능성5.3. 외국어
6. 여담

1. 개요

가 합쳐진 이중모음 글자이다. 와는 발음 순서가 반대이다.

2. 유래

ㆍㅡ起ㅣ聲,於國語無用。兒童之言,邊野之語,或有之,當合二字而用,如ᄀᆝᄀᆜ之類,其先縱後橫,與他不同。
'ㆍ'와 'ㅡ'가 'ㅣ'소리에서 일어난 소리는 우리 나라 말에서 쓰임이 없으나 어린아이의 말이나 시골 말에 간혹 있기도 하니 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다. 'ᄀᆝ' 나 'ᄀᆜ' 와 같이 세로로 된 글자(ㅣ)를 먼저 쓰고 가로로 된 글자(ㆍ, ㅡ)를 나중에 쓴 글자는 다른 글자[1]와 다르다.
훈민정음》(1446) <27a> 합자해(合字解) #
훈민정음》에서는 주로 중성해에 소개된 다른 모음자들과 달리 합자해에서 소개하고 있다. 방언이나 어린아이의 소리를 뜻하는 것으로 언급한다.

다른 j계 상향 이중 모음은 재출(再出)의 원리를 적용하여 점을 두 번 찍은 ㅛ, ㅑ, ㅠ, ㅕ로 썼으면서 'ㅡ' 앞에 /j/가 온 상향 이중 모음에 대해서는 곧이곧대로 쓴 게 다소 자연스럽지 않기는 하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이 발음이 중앙어에 없었기에(방언 내지는 아이들의 소리였기에) 정식으로 재출의 원리를 적용하지 않고 '이런 것도 있더라' 정도로 언급만 한 것으로 보인다.

3. 대체자 ᆖ

ᆖ 라는 표기는 지석영이 1905년 신정국문(新訂國文)을 통해 처음으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종실록 1905년 7월 19일 기사 그런데 그는 ᆜ를 대체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를 대체하려고 그 표기를 제안한 것이었다. 지석영은 오늘날 ㅡ와 ㅏ로 발음되던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ㅣ와 ㅡ의 합음(즉 ᆜ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2] 中聲字 ㆍ字 廃止 ᆖ字 剏製의 當否
此 問題에 對하야난 本員의 唱道한 바이온즉 自己의 意思를 自己가 右論하난 것이 嫌点이 不無하나 小嫌点에 拘礙하야 大機関을 抛棄할 길 업기로
(중략)
ㆍ를 ᅟᆖ 로 代用하자 하기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八字가 一畫二畫으로 成例하얏스니 此를 倣하야 ㅡ字 下에 ᅟᆖ字로 承하난 것이 原則에 違背함이 아니기로 敢히 質言하나이다 像想컨대 中聲 製定하시든 當時에도 ㅣㅡ合音을 ㅏㅑ 等 四例를 從하야 ᅟᆖ 로 製定하얏슬 것이연마난 但 ㅑ ㅕ ㅛ ㅠ의 二畫은 皆 竪體와 橫體에 附麉[3]하얏거니와 若 附麉할 곳이 無한 ᅟᆖ字를 ㅡ字 下에 序次하면 漢文의 一二字를 連書함과 同一한지라 此 嫌을 避하고자 하야 特別이 二畫을 合하야 一點으로 作한 것이로다 若不然히면 ㅣㅡ合音을 ㆍ로 作할 理致가 萬無하리라 敢이 自信함이 아니라 人의 意想은 古今의 異함이 無한 故로 玆敢妄筆하오며 (중략) [4]
5. 중성자 ㆍ자 폐지 / ᆖ자 창제의 가부
이 문제에 대한 것은 본 의원(지석영)이 주도한 바이온즉 자기의 의사를 자기가 거론하는 것이 꺼려지는 바가 없지 않으나 작은 어려움에 구애받아 큰 결정을 포기할 수는 없기에
(중략)
ㆍ를 ᅟᆖ로 대용하자 하는 것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여덟 자가 제1획, 제2획으로 이루어졌으니, 이를 본떠서 ㅡ자 밑에 ᅟᆖ자로 잇는 것이 원칙에 어긋남이 아니기로 감히 질언하나이다. 상상컨대 중성을 제정하시던 당시에도 ㅣ와 ㅡ의 합음을 ㅏ, ㅑ 등 4가지 예[5]를 좇아 ᅟᆖ로 제정했을 테지만, 단 ㅑ, ㅕ, ㅛ, ㅠ의 제2획은 모두 세로쓰기와 가로쓰기에 부록했는데 부록할 곳이 없는 ᅟᆖ자를 ㅡ자 아래에 두면 한문의 ‘一' 두 자를 이어 적는 것과 같다. 이런 문제를 피하고자 해서 특별히 두 획을 합해 점 하나로 지은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ㅣ와 ㅡ의 합음을 ㆍ로 지을 이치가 만무할 것이다. 지나치게 자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생각은 고금에 다름이 없는고로 이에 감히 부족한 글을 남기오며 (중략)
국문연구의정안(1909:363-364)[6][7]
그런데 "세종이 왜 애초에 ㅑ, ㅕ, ㅛ, ㅠ식으로 ᆖ를 창제하지 않고 ㆍ를 창제하였을까" 하는 의문에 대해서 지석영은 ᆖ 를 창제하면 한 일(一)을 두 번 쓴 것과 모양이 비슷해서 헷갈릴 것을 염려해 그랬을 것이라는 약간의 무리수를 두었다.[8] 사실 세종은 앞서 말했듯이 이 발음에 대해서 ᆜ 를 쓸 수도 있다고 해례에 명시해 놓았으나, 아직 해례본이 재발견되기 전이었기에[9] 지석영은 ᆜ의 존재를 몰랐다.

