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1:43:08

K105A1 자주포

K105HT 차륜형자주포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MBT <colbgcolor=#2A5034> 1세대 M47 패튼R | M48(A1/A2C/A3K)R
2세대 M48A5(K1/K2/KW) | 티란-6X | T-72M1X | M60X
3세대 K-1 | K-1A1 | T-80U
3.5세대 K-1(E1/{E2}) | K-1(A2/{A3}) |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KM900R | RG-31 Mk.3 니알라L | 바라쿠다R | K806/808 백호 | KMPVX | M1224 MaxxPro Dash
궤도형 LVTP-7R | K200(A1) | K277(A1) | KAFV | BMP-3 | K-21 | AS-21 레드백X | KAAVP-7A1 | {KAAV-II}
차량 소형 K-100R | K111 | K131 | K151 현마 | 전역차륜차량 | 샌드캣 | 쌍용 코란도 스포츠 | KGM 렉스턴 | KGM 렉스턴 스포츠 | 현대 갤로퍼 | 현대 테라칸 | 기아 모하비
트럭 K300/K301R | K800R | M37R | M602R | M35R | K311(A1/A2) | K511(A1) | K711(A1) | K911 | {K351} | 중형표준차량(K551, K751, K752) |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 인터내셔널 4000 | 인터내셔널 페이스타 5000 | 기아 봉고 III 4WD 더블캡 | 기아 봉고 III | 현대 마이티 | 타타대우 노부스 | 벤츠 악트로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 M110R | K-55(A1) | K-9(A1/{A2}/{A3}) | K105A1 풍익 | {공정부대용 105mm 자주곡사포}
자주박격포 M106R | M125R | K242(A1) | K281(A1) | K532 | KSM-120 비격 | {해병대용 120mm 자주박격포}
포병지원차량 탄약보급 K-10 | K-56
사격지휘 K-311 포사격지휘차 | K-514 | K-77
대포병 레이더 AN/TPQ-(36/37) | 아서-K | TPQ-74K 천경-II
다연장로켓 M270(A1) MLRS | K-136 구룡 | K-239 천무 | 비궁
TEL K409 TEL | K501 TEL | K-91X TEL | IVECO M320 | MAN SX45
야전방공무기 자주대공포 K263(A1/A3) | K-30 비호 | K-30W 천호 | {천광}
대공 미사일 K-30 SAM 비호복합 | K-31 천마
지원 차량 구난차량 K288(A1) | K1 구난전차 | K-912 | 경구난차량 | KAAVR7A1 | M88(A1) 구난전차R | M578 경구난차량
AEV KM9 ACE | M728R | K-600 코뿔소 | 카일러 지뢰제거전차L | 라이노R | AMCS Mk4 아드바크R | 미네브레이커 2000/2R | MV4 스콜피온
교량차량 K-1 AVLB 교량전차 | K-719 | 부교 운반차 | KM3 수룡
통신차량 K533/534
화생방차량 K-316 | K-332 | KM9 | K10
기타 K-313 | K-512
대테러부대용차량 TM-170 | S5 장갑차 | 렌코 베어캣 | 숄랜드 S600 | 로셸 세네터 AR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L: 대여 차량
※ 윗첨자X: 시범운용, 연구 목적 도입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대한민국 국군의 자주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자주박격포 자주곡사포 자주대공포
파일:K532.jpg
파일:K105A1풍익.jpg
파일:263자주발칸.jpg
K532 K105A1 풍익 K263(A1)
파일:K242A1.jpg
파일:K55169.jpg
파일:비호복합169.jpg
K242/281(A1) K-55(A1) K-30 비호/비호복합
파일:비격169.jpg
파일:천둥169.jpg
파일:천호169.jpg
KSM-120 비격 K-9(A1/A2) K-30W 천호 }}}}}}}}}
파일:K105A1 자주포.png
K105A1 풍익
1. 개요2. 제원3. 상세4. 특징5. 연혁6. 도입 배경7. 장단점8. 비격 자주박격포와 비교9. 기타10. 미디어11. 모형12. 관련 문서13.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공식 K105A1 풍익 소개 영상
대한민국 육군보병부대에서 운용하는 차륜형 자주곡사포. 풍익은 6.25 전쟁 초반 의정부 전투에서 M3 105mm 경곡사포 직사사격으로 북한군의 T-34-85 전차를 격파하고 전사한 김풍익 중령의 이름을 땄다. 수출용 제식 명칭은 EVO-105다. #

2. 제원

K105A1 풍익(豊益)
전투중량 19톤
크기 전장 7.79m x 전폭 2.5?m x 전고 3.??m
운용인원 포 운영 3, 운전병 1, 기관총 사수 1, 총 5명 (4명 감소)
사거리 최대 11.3km / 최소 1.1km
발사속도 최대 10발/분, 지속 3발/분
격발장치 수동/자동
탄 적재량 60발
포방렬 소요시간 차량 정지 후 30초
정확도 ±1.0 밀(2배 정확)
초탄발사 1분(4분 감소)
이동준비 30초(9분 30초 감소)
차대 K721 5톤 신형제독차량
주무장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
부무장 K6 중기관총
방어력 5.56×45mm NATO탄 방호 / 파편 방호
(괄호는 기존 견인포와 비교)

