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2:30:12

포드 F-시리즈

포드 슈퍼 듀티에서 넘어옴
파일:Ford-Logo.png
포드 F-시리즈 라인업
F-150 슈퍼 듀티 미디엄 듀티
파일:2024-ford-f-150-platinum-exterior.jpg 파일:2024-ford-f-150-raptor.jpg
F-150 플래티넘 플러스 F-150 랩터[1]
파일:2024 포드 슈퍼 듀티.jpg 파일:포드 미디엄 듀티 f750.jpg
슈퍼 듀티 미디엄 듀티
F-Series

1. 개요2. 상세
2.1. 다목적 라인업2.2. 북미 자동차 판매량 1위
3. 세대별 구분
3.1. 1세대 (1948~1952)3.2. 2세대 (1953~1956)3.3. 3세대 (1957~1960)3.4. 4세대 (1961~1966)3.5. 5세대 (1967~1972)3.6. 6세대 이후
4. 슈퍼 듀티5. 미디엄 듀티6. 미국 관공서 납품7. 한국 시장8. 경쟁 차량9. 둘러보기


Ford F-Series

1. 개요

미국 포드에서 1948년부터 생산하는 풀 사이즈 픽업트럭.

매년 수십만 대를 판매하며 쉐보레 실버라도와 북미 시장 판매량 1,2위를 다투는 베스트셀링카이자 폭스바겐 골프, 토요타 코롤라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들 중 하나이다.

하위 모델로는 미드사이즈 픽업트럭인 레인저가 있다.

2. 상세

2.1. 다목적 라인업

파일:포드F견인차.jpg
흔히 F-시리즈 하면 F-150을 가리키며, 1999년부터는 F-250과 같은 그 위의 모델을 슈퍼 듀티라고 분류했다. 슈퍼 듀티는 보다 상업용으로 특화된 모델로, 상공업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2] 보다 강력한 엔진과 서스펜션을 장착해 적재중량이 더 높으며 화물 시장을 목표로 한다.[3]. 이러한 용도를 위해 F-350은 뒷바퀴를 복륜[4]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F-450부터는 뒷바퀴에 복륜만 달 수 있다.[5]

탑승칸은 레귤러/슈퍼/크루 캡 3종류로 구성된다. 레귤러 캡은 1열에 운전석과 조수석만 있으며, 벤치 시트를 달아 3인승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슈퍼 캡은 익스텐디드 캡이라고도 하며, 좁은 2열이 있어 체구가 작은 사람의 승차가 가능하다. 2열 문은 1열과 반대방향으로 열리는 코치 도어 형식이다. 2열 좌석의 좌판을 접어 올려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크루 캡의 경우 넓은 2열이 있으며, 슈퍼 캡과 달리 일반적인 문이 달려있고, 2열 좌석의 등받이를 접어 내릴 수 있다.

F-150의 짐칸은 5.5[6]/6.5[7]/8피트[8] 길이로 구성되며 폭은 모두 50인치로 동일하다. 최대 규격은 8피트로 48인치 x 48인치인 표준규격 팔레트를 2장 적재할 수 있다. 같은 크루 캡인 리미티드와 플래티넘 사양끼리도 리미티드는 6.5피트 짐칸을, 플래티넘은 8피트 짐칸을 선택할 수 있는 등 사양별로 적용할 수 있는 짐칸 크기가 달라진다.

또한 F-시리즈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파생 차량도 존재하는데, 포드 브롱코는 2세대부터 5세대까지[9], 포드 익스페디션링컨 내비게이터는 1세대부터 현행 모델까지 F-150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다.[10] 한편으로 F-시리즈 중 F-250 이상인 슈퍼 듀티급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만든 파생 차량은 F-250을 기반으로 한 포드 익스커션이 유일하다.

