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체 및 문법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하소서체) | 예사높임 하오체 | 두루높임 해요체 | |||||||||
낮춤말 (낮춤) | 아주낮춤 해라체 | 예사낮춤 하게체 | 두루낮춤 해체 (반말) | ||||||||||
구어체 | 음성적 잉여표현 | 반언어적 표현 | 비언어적 표현 | ||||||||||
문어체 | 간결체 | 만연체 | 강건체 | 우유체 | 건조체 | 화려체 | |||||||
표기법 | 로마자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 | 국문법 | 맞춤법 | |||||||||
모아쓰기 / 풀어쓰기 | 띄어쓰기 | 가로쓰기/세로쓰기 | |||||||||||
국한문혼용체 | 국한문병용체 | 한영혼용체 | 병기 (한자 병기) | ||||||||||
개조식 | 발음대로 적기 | 읍니다 | 압존법 | ||||||||||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한국어의 격식체와 비격식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e5e5e5> 15세기 | 16세기 | 17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이후 | |
ᄒᆞ쇼셔체 | ᄒᆞᄋᆞᆸ쇼셔체 | 하십시오체 | ||||||
ᄒᆞ쇼셔체 | ||||||||
ᄒᆞᄋᆞᆸ체 | ||||||||
ᄒᆞ야쎠체 | ᄒᆞ소체 | ᄒᆞ소체 | ᄒᆞᄋᆞᆸ쇼체 | ᄒᆞ오체 | 하오체 | |||
니체(반말체) | ᄒᆞ소체 | 하게체 | ||||||
ᄒᆞ라체 | ᄒᆞ라체 | 해라체 | ||||||
ᄒᆡ체 | 해체 | |||||||
해요체 | }}}}}}}}} |
1. 개요
듣는 이를 약간 낮추는 한국어의 예사낮춤 격식체다.2. 설명
상대를 하대하는 정도가 강한 해라체, 해체와는 다르게, 하게체는 상대를 보통으로 낮추면서도 약간 대우해주는 격식체다. 상대를 높이되 자신은 낮추지 않는 하오체와 비슷한 점이 있지만, 높임말인 하오체와는 달리 하게체는 낮춤말에 속한다. 그 때문에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면서도 격식을 차리기 좋은 말투이기도 하다.상대가 자신보다 손아랫사람이지만 절대적인 나이는 적지 않을 때 상대를 존중하는 의미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근현대 소설에서 장인어른, 장모가 사위에게, 숙부가 자식을 둔 장성한 조카에게, 매형이 처남에게 하게체를 쓰는 게 그 사례다. 존대할 상대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막 하대할 수도 없는 상대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하오체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는 예스러운 분위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흔히 하게체 쓰는 걸로 유명한 교수들도 현재는 해요체나 해체, 해라체를 쓰지 하게체는 잘 안 쓴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막역하나 격식없이 대할 사이는 아닌 손아랫사람들에게 하게체를 쓰는 경우는 종종 있으나, 바꿔 말해 젊은 사람이 하게체를 쓴다면 상당히 어색하고 노인 흉내를 내는 걸로 보이기 십상이다. 다만 현대에 들어 호남 방언의 일부 어휘를 제외하면 사실상 사장된 하오체에 비하면 그래도 번역체나 글말(소설 등) 등 매체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가끔씩이나마 들을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 문서의 하게체와 용법이 일치하는 건 아니지만,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고양이와 연관을 지어 "~할거냥?"이라는 제목과 더불어) 개와 연관을 지어 "~하시개"라는 언어유희가 담긴 문체가 쓰이곤 한다.
3. 어미
평서법 | -네, -(ㄴ/는)다네, -(이)라네, -(으)ㄹ세[1], -(으/느)니, -(으)이, -(으)ㄹ레[2] |
명령법 | -게, -게나 |
의문법 | -나, -(으/느)ㄴ가, -(으/느)ㄴ감, -(으)ㄹ런가, -(으)ㄹ쏜가 |
청유법 | -(으)세, -(으)세나 |
약속법 | -(으)ㅁ세 |
감탄법 | -(으)ㄹ세, -(이)로세 |
추측·의도법 | -(으)ㄹ세 |
외국 시나, 외국 희곡의 독백을 번역하다 보면 하게체 평서문 어미 '-네'(하네)를 쓸 때가 있다. 그런데 서술격 조사가 붙은 평서문은 해라체인 '-다'(이다, 이어라)를 사용해 이리저리 뒤엉킨 어법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번역자라면 주의해야 한다.
그래도 해체인 '-군'(하는군, 하더군), '-지' (얼른 가지)를 쓰는 것은 문제가 없다. 해체는 원래 다른 어체와 자유롭게 어울려 쓰인다.
참고로 하게체 명령법은 서남 방언 및 제주어에서 청유법 어미로 쓰이는 '-게'와는 다르다. 이 때문에 타 지역 사람이 전라도 사투리의 '-게'를 하게체의 명령법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고마우이' 또한 하게체의 종결어미인 '-(으)이'가 쓰인 예시 중 하나이다.