3. 상세

2009년 삼성테크윈에서 방사청에 제안한 차량탑재형 구경 105mm 자주포가 신개념기술시범사업(ACTD)에 채택되어 2010년부터 삼성테크윈 주도로 개발했으며, 2011년 시제품 완성 후 시험평가를 거쳐 2014~2015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 상정된 안건명이 105밀리 곡사포 성능개량사업으로 공식적으로 진행이 되기 시작했다.

이후 2017년 6월 28일 방위사업청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고 대한민국 국군 제식장비로 인가되었다. 2018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양산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후 2018년부터는 약 850대가 전력화되고 있다.

개발 목적으로는 포병에서 도태되는 105mm 견인곡사포를 차량탑재형 자주포로 개조하여 기존 4.2인치 박격포를 대체하는 한국판 MOBAT이다. 기존에는 K105HT 등으로 명칭을 부르다가 K105A1[1]으로 제식 명칭을 부여했다. 이런 종류는 수십 년 전부터 여러 국가에서 개발되어 왔었다. 이 사업이 알려졌을 때 비교대상으로 한국 내 매니아 커뮤니티에 많이 퍼진 게 네덜란드의 RDM Technology BV 社의 MOBAT이라 이런 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 외 155mm 자주포를 받지 못하는 부대의 105mm견인포를 대체해 대포병사격 생존성과 지원화력으로서의 기동성을 높인다. 이 용도는 최종적으로는 모두 155mm 궤도형/차량형 자주포로 대체되고 K105A1은 후방/예비군 부대로 넘기게 된다는 듯. 다만 이 사업(2009 ~ 2014년 시기)이 시작됐을 때는 K9 자주포의 증산계획이 진행 중인 상황이었고, 대대적인 편제 변화가 예고되기 전이었다.

4. 특징

5. 연혁

6. 도입 배경

한화테크윈(당시 삼성테크윈)은 K9 양산종료 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신규화포 수요가 없자 구형화포개량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게 되는데, 그중 포병에서 도태되는 105mm 견인포에 대한 활용방안으로 2009년 신개념기술시범사업에 차량탑재형 구경 105mm 자주포 안을 제안한 것이 채택되어, 2010년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엔 이미 한화디펜스 120mm 자주박격포의 시제품이 완성된 상태였던 관계로 인해,(현재는 한 회사로 통합되었지만 당시는 한화디펜스와 삼성테크윈이 별개의 회사였다.) 두 화포 모두 노후 4.2인치 박격포 대체를 목표로 함에 따라 갈등 내지는 영역조정이 불가피했다. 그 결과 105mm자주포는 '보병부대 4.2인치 박격포 대체용'으로 2018년부터 전력화, 120mm 자주박격포는 "기계화부대 4.2인치 박격포 대체용"으로 2019년부터 전력화하게 되었다. .

7. 장단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105A1 자주포/장단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105A1 자주포/장단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105A1 자주포/장단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비격 자주박격포와 비교

비교 풍익 105mm 자주곡사포 비격 120mm 자주박격포
탑재차량 차륜형 트럭 궤도형 장갑차
방렬 자동 자동
비산범위 155mm의 80% 105mm의 1.5~2배
탄위력 - 105mm 곡사포 포탄의 2.6배[7]
탄종 구형재고탄 신형탄 개발
사거리 11km(고폭탄)[8] 8km(고폭탄) / 12km(RAP)
운용인원 5명 5명
운용제대 보병부대 기계화부대
제작사 한화테크윈 S&T중공업
전력화 2018년 2019년
생산량 400문 이상[9] ?
계약금액 1문당 6억여 원 추정 약 30억 원 이상

풍익은 구형 야포를 차량화해 2선 부대에서 사용하는 반면, 비격은 1선 기계화 부대를 지원하기 위한 신규 생산 장비인 점에서 성능과 비용의 차이가 크다.