이는 주시경의 초기 주장이기도 했는데 오늘날에는 ㆍ의 발음이 단모음일 것이라고 추측되어 틀린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10]

이후 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案)에서의 논의 결과 '잘 쓰지도 않는 발음인데 뭐 하러 굳이 새 자모를 창안하기까지 하나' 식으로 의견이 모아져서 ᆖ 창제는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그런데 사실 재출의 원리를 적용한다 해도 다른 모음자는 아래아를 두 번 쓴 것인데[11] ㅡ를 두 번 쓴다는 것은 다소 특이한 발상이기는 하다. 하긴 두 번 찍어 줄 아래아가 ㅡ에는 없으니...

4. 발음

ᆜ 는 ([ɯj])와는 달리 ㅣ 소리가 먼저, ㅡ 소리가 나중에 난다. 국제음성기호로 [jɯ̽]로 표기할 수 있다.
단모음 ㅣ [i] ㅔ [e] ㅐ [ε] ㅟ [y] ㅚ [ø] ㅡ [ɯ̽] ㅓ [ʌ] ㅏ [a] ㅜ [u] ㅗ [o]
y [j] ퟄ [ji][12] ㅖ [je] ㅒ [jε] ㆌ [jy][13] ㆉ [jø][14] ᆜ [jɯ̽] ㅕ [jʌ] ㅑ [jɐ] ㅠ [ju] ㅛ [jo]

아학편에는 해당 문자의 영어 표기가 yu라고 실려있다. 만일 ᆜ 에 대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만든다면 yeu 정도가 될 것이다(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으로라면 yŭ).

예를 들어서, 'ᄀᆜ' 를 발음하려면 '기으'를 한 음절로 축약해서, 즉 빠르게 발음하면 된다. '기아'를 한 음절로 축약해서 발음하면 '갸'가 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ㅑ, ㅕ, ㅛ, ㅠ와 발음 공식이 같으므로(ㅣ+ㅏ=ㅑ, ㅣ+ㅓ=ㅕ 등) 참고해서 발음해보자. 아래에서 보듯 일상에서도 간혹 들을 수 있지만 현대 한글의 범위로는 적을 수 없는 발음이다.

5. 사용례

중앙어에는 없으나 방언이나 속어에서는 은근히 용례가 적지 않다. 훈민정음에서도 '중앙(한양)에서는 잘 안 쓰지만 지방에서 자주 쓰인다'라고 그랬는데 요즘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5.1. 한국어