2.2. 북미 자동차 판매량 1위

북미에서 F-시리즈의 인기는 매우 대단하다. 북미 픽업트럭계 최고의 강자로 자리잡고 있는 덕분에 미국의 국민차로 불린다. 1977년 이래로 북미 베스트셀링 트럭 자리를, 1981년 이래로 미국 베스트셀링 카 자리를 무려 40년 넘게 지키고 있다.[11] 이 인기 덕분에 포드는 2018년 F-시리즈의 판매로만 410억 달러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이러한 인기가 나올 수 있는 이유는 픽업트럭 문서에서도 언급된 것과 같이 픽업트럭이 미국인의 생활양식에 특화된 차량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국토가 넓어 대도시를 제외하면 일부 고속도로조차 포장 상태가 불량하고, 험로와 비포장길이 많다 보니 노면 상태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차량에 대한 수요가 적지 않다. 거기에 더해 차량 중심의 생활문화가 자리잡혔기 때문에 주변 마트와의 거리가 상당해 외출할 때마다 장거리를 달려서 한 번에 대규모로 구매하고 오는 경향이 있어 적재공간이 충분한 차가 인기가 좋다. 또한 포드라는 브랜드 자체도 미국의 현대자동차라고 보면 될 정도로 익숙해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가 높다. 미국 브랜드라는 점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반적인 승용차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일본 브랜드인 토요타닛산이 풀사이즈 픽업 트럭 시장만큼은 미국 브랜드들을 따라가기 힘들어한다.[12]

또한 가장 많은 판매량을 자랑하는 F-150은 픽업트럭 중 가장 혁신적인 시도를 많이 하고 있다. 13세대부터 강철에서 알루미늄으로 바디패널 자체를 바꿔 경량화하는 동시에 충돌테스트 안전성도 확보했으며, 12세대부터 고배기량 V8 엔진보다 2.7L/3.3L/3.5L V6 터보 엔진을 중심으로 다운사이징을 이뤄내 연비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인기 덕분에 포드에서는 용도별로 여러 가지 트림과 구성을 내놓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좋은 F-150의 바리에이션이 상당히 많은데, 가령 '랩터' 사양은 기존 F-150에서 고성능 엔진을 적용하고 F O R D 글자가 써진 그릴을 부착하여 퍼포먼스로 어필한다.[13] 킹 랜치/플래티넘/리미티드 사양의 경우에는 외관과 내부를 고급스럽게 꾸며 럭셔리 픽업을 원하는 계층에 어필하는 등의 예시가 있다. 이외에도 상공업용으로 주로 쓰이는 최하 사양 XL이나, 적당한 가격의 픽업트럭을 필요로 하는 계층에 어필할 XLT 등으로 여러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북미에서도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규제가 점점 늘어나면서 2020년까지 전기모터가 들어간 하이브리드 차량을 개발할 계획을[14] 세웠고, 이는 14세대 F-150이 하이브리드와 라이트닝이라는 이름의 전기차 사양을 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거기에 더해 북미 시장에서 점차 세단의 인기가 떨어지자, 포드는 자국에서 대개 경찰차, 렌트카 등의 플릿 수요로만 충당되던 자사 세단들을 정리하고 SUV/픽업트럭 부분에만 집중하고 있는 중이다.

인기가 높기 때문에 튜닝 업체에서도 F-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개조차량을 상당히 많이 내놓고 있다. 헤네시 베놈 GT로 유명한 튜닝 업체 헤네시에서는 F-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개조 차량을 선보이고 있는데, 가령 '벨로시랩터'라는 이름의 차량은 6륜구동 사양이나 뒤에 3열을 추가한 SUV 사양도 출시된 적이 있었다.[15] 포드 차량을 주로 튜닝하는 쉘비에서는 온로드 사양으로 개조한 F-150 슈퍼 스네이크를 선보였는데, 5.0L V8 엔진에 슈퍼차저를 얹어 최고출력을 750마력까지 끌어올렸다.

