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롤드와 모드'의 주요 수상 이력 | ||||||||||||||||||||||||||||||||||||||||||||||||||||||||||||||||||||||||||||||||||||||||||||||||||||||||||||||||||||||||||||||||||||||||||||||||||||||||||||||||||||||||||||||||||||||||||||||||||||||||||||||||||||||||||||||||||||||||||||||||||||||||||||||||||||||||||||||||||||||||||||||||||||||||||||||||||||||||||||||||||||||||||||||||||||||||||||||||||||||||||||||||||||||||||||||||||||||||||||||||||||||||||||||||||||||||||||||||||||||||||||||||||||||||||||||||||||||||||||||||||||||||||||||||||||||||||||||||||||||||||||||||||||||||||||||||||||||||||||||||||||||||||||||||||||||||||||||||||||||||||||||||||||||||||||||||||||||||||||||||||||
|
해롤드와 모드 (1971) Harold and Maude | |
| |
<colbgcolor=#E0DCD9><colcolor=#C13F32> 장르 | 드라마, 로맨틱 코미디, 블랙 코미디 |
감독 | 할 애슈비 |
각본 | 콜린 히긴스 |
제작 | 콜린 히긴스, 찰스 B. 멀브힐 |
주연 | 버드 코트, 루스 고든 |
촬영 | 존 A. 알론조 |
편집 | 윌리엄 A. 소여, 에드워드 워스킬카 |
미술 | 마이클 D. 할러 |
음악 | 캣 스티븐스 |
의상 | 윌리암 웨어 디스 |
제작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1.85 : 1 |
상영 시간 | 1시간 31분 |
제작비 | 120만 달러 |
북미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
1. 개요
할 애슈비 감독, 콜린 히긴스 각본, 버드 코트, 루스 고든 주연의 블랙 코미디 로맨스 영화.죽음에 이끌려 자살 소동을 벌이는 19세의 소년과 죽음을 앞두고도 삶을 즐기는 80세 노부인과의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 예고편
▲ 예고편 |
3. 시놉시스
비참한 삶을 살고 있는 해롤드는 수시로 자살소동을 벌이는 등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살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해롤드는 장례식 자리에서 똑같이 자신만의 세계에 살고 있지만
인생 최고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80세의 모드라는 여성을 만나게 된다.
정반대의 두 사람은 서로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아가며 가장 친한 친구가 되어가는데...
그러던 어느날 해롤드는 장례식 자리에서 똑같이 자신만의 세계에 살고 있지만
인생 최고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80세의 모드라는 여성을 만나게 된다.
정반대의 두 사람은 서로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아가며 가장 친한 친구가 되어가는데...
4. 등장인물
- 버드 코트 - 해롤드 파커 체이슨 역
- 루스 고든 - 모드 채럴딘 역
- 비비안 피클즈 - 체이슨 부인 역
- 시릴 쿠삭 - 글로커스 역
- 찰스 타이너 - 빅터 삼촌 역
- 엘렌 기어 - 선샤인 역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해롤드와 모드 OST | ||||
<rowcolor=#E1C711> 음악감독: 캣 스티븐스 | ||||
발매일: 2022. 02. 2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E1C711> 트랙 | 곡명 | 러닝 타임 | 링크 |
Side A | ||||
01 | <colbgcolor=#f5f5f5,#2d2f34> Don't Be Shy | 02:49 | | |
02 | Dialogue 1 (I Go To Funerals) | 00:23 | | |
03 | On The Road To Find Out | 05:06 | | |
04 | I Wish, I Wish | 03:47 | | |
05 | Tchaikovsky's Concerto No. 1 in B | 00:29 | | |
06 | Dialogue 2 (How Many Suicides) | 01:47 | | |
07 | Marching Band / Dialogue 3 (Harold Meets Maude) | 01:23 | | |
08 | Miles From Nowhere | 03:34 | | |
09 | Tea For The Tillerman | 01:01 | | |
Side B | ||||
01 | I Think I See The Light | 03:55 | | |
02 | Dialogue 4 (Sunflower) | 00:52 | | |
03 | Where Do The Children Play? | 03:19 | | |
04 | If You Want To Sing Out, Sing Out (Ruth Gordon and Bud Cort vocal) | 01:43 | | |
05 | Strauss' Blue Danube | 01:43 | | |
06 | Dialogue 5 (Somersaults) | 00:16 | | |
07 | If You Want To Sing Out, Sing Out | 02:43 | | |
08 | Dialogue 6 (Harold Loves Maude) | 00:56 | | |
09 | Trouble | 02:43 | | |
10 | If You Want to Sing Out, Sing Out (ending) | 02:05 | | |
Side C | ||||
01 | Don't Be Shy (Demo) | 02:41 | | |
02 | I Wish, I Wish (Studio Demo) | 03:23 | | |
03 | Miles From Nowhere (Demo Version) | 03:14 | | |
04 | I Think I See The Light (Studio Demo) | 03:49 | | |
05 | If You Want To Sing Out, Sing Out (Demo) | 02:59 | | |
06 | Trouble (Studio Demo) | 03:14 | | |
07 | You Can Do (Whatever)! | 03:11 | | |
08 | Don't Be Shy (No Piano / Alternate Take) | 02:55 | | |
|
할 애슈비는 캣 스티븐스의 음악을 좋아했고, 그래서 캣 스티븐스의 많은 노래를 영화에 삽입했다. 제작 당시 캣 스티븐스는 할 애슈비에게 “미완성 곡 두 개가 있는데, ‘Don’t Be Shy’랑 ‘If You Want to Sing Out’이야. 마음에 들면 내가 가서 마무리하고 제대로 된 노래로 만들어볼게”라고 말했다. 하지만 애슈비는 미완성 데모 버전을 영화에 그대로 사용해버렸고, 이로인해 스티븐스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
그래서 캣 스티븐스는 오랫동안 정식 사운드트랙 앨범 발매를 허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카메론 크로우가 사운드트랙 앨범을 소규모로 발매하도록 설득했고, 2007년 12월 28일 바이닐 필름 레코드를 통해 2,500장 한정판으로 발매되었다. 그리고 2022년, 영화 개봉 5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사운드트랙이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이 정식판은 피치포크가 8.4점을 주며 호평을 했다. #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메타크리틱=harold-and-maude, 메타크리틱_critic=62, 메타크리틱_user=8.4,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harold_and_maude, 로튼토마토_tomato=86, 로튼토마토_popcorn=93,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0067185, IMDb_user=7.9,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harold-and-maude, 레터박스_user=4.1,
알로시네=59143, 알로시네_presse=4.5, 알로시네_spectateurs=4.0,
Filmarks=22443, Filmarks_user=4.0,
왓챠=m5NZz85, 왓챠_user=3.7,
키노라이츠=8009, 키노라이츠_light=85.71, 키노라이츠_star=3.5,
MRQE=harold-and-maude-m100011633, MRQE_user=76,
TMDB=343-harold-and-maude, TMDB_user=76,
)]
Hal Ashby's comedy is too dark and twisted for some, and occasionally oversteps its bounds, but there's no denying the film's warm humor and big heart.