4. 사례
하오체와 마찬가지로 예스러운 느낌을 주기에 사극 등 과거를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주로 쓰인다. 해외의 사극이나 중·근세를 모티브로 한 판타지 작품 등에서도 등장인물의 대사가 하게체로 번역되기도 한다. 주로 왕이나 귀족 등 신분이 높은 등장인물, 그 중에서도 대개 남성의 말투로 쓰이지만 그나마 비교적 하오체보다는 나이 든 여성들이 쓰는 경우가 잦다.[3] 무협물에서도 예스러우면서도 위엄있어 보이는 느낌 때문에 상당히 자주 보인다. 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는 점잖고 예의바른 인물, 즉 신사다운 캐릭터의 말투로 쓰이곤 한다.- 강구한 성우가 연기한 캐릭터 다수.
- 검은방 - 하무열: 1편에서 몇몇 인물에게는 존댓말을 쓰기도 했지만, 그 뒤로는 대부분 하게체를 쓴다.
- 골든 체인지 - 우암 외 다수 산신
- 금색의 갓슈 - 갓슈 벨: 어린 나이에 걸맞지 않게 상대가 누구든 하게체를 쓰는데, 이는 갓슈의 과거와 관련된 작품의 중요 스포일러 요소이다.
- 길티기어 시리즈 - 슬레이어, 가브리엘
- 꾸러기 수비대 - 드라고: 일본판에서는 존댓말 캐릭터이나, 한국판에서 하게체로 번역되었다.
- 노블레스 - 라구스 트라디오: 자기 딸에게는 반말을 한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 - 집게사장: 재능방송 시절 성우가 이채진일 때는 ~하게, ~다네, ~네, 자네, ~일세 등의 말투를 사용했지만 Nick판에서는 성우가 최한으로 바뀌며 그냥 단순한 연장자처럼 말투가 바뀌어 징징이랑 스폰지밥을 낮춰서 부르곤 한다.
스폰지밥 자넨 해고일세!!!징징이 거기 동전좀 주워주게나 - 레고 닌자고 - 파이토: 다는 아니고 초반에 로이드와 스네이크 군단에게는 하게체를 쓴다. 후에도 안쓰는 건 아니지만 닌자나 크립터에게는 강압적인 말투를 쓴다.
- 단간론파1 - 이시마루 키요타카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타쿠마 사카자키, 친 겐사이, 텅푸루, 하이데른, 쿠사나기 사이슈
- 던전앤파이터 - 마이어
- 데이트 어 라이브 - 호시미야 무쿠로
- 동방자가선 - 후타츠이와 마미조: 작중에서
할머니 말투히로시마 방언을 사용했다. 역시 한국판에서 하게체로 번역되었다. - 드래곤볼 - 계왕들
- 디아블로3 - 부두술사
- 디지몬 어드벤처 - 뿌띠몬[4]
- 로드 오브 히어로즈 - 즈라한 아티르칸
- Limbus Company - 돈키호테
- 메이플스토리 - 아프리엔, 구와르: 원랜 반말을 사용하는 인물이었으나, 백화되고 하게체로 말하게 되었다.
- 모탈 컴뱃 1 - 라이덴, 쿵 라오[5], 리우 캉, 게라스
- 몬스터길들이기 - 쇄도의 서슬: 설정상 하게체 를 사용하지만, 아쉽게도 게임 속 대사는 하울링 밖에 없다.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다자이 오사무
- 바람의 나라 - 잘 보면 몇몇 npc가 하오체와 더불어 하게체를 사용한다.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키노시타 히데요시
- 백수전대 가오렌쟈 - 오오가미 츠쿠마로
- 블루 아카이브 - 유리조노 세이아: 일섭 한정, 한섭에선 존댓말을 사용한다.
- 블랙서바이벌 - 아르다 에브렌
- 사이퍼즈 - 포효의 브루스
- 셜록 - 셜록 홈즈, 존 왓슨: 셜록은 존에게만, 존은 셜록에게만 쓴다. 원작 소설의 한국어 번역본에서 홈즈와 왓슨이 하게체로 대화한다는 점 때문인지 한국어 더빙판과 대부분의 한글 자막에선 셜록과 존이 서로 하게체를 쓰고 있다. 다만 '원작이야 19세기가 배경이니 그렇다 쳐도, 드라마는 현대가 배경인데 해체를 쓰는 게 자연스럽지 않을까'라는 의견도 있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호칭만 자네이지 말투는 사실 해체이다.
- 세븐나이츠 - 루디, 리[6], 아라곤, 카르마, 알프
- 세월의 돌 - 나르디
- 소녀전선 - 나강 리볼버
- 수전전대 쿄류저 - 현신 토린
- 순풍산부인과 - 선우용녀: 극 중 사위인 박영규에게 사용.