덕분에 미국 내 생산지가 굉장히 많은데, 포드 본사 인근의 미시간 디어본 트럭 어셈블리[16], 미주리 클레이코모, 켄터키 루이빌, 오하이오 에이번 레이크 등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3. 세대별 구분

3.1. 1세대 (1948~1952)

파일:external/cdn1.mecum.com/da0915-222999_1.jpg
1948년식 F-1

파일:external/mungenastclassicmuseum.com/DSC02707-Ford-F1-Truck.jpg
1952년식 F-1

1942년에 만들어진 픽업트럭 시장에 1948년부터 이 1세대 모델로 포드도 경쟁에 들어섰다. 라인업이 매우 다양했는데 픽업부터 스쿨버스(!!!)까지 있었다고 한다.

3.2. 2세대 (1953~1956)

파일:external/www.conceptcarz.com/55_Ford_F100_DV-12-MM-01.jpg
1955년식 F-100



1953년에 샤시와 엔진 등을 향상시킨 2세대 모델이 선을 보였다. F-시리즈라는 이름은 이때부터 쓰여졌다.[17] 0.5t 짜리 F-1은 후에 F-100으로, F-2와 F-3은 F-250으로, F-4는 F-450이 되는 등 F-시리즈 네이밍의 시초가 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3.3. 3세대 (1957~1960)

파일:external/www.schmitt.com/405607-3.jpg
1960년식 F-100

새로운 디자인의 3세대 모델이 1957년 출시되었다. 툭 튀어나와 있던 보닛이 평평해졌고, 적재함의 스타일도 달라졌다. 캡오버라는 트림이 단종되었다.[18] 1959년에는 4WD 시스템이 추가되기도 하였다.

3.4. 4세대 (1961~1966)

파일:external/dealeraccelerate-all.s3.amazonaws.com/4820_05bdbb55e6_low_res.jpg
1966년식 F-100



좀 더 다이내믹한 디자인의 4세대 모델이 1961년에 출시되었다. 전 세대보다 길어지고 낮아졌고 새로운 엔진과 기어가 장착되었다. 1965년에는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후에 F-250/350에 쓰이는 트윈-I-빔이라는 서스펜션을 달았다. 또한 이 해에 에드셀의 베이스 모델인 레인저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포드 픽업트럭에 달렸다. 레인저는 현재 F-시리즈의 스타일링 패키지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3.5. 5세대 (1967~1972)

파일:external/momentcar.com/ford-f100-1968-9.jpg
1968년식 F-100



4세대의 같은 플랫폼을 사용한 상품성 개선 모델이나 다름없는 5세대가 1967년에 나왔다. 유리창이 조금 더 커졌고, 플러셔라는 트림이 등장했다. 1969년형인 F-시리즈의 모든 모델은 서로 서스펜션 교환이 가능했다.

미국에서는 1972년에 단종됐지만 남아메리카 시장에서는 1992년까지 판매되었다.

참고로 브롱코는 2세대 부터 F-150과 플랫폼을 공유했다.

3.6. 6세대 이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드 F-15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슈퍼 듀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드 슈퍼 듀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미디엄 듀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드 미디엄 듀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미국 관공서 납품

한편으로 미국 경찰의 차량으로도 사용되는데, 슈퍼 듀티 체급은 1999년부터, F-150은 폴리스 리스폰더라는 이름으로 2013년부터 경찰차로 사용되고 있다. CBP, NPS마냥 이런 경찰차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환경에 있는 기관들에서는[19] 자주 쓰이지만, 일반적인 미국 경찰들은 도심에서 활동할 일이 많기 때문에 포장도로에서의 기동성이 상대적으로 나은 기존의 세단이나 SUV 기반 경찰차가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미국 소방서에서도 험로 기동에선 대형트럭 기반의 소방차가 불리하기 때문에, Brush Truck이라는 이름으로 픽업트럭 기반 소방차를 소형 소방차량 겸 야지기동형 소방차로 운용하고 있다.

