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0:22:46

중국의 한국 교통 시장 진출

1. 개요2. 현재까지 대한민국에 들어온 것이 확인된 중국 기업들의 차종들
2.1. 승용차2.2. 버스
2.2.1. 내연기관 버스2.2.2. 전기버스
2.3. 트럭, 밴, 승합차
3. 완성차 이외의 사례4. 도로교통 이외5. 논란 및 비판6. 대응7. 반응8. 외국의 경우9. 번외: 교통 이외의 사례10. 관련 문서

1. 개요

전기자동차[1]를 비롯하여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발달하면서 중국 제조사의 차량들이 대한민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특히 마이크로카전기버스, 소형 상용차 등이 많이 들어온다.

2. 현재까지 대한민국에 들어온 것이 확인된 중국 기업들의 차종들

대한민국에서 반조립 생산되는 차량은 #
단종된 차종은 취소선

2.1. 승용차

2.2. 버스

2.2.1. 내연기관 버스

2.2.2. 전기버스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중국차들 중 가장 수입량이 많은데, 대한민국에서도 세계 유수의 선진국들처럼 저상버스를 의무화하려는 움직임과 더불어 친환경차 열풍이 시너지를 일으키며 업체들이 저렴하게 이러한 버스를 도입하려고 하면서 중국으로 눈길을 돌렸고 중국의 버스 업계들도 이에 맞춰 전기 저상버스들을 저렴하게 공급하기 시작했다.

2.3. 트럭, 밴, 승합차

3. 완성차 이외의 사례

4. 도로교통 이외

5. 논란 및 비판

현재 중국 자동차 업계의 한국 진출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6. 대응

중국발 미세먼지와 화웨이 통신장비[11] 때와 마찬가지로 의미 있는 대응이 전혀 나오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일부 지자체들이 중국 버스 도입을 제한했으며, 배터리 효율이 낮은 중국 버스에 대해 보조금을 낮춘 것 정도가 전부다.

현재 중국산 전기버스를 단 한대도 보유하지 않고 있는 지자체 시내, 농어촌버스는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북도[12], 전라남도 뿐이다.

7. 반응

대부분이 좋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가 아무리 싫어도 중국차를 탈 바엔 현대차를 탄다", "일본도 독도 왜곡 때문에 별로긴 하지만 중국차를 탈 바엔 일본차를 타는 게 훨씬 낫다"[13], "독일 BMW 연쇄 화재 사건 때는 정부, 언론 가리지 않고 BMW를 불자동차라고 공격했는데 한국의 안보를 위헙하는 중국차에 대해서는 아무 대응도 못 하는 게 답답하다", "수입차를 타야 한다면 돈을 더 내고 유럽, 미국, 일본차를 타는 게 최고다."등의 반응이 나왔다.

8. 외국의 경우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의 외국 교통 시장 장악 시도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
, 4.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9. 번외: 교통 이외의 사례

중국 산업계의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세계 시장 장악 시도는 교통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들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10. 관련 문서



[1] 내연기관보다는 전기차가 들어오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2] 3개 브랜드 다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이 지분을 60% 이상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3] 이전에는 스웨덴 공장에서도 생산했으나, 2017년부터 S90을 전량 중국 다칭 공장으로 옮겨서 생산함에 따라 대한민국 수입 물량도 2018년부터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다. 다만 왜건 버전인 V90은 스웨덴에서 생산된다.[4] 토슬란다 공장에서 생산하는 대한민국 공급 물량이 포화상태라서 잠시 중국산을 들여오고 있다.[5] 현재 미출시[6] 2024년 6월 이후 생산분.[7] 휙고 제외. 여기는 인천 남동공단에서 생산하는 CURRUS 누구나 라는 모델을 도입했다. 지바이크도 이 모델을 시범 운용한 적은 있으나 포기 후 다시 나인봇만 주구장창 도입했다.[8] 볼보 7900은 차량한계 초과 문제로 인해 수입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똑같이 차량한계을 초과한 로젠바우어 판터는 잘만 들어왔다는 거다. 잠깐만 그건 긴급자동차 아닌가[9] 버스 이전에도 승용차 부문에서 이런 표절이 만연해있었는데, 중타이 SR9포르쉐 마칸 표절 의혹 때만 해도 중국 정부는 중타이를 편들었다.[10] 특히 대한민국에 수입중인 CRRC 그린웨이의 제작사인 중국중차는 중국 국영기업이다.[11] 이미 화웨이 통신장비는 대한민국 통신 3사에 모두 도입된 게 확인됐다. Clean Telco 인증을 받은 SK텔레콤,KT 등도 유선 백본망 장비로 이 회사 제품을 도입했고 LG U+는 유선 장비 이외에 무선 장비 역시 화웨이 제품이라 미국에서 대놓고 콕 집어서 경고하기도 했다. 이 시기 쯤 나머지 두 통신사는 단계적으로 화웨이 장비를 빼버리겠다고 한 바 있다. 네이버,카카오도 서버 장비를 시범 도입 후 얼마 안가 다시 제거했다.[12] 대신 경주시 시내버스선롱 듀에고가 있다.[13] 사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는데, 세계적으로 일본차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 특유의 장인 정신으로 인해 고장이 잘 안 난다, 내구성이 좋다 등 상당히 긍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14] 참고로 리판 320은 둥펑 EQ-2050과 함께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잘롭닉에서 세계 10대 표절차 중 하나로 선정된 적이 있다.[15] 또 후속차로 리판 330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