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훈음이 같은 한자에 대한 내용은 艸 문서 참고하십시오. 草 풀 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ソウ | ||||||
일본어 훈독 | くさ | ||||||
- | |||||||
표준 중국어 | cǎ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草는 '풀 초'라는 한자로, '풀'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풀 |
음 | 초 | |
중국어 | 표준어 | cǎo |
광동어 | cou2 | |
객가어 | chhó | |
민동어 | chāu / chō̤ | |
민남어 | chháu / chhó | |
오어 | tshau (T2) | |
일본어 | 음독 | ソウ |
훈독 | くさ | |
베트남어 | thảo |
유니코드에는 U+834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ㄘㄠ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十(TAJ)로 입력한다.
艸(풀 초)와는 훈도 음도 같지만 이체자 관계는 아니며, 어원적으로는 草가 艸보다 더 좁은 뜻이었다. 원래는 艸가 草보다 먼저 나왔으며 艸가 일반적인 풀을 뜻하는 한자였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草는 떡갈나무의 열매, 즉 도토리를 가리키는 글자였으나 전국시대 문헌에서부터 음이 비슷한 艸의 대체자로 널리 활용되며 사실상 艸와 의미차이가 없어졌다.
덕분에 草가 초두머리부의 제부수자[1]라는 오해도 생겼는데, 저학년 한자교재 등지에서 이런 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꽤 많다.
한편 草는 풀이라는 뜻이 대표적이지만 '처음'이라는 뜻도 있다. 그래서 '초창기', '초안' 등의 단어에 쓰인 '초'자의 한자는 初일 것 같지만 草이다. 특히 초창의 경우 初를 쓰면 '절을 처음 세움'이라는 뜻의 전혀 다른 단어가 된다.
3. 용례
3.1. 단어
3.1.1. 풀
풀을 뜻하는 한자인 만큼 식물의 명칭에 자주 붙는 한자이다.- 감초(甘草)
- 난초(蘭草)
- 대마초(大麻草)
- 동충하초(冬蟲夏草)
- 물망초(勿忘草) - 물망초의 꽃말 'forget-me-not'의 역어이다.
- 백일초(百日草)
- 부초(浮草)
- 불로초(不老草)
- 사초(史草/莎草/死草/飼草)
- 약초(藥草)
- 잡초(雜草)
- 초가집(草家집)
- 초록(草綠)
- 초목(草木)
- 초식(草食)
- 초원(草原)
- 해초(海草)
- 화초(花草)
3.1.2. 처음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아마쿠사 시로 도키사다(天草 四郎 時貞)
- 무나카타 소타(宗像 草太)
- 박초아(朴草娥)
- 시즈키 소쥬로(静希 草十郎)
- 아가츠마 소우비(我妻 草灯)
- 카미이구사 미사키(上井草 美咲)
- 코마쿠사 산뇨(駒草 山如)
- 쿠사노 마사무네(草野 マサムネ)
- 쿠사오 타케시(草尾 毅)
- 쿠사부에 미츠(草笛 みつ)
- 쿠사지시 야치루(草鹿 八千流)
- 히시다 슌소(菱田 春草)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서초역(瑞草驛) |
수도권 전철 4호선 | 초지역(草芝驛)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초월역(草月驛)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초지역(草芝驛)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초지역(草芝驛) |
용인 에버라인 | 초당역(草堂驛)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초량역(草梁驛) |
일반 철도역 | 광양제철선 신광양항선 초남역(草南驛) |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 |
만포선 | 초상역(草上驛) |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
나가사키 본선 (나가요선) | 오쿠사역(大草駅) |
도카이도 본선 (비와코선) | 쿠사츠역(草津駅) 미나미쿠사츠역(南草津駅)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선) | 쿠사나기역(草薙駅) |
소부 본선 (츄오-소부 완행선) 도에이 아사쿠사선 | 아사쿠사바시역(浅草橋駅) |
큐다이 본선 | 치쿠고쿠사노역(筑後草野駅) |
아가츠마선 | 나가노하라 쿠사츠구치역 (長野原草津口) |
야마구치선 | 나구사역(名草駅) |
야마다선 | 마츠쿠사역(松草駅) |
우베선 | 쿠사에역(草江駅) |
조반선 | 쿠사노역(草野駅) |
쿠사츠선 | 쿠사츠역(草津駅) |
후쿠치야마선 (JR 타카라즈카선) | 쿠사노역(草野駅) |
도부 이세사키선 | 소카역(草加駅) |
도쿄메트로 긴자선 도에이 아사쿠사선 도부 이세사키선 | 아사쿠사역(浅草駅) |
세이부 신주쿠선 | 시모이구사역(下井草駅) 카미이구사역(上井草駅) |
시즈테츠 시즈오카시미즈선 | 쿠사나기역(草薙駅) |
아키타내륙종관철도 아키타 내륙선 | 카야쿠사역(萱草駅) |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 | 쿠사미치역(草道駅) |
케이오선 | 모구사엔역(百草園駅) |
케이한 본선 | 류코쿠다이마에후카쿠사역(龍谷大前深草駅) |
치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 사쿠사베역(作草部駅) |
히로덴 미야지마선 | 쿠사츠역(草津駅) 쿠사츠미나미역(草津南駅) |
역명에 草가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 |
가오슝 첩운 홍선 | 차오야역(草衙站)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차오팡역(草房站) |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베이징 지하철 19호선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 차오차오역(草桥站) |
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 쯔차오우역(紫草坞站) |
3.6. 창작물
3.7. 기타
4. 중국 넷상에서의 비속어
자세한 내용은 肏 문서 참고하십시오.5. 일본 넷상에서의 용례
한마디로 풋(푸훗). 언젠가부터 일본에서는 웃음 때문에 www가 길게 늘어서면 모습이 풀밭 같아 그런지 이 한자를 wwwww 대용으로 쓰기 시작했다. 정확한 용례는 한여름 밤의 음몽 관련 영상에서 음몽 팬덤과 속칭 논케라 불리는 일반인을 구별하기 위해 w대신에 이 표현을 쓴 게 트위터를 통해 보급화되기 시작하면서, 이젠 www보다 草가 더 많이 보일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영어로 치면 LOL 대용으로 lmao, rofl 등이 생겨나는 것과 비슷한 현상. 파생형으로 くさはる(풀 자란다), 草不可避(풀 불가피), 大草原(대초원), 大草原不可避(대초원 불가피) 등이 있다.주로 10대~20대 초반이 사용한다. 참고로 사용하는 방법은 ~して草나[2] 그냥 草 하나만 쓰는 경우도 있으며 원래의 www를 대체하는 의미로는 草 한 글자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은 편.
草를 w와 같이 쓰는 것은 '草に草生やすな'라는 식으로 지적받는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