7. 한국 시장

예전에는 한국 도로 사정에 맞지 않는 거대한 크기, 투박한 완성도와 좋지 않은 연비 등 한국 시장에서 잘 팔릴 수 있을 요소가 부족해 수요가 매우 적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등 대형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났고 최근 익스페디션-타호 등 풀사이즈 픽업트럭을 기반으로 한 SUV와 포드 레인저/쉐보레 콜로라도 등의 중형 픽업트럭이 출시되면서[20] 한국 시장 출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또한 선박이나 캠핑 등 트레일러를 이용한 여가 활동 수요의 증가, 이케아 같은 조립식 가구 판매점이나 이마트 트레이더스/코스트코 등 창고형 매장의 대두도 출시 요구를 늘리고 있다.

F-150은 현재 병행수입되는 차량들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모델로, 예전부터 병행수입 업체를 통해 알음알음 들어온 데다가 북미 최대 판매 트럭 등의 이유로 인지도를 쌓았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서 에코부스트와 같은 다운사이징 엔진이 들어가 있고, F-250 등의 슈퍼 듀티 체급보다는 작은데다가 그 체급은 에스컬레이드 등으로 어느 정도 한국 시장에서 자리를 잡은 크기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크기 때문에 한국에서 운전하기는 매우 어려운 차에 속한다. 차주 대부분이 단점으로 뽑는 것도 도심에서 일상으로 써먹기에는 너무 큰 크기. 미국에서조차 도심에선 이런 픽업트럭을 주차하는 데 난관을 겪곤 하는데, 한국에선 더할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아직까지 포드 코리아는 레인저나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만 출시했으며, F-시리즈는 아직 판매 및 도입이 논의 중이다.

한편으로 F-시리즈는 가솔린 엔진만 수입이 가능한데, 수입사에서 미국 시장용 디젤 모델을 들여오지 않는 이유는 대한민국의 디젤 배기가스 검사 기준이 유럽 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서로 달라서 수입하지 않기 때문이다. 유럽의 디젤 엔진 규제가 미국의 그것보다 좀 더 엄격하기에 디젤 모델은 수입이 불가능한 것. 그레이 임포팅으로 들어온 물건들의 최대치가 F-350 수준으로 제한되는 이유는 전술한 크기와 파워트레인 등에서 나오는 실용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현행 F-350까지는 가솔린 라인업과 단륜 라인업이 존재하지만 F-450은 디젤 엔진에 복륜으로만 출시되기 때문에 인증이 어렵기 때문. 경찰청, 소방청 등에서 특수목적 관용차량 용도로 F-550[21]을 들여온 경우를 종종 볼 수 있긴 하지만 그 이외 등급, 특히 그 미국에서도 너무 크다고 하는 F-650 이상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포드코리아에서는 아직 수요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고, 풀사이즈 트럭의 정식 수입이라는 길을 개척해야 하니 아직은 출시 계획을 내놓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는 병행 수입 업체를 통해 미국 현지에서의 같은 사양 차량보다는 더 비싼 가격에 구매해야 한다. 그렇다고 미국 내 시작 가격이 싸다고 해서 병행 수입 업체가 몇 배의 수익을 남길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가 없는 것이, 미국에선 시작 가격을 낮게 잡되 옵션의 선택지를 다변화하는 식으로 판매하므로 옵션 선택에 따라서 같은 사양이어도 가격 차이가 매우 크게 생겨나기 때문이다.[22]F-150 병행수입사 게시글 참조. 당장 정식 수입되는 차량들만 보더라도 깡통 시작 가격은 당연히 싸지만, 그걸 그대로 한국에 들여왔다간 악성 재고로 남게 되어 손해만 볼 게 뻔하므로 거의 풀옵션 위주로 들여오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고, 당연히 해당 모델의 풀옵션 가격을 그대로 대입해보면 몇 배씩 차이가 나게 파는 것은 아무리 부대 비용이 정식 수입업체보다 많이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그 정도는 아니고, 그렇다 하더라도 예전에나 해당되는 이야기이지 요즘처럼 미국 판매가격을 바로바로 알 수 있는 시대에서는 힘든 얘기다.