9. 기타

파일:윤석열 받들어총.mp4_000025133.gif
예포 사격 중인 풍익 곡사포

10. 미디어

11. 모형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MBT <colbgcolor=#2A5034> 1세대 M47 패튼R | M48(A1/A2C/A3K)R
2세대 M48A5(K1/K2/KW) | 티란-6X | T-72M1X | M60X
3세대 K-1 | K-1A1 | T-80U
3.5세대 K-1(E1/{E2}) | K-1(A2/{A3}) |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KM900R | RG-31 Mk.3 니알라L | 바라쿠다R | K806/808 백호 | KMPVX | M1224 MaxxPro Dash
궤도형 LVTP-7R | K200(A1) | K277(A1) | KAFV | BMP-3 | K-21 | AS-21 레드백X | KAAVP-7A1 | {KAAV-II}
차량 소형 K-100R | K111 | K131 | K151 현마 | 전역차륜차량 | 샌드캣 | 쌍용 코란도 스포츠 | KGM 렉스턴 | KGM 렉스턴 스포츠 | 현대 갤로퍼 | 현대 테라칸 | 기아 모하비
트럭 K300/K301R | K800R | M37R | M602R | M35R | K311(A1/A2) | K511(A1) | K711(A1) | K911 | {K351} | 중형표준차량(K551, K751, K752) |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 인터내셔널 4000 | 인터내셔널 페이스타 5000 | 기아 봉고 III 4WD 더블캡 | 기아 봉고 III | 현대 마이티 | 타타대우 노부스 | 벤츠 악트로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 M110R | K-55(A1) | K-9(A1/{A2}/{A3}) | K105A1 풍익 | {공정부대용 105mm 자주곡사포}
자주박격포 M106R | M125R | K242(A1) | K281(A1) | K532 | KSM-120 비격 | {해병대용 120mm 자주박격포}
포병지원차량 탄약보급 K-10 | K-56
사격지휘 K-311 포사격지휘차 | K-514 | K-77
대포병 레이더 AN/TPQ-(36/37) | 아서-K | TPQ-74K 천경-II
다연장로켓 M270(A1) MLRS | K-136 구룡 | K-239 천무 | 비궁
TEL K409 TEL | K501 TEL | K-91X TEL | IVECO M320 | MAN SX45
야전방공무기 자주대공포 K263(A1/A3) | K-30 비호 | K-30W 천호 | {천광}
대공 미사일 K-30 SAM 비호복합 | K-31 천마
지원 차량 구난차량 K288(A1) | K1 구난전차 | K-912 | 경구난차량 | KAAVR7A1 | M88(A1) 구난전차R | M578 경구난차량
AEV KM9 ACE | M728R | K-600 코뿔소 | 카일러 지뢰제거전차L | 라이노R | AMCS Mk4 아드바크R | 미네브레이커 2000/2R | MV4 스콜피온
교량차량 K-1 AVLB 교량전차 | K-719 | 부교 운반차 | KM3 수룡
통신차량 K533/534
화생방차량 K-316 | K-332 | KM9 | K10
기타 K-313 | K-512
대테러부대용차량 TM-170 | S5 장갑차 | 렌코 베어캣 | 숄랜드 S600 | 로셸 세네터 AR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L: 대여 차량
※ 윗첨자X: 시범운용, 연구 목적 도입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 신속·정밀 타격 '곡사포의 화려한 변신'...보병여단 포병대 주력화기로[2] 출처 한화디펜스 공식홈페이지[3] 軍수송차량 노후율 심각… 5톤차량 60%이상 수명초과[4] '똥포 105㎜' 차륜형 자주포로 부활하나[5] 방위사업청 105mm 자주곡사포 개발 성공[6] 2018년 기준 850대가 전력화 되었으며, 1문당 하루에 100발을 쏜다고 가정할 시, 포탄이 40일이면 전부 소진된다. 다만, 보병이랑 붙어다니는 여단급 장비라서 그런지 실제로는 고폭탄보다 조명탄 같은 포탄을 쓸 일이 더 많다고 한다.[7] 105mm와 파편중량분포 비교시 차이가 거의 없고, 파편 속도가 평균 500m/s 이상 빠르다. 155mm m107의 평균 파편속도인 1500m/s 보다 빠른 1700m/s대로 마하 5 정도다. 살상면적은 105mm m1 HE 지표 폭발시 살상면적 415㎡, 120mm 강선 박격포 pr-14 고폭탄 살상면적 819㎡, 2m 공중폭발 시 105mm m1 650㎡.[8] 11km(고폭탄)의 경우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에서 운용한 기준이다. 풍익에는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 계열만 탑재된다.[9] 1차(12문), 2차(200여 문), 3차(200여 문)[10] 포병대장이 소령 보직이라는 것으로 보아 감편된 포병대대 수준일 듯하다.[11] 이미 전방 사단들 중에선 최전방 대대에 4.2인치를 추진시켜놓고 작전통제까지 맡겨놨다. 최전방 대대일수록 여단 지원화력들을 최대한 빠르게 전개하려는 의도중 하나다.[12] 5톤 트럭이 연식이 오래되기도 했고, 오래 된 국군 군용트럭들이 자주포로 개조되기 전에도 잘 굴러가는 차도 있었고 툭하면 퍼지는 차도 있었던 걸로 유명했던 관계로 모든 차량이 일괄적으로 이렇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대포랑 장갑판을 통째로 적재했으니 기존보다 기동성은 분명 떨어지긴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