- 스타크래프트 2 - 제라툴, 탈란다르: 아르타니스와 대화할때만 하게체를 쓴다.
- 스플래툰 시리즈 - Mr. 베어
- 승리의 여신: 니케 - 홍련(승리의 여신: 니케)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 김신
- 알바 뛰는 마왕님! - 카마즈키 스즈노
- 어이쿠! 왕자님 ~호감가는 모양새~ - 로웰 펠리체 드 로데리고, 클로디어스 레오 바이케: 레오는 공략 초반에만 하게체로 쓰고, 그 후에는 반말을 쓴다.
- 에버소울 - 순이
- 역전재판 시리즈 - 미츠루기 레이지: 기본적으로 하게체를 사용하고, 하오체를 병행하기도 한다. 상관이나 상관의 동생등 극히 일부 사람 한정으로 존댓말을 쓰기도 하고, 친한 사람한테는 반말도 쓸 때도 있다. 물론 이것은 한글패치판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도 나와 있듯이 보통 하게체는 나이대가 있는 사람이 주로 쓴다고 했는데, 미츠루기는 20대(역전재판 5에서는 30대)의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이 말투를 쓰곤 한다. 뿐만 아니라 미츠루기의 10대 시절이 나온 역전검사에서도 하게체를 쓴다.
- 영웅은 공부 따원 안 한다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수도사(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엘소드 - 데니프
- 오버워치 - 라인하르트: 일반적으로 하게체를 사용하지만 여성에게는 하오체를 사용한다. 자신의 스승인 발데리히에게는 하십시오체를 사용한다.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도사 카쿠
- 용자 시리즈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아그네스 타키온: 해체와 하게체를 왔다갔다거리는 편, 티엠 오페라 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빛의 수호자 우서, 메디브, 나타노스 블라이트콜러
- 원피스 - 카쿠
- 은혼 - 이토 카모타로
- 유희왕 GX - 크로노스 데 메디치
- 전자오락수호대 - 패치
- 주일은 쉽니다 - 시리우스 A
- 천지해 - 노을: 어린 시절부터 하게체를 사용해온 터라, 벗에게도 말투가 특이하다는 평을 받았다.
- 철권 시리즈 - 폴 피닉스, 마샬 로우[7], 리 차오랑
- 추노 - 이경식
- 카오스 이론 - 헤드리드 콥슨
- 쿠키런 - 파일럿맛 쿠키, 소금맛 쿠키, 흑마늘맛 쿠키, 타르트타탕맛 쿠키, 인삼맛 쿠키, 예언자맛 쿠키, 에그노그맛 쿠키
- 크림히어로즈 - 모모: 정확히 말하면 집사의 자체 더빙.
- 태조 왕건 - 궁예
- 포켓몬스터 - 하푸우, 버드렉스[8]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 이름없는 자: 모트 한정으로 사용한다.
- 폴아웃 4 - 닉 발렌타인 [9]
- 화려한 유혹 - 강석현
- 해리포터 시리즈 - 알버스 덤블도어: 특히 구판에서 스네이프 등에게 이 말투를 주로 사용했다.
- 회색도시 시리즈[10]
- 공통 - 박근태 - 아래 장희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나이가 중년이라 그런 것도 있다.
- 회색도시 - 유상일, 서재호
- 회색도시2 - 장희준 - 가뜩이나 악역이라 재수없는 소리를 듣는데, 말투 때문에 더 재수없게 보인다는 평을 듣는다.
팀 포트리스 2 - 스파이물론 한글 자막 상으론 하게체를 사용하는 쪽이 많다. 하지만 느낌 때문이지 이 캐릭터가 하게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1]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어미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특이하게도 '이다/아니다'와 어간에 받침이 있을 때만(ㄹ 제외)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뒤에 '-그려'를 붙일 수 있다. 볼세(X), 멀세(X), 참을세(O), 있을세(O), 끝일세(O), 아닐세(O)[2] '-겠더라, 겠데'라는 뜻. 시문에서 자주 쓴다.[3] 현대를 기준으로 판단한 어감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는 과거 여성들도 상당히 많이 쓰는 어투였다. 비슷한 이유로 현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에서도 여성 인물은 하십시오체를 잘 쓰지 않고 해요체를 쓰는 경우가 많다.[4] 원판 한정이고, 더빙판에서는 평범한 말투에 뒤에 뿌띠만 붙인다.[5] 밑에 폴과 로우처럼 같이 하게체로 쓰였다.[6] 각성 한정.[7] 5편에서 서로 대화 할때 하게체를 쓰는걸로 나왔다.[8] 왕관의 설원에서 피오니를 조종하여 텔레파시로 소통할 때 이 밀투를 사용한다.[9] 비공식 한글번역판 기준. 영어 원문으로도 상당히 정중한 표현을 고수한다.[10] 대개 해체와 섞어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