F-시리즈가 한국에 정식으로 출시된다면 인지도, 실용성 면에서 가장 우월한 F-150 트림 만이 출시될 것이다. 한국의 디젤 엔진 규제는 유럽 배출가스 기준을 따르고 있으므로 미국 EPA 규제에 맞춘 3.0 디젤 엔진은 출시할 수 없다.

8. 경쟁 차량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17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179>
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3179> 소형차 - 모델 T · 모델 A · 모델 Y · 7Y · 7W ·
C 텐 · 파일럿 · 아이펠 · 앵글리아 ·
프리펙트 · 포퓰러 · 핀토 · 페스티바 ·
아스파이어 · 아이콘 · · 피고 · 피에스타
준중형차 포커스 라인란트 · 에스코트/오리온 · 매버릭(1970~1977) ·
팰컨(북미형) · 페어몬트(북미형) · 스콰이어 · 오리온 ·
델 레이 · 링크스 · 티에라 · 레이저/미티어 · 에스코트(중국형)
중형차 몬데오(중국형)/토러스(중동형) 메인라인 · 커스텀 · 콘술 · 코티나 · 코세어 · 코세어(호주형) ·
팰컨(아르헨티나형) · 그라나다(북미형) · 쿠거 · 시에라 ·
템포 · 텔스타 · 갤럭시(아르헨티나형) · 엘리트 · 로얄 · 베르사유 ·
퓨전 · 페어레인(북미형, 1962~) · 토리노 · 토리노 탈라데가
준대형차 - 커스텀라인 · 제퍼 · 크레스트라인 · 크레스트라인 스카이라이너 ·
크라운 빅토리아 스카이라이너 · 20M · 그라나다(유럽형) ·
스콜피오 · 파이브 헌드레드 · 팰컨(호주형) · 토러스
대형차 - 컨트리 스퀘어 · 랜치 왜건 · 파크레인 · 델 리오 ·
페어레인(북미형, ~1961) · 페어레인(호주형) ·
선라이너 · 페어몬트(호주형) · 갤럭시 · LTD ·
크라운 빅토리아 · 랜도(호주형) · 랜도
스포츠카 · 슈퍼카 머스탱 썬더버드 · 퓨마 · 팰컨 XB · 카프리(호주형) ·
카프리 · EXP · 프로브 · 쿠거 · GT
소형 SUV 퓨마 · 브롱코 스포트 에코스포트 · 프리스타일
준중형 SUV 이스케이프 · 쿠가 · 테리토리(중국형) · 머스탱 Mach-E · 익스플로러 일렉트릭 · 카프리(2024) 브롱코 II · 매버릭(2000 유럽형)
중형 SUV 이퀘이터 · 몬데오 스포트 · 브롱코(6세대~) 테리토리 · 매버릭(1993 유럽형) · 엣지(플러스)
준대형 SUV 익스플로러 · 에베레스트 · 엣지 L 프리스타일/토러스 X · 플렉스
대형 SUV 익스페디션 브롱코(1~5세대)
초대형 SUV 익스페디션 맥스 센추리온 클래식 · 익스커션
소형 픽업트럭 매버릭 란체로(2세대) · 반탐
중형 픽업트럭 레인저 란체로(3~7세대) · 커리어 ·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
대형 픽업트럭 F-시리즈(F-150 · F-150 라이트닝 · 슈퍼 듀티) 란체로(1세대)
소형 MPV - 퓨전(유럽형) · B-MAX
준중형 MPV - C-MAX · 익시온 · I-MAX
중형 MPV - 에어로스타 · 윈드스타 · 프리스타 · 프레다 · S-MAX
대형 MPV - 갤럭시
경상용차 - 프론토
LAV 트랜짓 커넥트 / 투어네오 커넥트 · 트랜짓 커리어 / 투어네오 커리어 -
LCV 트랜짓 커스텀 / 투어네오 커스텀 · 트랜짓 · E-시리즈 템즈 300E · 팰컨 밴
트럭 카고 · F-MAX · 슈퍼 듀티(F-250/F-350/F-450/F-550/F-600) · 미디엄 듀티(F-650/F-750) C 시리즈 · D 시리즈 · 트랜스컨티넨탈 · LCF
버스 - R 시리즈
경찰차 FPIU(폴리스 인터셉터 유틸리티) FPIS(폴리스 인터셉터 세단)
군용차 - GPW · V3000
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M20 유틸리티 카 ·
유니버설 캐리어영국 지부&캐나다 지부
전차 - M4A3
대전차 자주포 - M10A1
{{{#!wiki style="margin: -16px -11px" 에드셀의 차량
머큐리의 차량
머쿠어의 차량
링컨의 차량
컨티넨탈의 차량 }}}}}}}}}}}}