할 애슈비 감독의 코미디는 너무나도 어둡고도 약간 뒤틀려있으며 가끔씩은 선을 넘는다는 인상마저 주지만, 이 영화 속 따뜻한 유머와 크나큰 마음씨를 부정할 수는 없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할 애슈비 감독의 코미디는 너무나도 어둡고도 약간 뒤틀려있으며 가끔씩은 선을 넘는다는 인상마저 주지만, 이 영화 속 따뜻한 유머와 크나큰 마음씨를 부정할 수는 없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개봉 당시 흥행에 실패했지만, 블랙 코미디와 은은한 낙관주의가 어우러진 이 영화는 50년 동안 수많은 팬을 확보했다. 애슈비는 영화 제작에 있어 불손하고 반체제적이면서도 무엇보다도 인본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중략) <해롤드와 모드>는 스토리에 푹 빠져들게 하고, 심장이 뛰는 순간까지 그 자리에 머물게 하는 영화이다. 시대의 분위기를 거리낌 없이 그대로 담아낸 영화인데, 의상, 촬영 기법, 그리고 캣 스티븐스의 사운드트랙은 70년대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지만, 기쁨과 구원이라는 주제는 지금 이 순간 그 어느 때보다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더 가디언 #
더 가디언 #
할 애슈비의 대표작이자 처음으로 그의 이름을 영화계에 알린 작품. 첫 개봉 당시에는 대중적으로 쉬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설정들과 어두운 코미디 때문에 상업면에서나 비평적으로나 성공하지 못 했으나, 두 인물간의 관계를 담백하면서도 뭉클하게 담아낸 점에 끌린 컬트 팬들을 모으기 시작하며 서서히 시간이 지난 후에는 재평가 받으며 1983년부터 흑자로 전환하게 되었고 현재는 할 애슈비 필모그래피 대부분이 그렇듯 뉴 할리우드 사조의 대표작을 뽑으면 반드시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작품들 중 하나다.
빌리 와일더 또한 이 영화를 보고 무척이나 호평해서[1], 이후 후배 감독인 할 애슈비를 전폭 지지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 각본을 쓴 콜린 히긴스는 원래 학부 논문용으로 이 각본을 쓴 것이었는데 영화가 개봉한 이후 영화에 담겨있지 않은 내용을 추가로 담은 소설판을 집필하기도 했고, 연극용 각본으로도 각색해 출판하기도 했다. 이 연극은 국내에서도 여러번 상연하곤 했는데, 특히 박정자가 모드를 연기한 버전이 유명하다.
- 엘튼 존이 남자 주인공으로 캐스팅 될 뻔했다. 엘튼 존은 후일 인터뷰에서 "놀랍게도, 1971년 할 애슈비 감독이 '해롤드와 모드'의 남자 주인공 역을 제안했지만, 저는 거절했습니다. 대본은 마음에 들었지만 당시에는 잘못된 선택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또 애슈비 감독은 엘튼 존의 라이브 공연을 보고, 엘튼 존이 음악을 맡기를 바랬지만, 엘튼 존은 스케줄 문제로 인해 거절했다. 이후 파라마운트 제작 책임자 밥 에반스는 제임스 테일러를 음악 감독으로 기용하라고 제안했지만, 애슈비는 캣 스티븐스를 음악 감독으로 기용했다. #
- 할 애슈비 감독의 팬으로 유명한 알렉산더 페인 감독이 바튼 아카데미를 제작할 때 제작진에게 작품 분위기 참고용으로 보라고 권한 영화 중 한편이다. 실제로 두 작품 모두 캣 스티븐스의 음악을 사용한 점이나, 세대차이가 있는 아웃사이더 주연 두명이 교감한다는 큰 줄거리 틀, 유머러스하면서도 끝내는 따스한 분위기를 풍긴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느낄 수 있다.
- 영화 감독 웨스 앤더슨[2]과 션 베이커가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이다. 베이커는 본 작품에 대해 "완벽한 영화"라고 평했다. # 또한 카메론 크로우가 좋아하는 영화이다. 크로우는 산타모니카 에어로 극장에서 '해롤드와 모드 40주년 기념 특별 상영회'를 주최하기도 했다. #
- 2012년 크라이테리온 콜렉션에서 DVD와 블루레이가 발매되었다. 다만, 현재는 절판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