5.2. 외래어 표기 시 가능성

5.3. 외국어

6. 여담


[1] 훈민정음 해례본에 등장한 ㆎ, ㅢ, ㅚ, ㅟ, ㆉ, ㆌ 등의 다른 합용자들은 모두 가로로 된 글자(ㆍ, ㅡ, ㅗ, ㅜ, ㅛ, ㅠ)를 먼저 쓰고 세로로 된 글자(ㅣ)를 나중에 쓴다. ㅐ, ㅔ, ㅒ, ㅖ처럼 세로로 된 것을 두 번 쓰는 경우는 있다.[2] 지석영이 번호를 헷갈린 것으로, 의정안 합의의 번호를 따르면 제4항이 옳다.[3] 원문 확인 필요[4] 지석영은 이 발췌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래아 폐지를 주장하였으므로 본문에 아래아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ㅏ'로 고쳐서 쓰고 있다. 국문연구의정안은 8명의 의견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에서 아래아를 쓰는 사람도 있고 안 쓰는 사람도 있다. 의정안 의원 중 한 명인 주시경은 본인이 아래아 폐지론자이기는 하지만 의정안 본문에는 아래아를 쓰고 있다.[5] ㅏ-ㅑ,ㅓ-ㅕ, ㅗ-ㅛ, ㅜ-ㅠ 4쌍의 재출 예를 말한다. 《훈민정음》에서는 이들 8자를 8성(八聲)이라고 칭한다.[6] 페이지는 이를 영인한 "개화기 국문연구"의 페이지 표시를 따랐다.[7] 이기문(1970),《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8] 지석영은 위의 신정국문에서 경음 표기에 쓰이던 ㅅ계 합용병서의 ㅅ이 한문의 반복 기호(漢文疊字)에서 왔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9] 해례본이 재발견된 것은 1940년대로, 이 시기보다 약 30년 뒤의 일이다.[10] 세종은 단모음을 기본자('ㆍ[ʌ\], ㅡ[ɨ\], ㅣ[i\]')와 초출자('ㅗ[o\], ㅏ[a\], ㅜ[u\], ㅓ[ə\]')로만 표기했다. [j\]계 상향 이중모음은 재출의 원리를 적용하여 'ㅛ[jo\], ㅑ[ja\], ㅠ[ju\], ㅕ[jə\]'로 표기하였고, [j\]계 하향 이중모음은 기본자와 초출자 뒤에 딴이('ㅣ[j\]')를 합용한 'ㆎ[ʌj\], ㅢ[ɨj\], ㅚ[oj\], ㅐ[aj\], ㅟ[uj\], ㅔ[əj\]'로 표기하였다. 또 [w\]계 상향 이중모음은 'ㅘ[wa\], ㅝ[wə\]'와 같이 초출자들을 합용하여 만들었다(한편 'ㅙ, ㅞ'는 세 자를 합용하였으므로 각각 [waj\], [wəj\]라는 삼중 모음이었다.). 'ㅚ, ㅐ, ㅟ, ㅔ'가 순서대로 [ø, ɛ, y, e\]라는 단모음이 된 것은 근대 국어 시기의 일이다.[11] 이에 대해서 《훈민정음》에서는 ㆍ之貫於八聲者,猶陽之統隂而周流萬物也(ㆍ가 여덟 소리에 일관됨은, 마치 양이 음을 거느려서 만물에 두루 흐름과 같다)。라고 묘사하고 있다.[12] 영어 단어 yeast의 발음 기호를 보면 [jiːst\]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ji\]가 바로 이 발음이다. [j\]에 ㅣ를 더한 음가. 굳이 표기하자면 (ㅣㅣ의 합자)겠지만 훈민정음 체계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별도의 자모가 존재하지 않는다. ㆀ을 이용하여 '괴ᅇᅧ'[koj.jə\], 'ᄆᆡᅇᅵᄂᆞ니라'[mʌj.i.nʌ.ni.ɾa\]의 [j.j\], [j.i\]와 같은 긴장된 협착음을 나타낸 경우가 있긴 하나, 지극히 제한적인 경우이다\(이 경우엔 '설측 경구개 접근음'[ʎ\]을 발음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이 발음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종종 발음되는바, 첫 음절에서 '이'를 발음할 때 특히 그렇다. '이순신'의 로마자 표기가 Yi Sunsin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현행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I Sunsin). 내가 고자라니에서 '이게 무슨 소리야'라고 말하는 부분 역시 마찬가지. Yee라고 생각하면 쉽다.[13] 이 발음은 저지 독일어나 덴마크어 등에서 사용되지만 한국에서는 쓰인 적이 없는 발음이다. 독일어 인명 Jürgen이나 덴마크가 있는 유틀란트(Jütland)이 이발음이며 한국어로는 주로 ㅠ내지 ㅟ로 전사된다.[14] 강원도 방언에 존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 묠니르의 원어 표기는 Mjöllnir인데, 이의 좀 더 정확한 발음은 ᄆᆈᆯ니르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15] ㅓ와 ㅡ의 중간발음인 중설 중모음 /ə/소리로 발화된다[16] 김봉국, 강원도 말을 찾아서 새국어생활 제16권 제4호(2006년 겨울)[17] 정확히는 [ʃ\] 자체는 '시'로 규정되어 있되,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 등으로 적는다고 되어 있다. 마지막의 '시' 경우를 제외하면 [ʃ\]는 'ㅅ'+'ㅑ, ㅒ, ㅕ, ㅖ, ㅛ, ㅠ의 앞 반모음 [j\]'로 표기되는 셈이다.[18] 'ㅡ'는 비원순 모음이고 'ㅜ'는 원순 모음이라는 점만 빼면 나머지 자질은 모두 같다. 자세히 보자면 ㅡ는 현대에 ɯ̽에서 ɨ로 음가가 변하려고 하는데, 전자에 해당하는 원순모음이 /u/(ㅜ)이고 후자에 해당하는 원순모음은 약간 다른 발음인 /ʉ/이다.[19] [ə\]로 표기되기도 한다.[20] 예: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taille[tαːj\] 타유[21] yıldırım의 ı는 i에서 점이 빠진 글자로, 한국어의 ㅡ에 해당하는 후설 평순 고모음([ɯ̽\])의 음가를 가지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