[1] 오프로드 특화 트림[2] 사진의 견인차 등.[3] 실제로 미국에서는 농가와 공사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모델이다. 물론 슈퍼 듀티의 범용성은 전술되었듯 상상 이상이어서 굳이 저 둘 아니어도 도시, 촌구석 구분 없이 온갖 개인, 정부기관, 회사들에 의해 별의 별 용도로 (때로는 개조되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4] 기아 봉고현대 포터의 후륜이 양쪽 각각 2개씩 달려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이런 복륜형 차량들을 북미에선 브랜드에 상관없이 차량 이름 뒤에 'Dually'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른다.[5] F-350 이외에도 3,500급의 픽업트럭은 단륜형도 존재하지만, F-450과 같은 4,500급부터는 상공업이나 공공기관, 혹은 캠핑카 등으로도 개조해 쓸 수 있도록 상당한 적재하중을 버텨낼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물론 간혹 복륜에서 단륜으로 개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6] 약 168cm[7] 약 198cm[8] 약 244cm[9] 현재는 포드 레인저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다.[10] 이와 비슷하게 실버라도는 쉐보레 서버번, 쉐보레 타호, GMC 시에라, GMC 유콘,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와 플랫폼을 공유한다.[11] 이는 오일쇼크, 머스키법 등으로 인기를 얻어 북미 준중형 시장에서 제일 잘 팔리는 시빅, 코롤라조차 넘지 못하는 기록이다.[12] 2020년 기준 F-150이 62만 대, 실버라도 1500이 50만 대, 램 1500이 48만 대가 판매되었으며, GMC 시에라도 23만 대를 판매했지만 토요타 툰드라는 12만여 대, 닛산 타이탄은 3만 대도 채 팔지 못했다.[13] 이전에는 SVT 라이트닝이 퍼포먼스 사양을 담당했다. 비슷한 사례로 닷지 램바이퍼의 V10 8.4L 엔진을 장착한 SRT-10 사양이 있었다.[14] 전기차 '쩐의 전쟁' 시작되나… 포드 2022년까지 11조6,800억원 투자[15] 가솔린은 6.2L V8 엔진. 600/650마력. 디젤은 440마력에 119kg.m의 토크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배기가스 규정이나 개조 인증 등의 문제로 수입된 적이 없다.[16] F-150 전담[17] 1세대는 포드 보너스 빌트라 불렸다.[18] 후에 C 시리즈 트럭으로 부활했다.[19] 비포장도로, 험로 위주여서 일반적인 경찰차의 활동이 어려운 경우.[20] 게다가 GMC 시에라와 같은 풀사이즈 픽업트럭 역시 한국에 정식으로 들어왔다.[21] 대표적인 것이 몇몇 지방 소방청에서 운용중인 소방 및 구조차량, 경찰특공대에서 사용하는 MARS 진입 체계 차대.[22] 저렴한 가격의 기본형은 차체도 뒷 공간 없는 싱글캡에 편의장비도 거의 국산 포터/봉고 수준이며, 그나마 국내에서 SUV/픽업 오너들이 필수로 여기는 옵션들을 추가하다보면 차값이 천 만원 단위로도 뛰어버린다.[23] 가격대는 훨씬 높은 프리미엄 모델이지만 풀사이즈 전기 픽업트럭으로써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