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09 14:25:34

수상록

1. 에세이
1.1. 정의1.2. 개요1.3. 쓰는 법
2. 몽테뉴의 저서

1. 에세이

1.1. 정의

/ Essay

그때그때 떠오르는 느낌이나 생각을 적은 글을 말한다.

1.2. 개요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장르의 글을 나타내는 수필 중에서도, 일반적인 개념인 경수필보다 훨씬 깊이 있고 학술적인 느낌이 강한 중수필과 비슷한 개념. 하지만 서양의 에세이 개념과 100% 일치하지 않기에, 대학교에서 글쓰기 수업을 강의할 때는 그냥 서구식 에세이 개념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편이다.[1]

일기처럼 개인적인 감상을 많이 드러내면서도 논문처럼 학술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다만 쓰는 입장에 따라서 개인의 감상에 더 치중할 수도, 객관적인 정보에 더 치중할 수도 있다.

1.3. 쓰는 법

기본적으로 논설문처럼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서론 본론 결론이 대략적으로 나뉘는데, 논문에 비하면 각 부분의 구별이 조금 흐릿한 편이다. 에세이는 기본적으로 서구식 글이기 때문에 문제와 주장을 먼저 제시하고 근거를 후술하는 두괄식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론에는 독자의 관심을 환기시킬 만한 질문이나 사례 소개 등으로 시작해서 거기에서 유도할 수 있는 문제, 즉 글의 주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나서 저자의 주장을 소개한다. 두괄식이므로 자신의 주장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론에는 주장에 대한 근거나 사례를 써야 한다. 이 때 글이 더욱 설득력있게 하려면 자신의 주장에 대해 예상되는 반론을 제시하고, 그것을 재반박하는 것이 좋다. 반박을 할 때는 반론의 결론이 아니라 근거를 반박해야 하는데, 결론을 반박하는 것은 해당 입장을 아예 무시하겠다는 의미이므로 올바른 태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반론, 재반론을 몇 차례 반복하고 중간중간에 적절한 사례와 인용 등을 제시하면 더 좋다.

결론은 자신의 주장을 재확인하고 앞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 정리한다. 이 때 앞에서 언급하지 않은, 전혀 새로운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근거 제시는 본론에서 마무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독자를 설득할 수 있는 임팩트 있는 문장을 적으면 좋다.

2. 몽테뉴의 저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노벨 연구소 선정 최고의 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normal"
2002년, 노르웨이 노벨연구소는 전 세계 54개국의 유명 작가들을 대상으로 세계 문학사에서 가장 훌륭하고 가장 중심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위는 50%의 이상의 표를 얻은 돈키호테이며 나머지 순위는 밝히지 않았다. 가장 많은 책을 올린 작가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4권)이며, 프란츠 카프카, 윌리엄 셰익스피어, 레프 톨스토이는 각각 3개의 책을 올렸다.
1984
조지 오웰
인형의 집
헨리크 입센
감정 교육
귀스타브 플로베르
압살롬, 압살롬!
윌리엄 포크너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아이네이스
베르길리우스
안나 카레니나
레프 톨스토이
빌러비드
토니 모리슨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알프레드 되블린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불안의 책
페르난두 페소아
욥기
작가 미상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
토마스 만
캔터베리 이야기
제프리 초서

프란츠 카프카
우리 동네 아이들
나기브 마푸즈
픽션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시선집
자코모 레오파르디
단편집
프란츠 카프카
단편집
에드거 앨런 포
제노의 의식
이탈로 스베보
죄와 벌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죽은 혼
니콜라이 고골
이반 일리치의 죽음
레프 톨스토이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
오지에서의 곤경
주앙 기마라에스 로사
광인일기
루쉰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
동화집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파우스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프랑수아 라블레
길가메시 서사시
작가 미상
금색 공책
도리스 레싱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걸리버 여행기
조너선 스위프트
집시가집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햄릿
윌리엄 셰익스피어
이야기
엘자 모란테
굶주림
크누트 함순
백치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일리아스
호메로스
해방된 민중
할도르 락스네스
보이지 않는 인간
랠프 엘리슨
운명론자 자크와 그 주인
드니 디드로
밤의 끝으로의 여행
루이페르디낭 셀린
리어왕
윌리엄 셰익스피어
풀잎
월트 휘트먼
트리스트럼 샌디의 삶과 의견
로렌스 스턴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콜레라 시대의 사랑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
마의 산
토마스 만
마하바라타
브야사
특성 없는 남자
로베르트 무질
마스나위
잘랄 웃 딘 루미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
미들마치
조지 엘리엇
한밤의 아이들
살만 루시디
모비 딕
허먼 멜빌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냘의 사가
작가 미상
노스트로모
조지프 콘래드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고리오 영감
오노레 드 발자크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백년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과수원
세이크 무스하리프 웃-딘 사디
오셀로
윌리엄 셰익스피어
뻬드로 빠라모
후안 룰포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시선집
파울 첼란
악령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라마야나
발미키
샤쿤탈라
칼리다사
적과 흑
스탕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마르셀 프루스트
북으로의 이주 시절
타옙 살리흐
단편집
안톤 체호프
아들과 연인
D. H. 로렌스
음향과 분노
윌리엄 포크너
산소리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방인
알베르 카뮈
겐지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
치누아 아체베
천일야화
작가 미상
양철북
귄터 그라스
등대로
버지니아 울프
소송
프란츠 카프카
몰로이
말론 죽다
이름 붙일 수 없는 자
(3부작)
사뮈엘 베케트
율리시스
제임스 조이스
전쟁과 평화
레프 톨스토이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출처1출처2
}}}}}}}}} ||

독자여, 여기 이 책은 성실한 마음으로 쓴 것이다. 이 작품은 처음부터 내 집안 일이나 사사로운 일을 말하는 것 말고 다른 어떤 목적도 없음을 말해둔다. 추호도 그대에게 봉사하거나 내 영광을 도모하고자 쓴 책이 아니다.
『수상록』 서문
미셸 드 몽테뉴는 35세에 영지를 상속받자 법률가에서 은퇴한 뒤 자신의 영지에서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 결과물이 바로 수상록이다. 그는 이로써 에세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그것은 짧고 형식에 얿매이지 않으며 개인적 색채를 띤 논문으로, 주제에 제한이 없었다.

수상록은 수필모음집이기 때문에 발췌해서 읽기에 적당하다. 하지만 몽테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대로 모두 읽어야 한다. 몽테뉴는 자신을 위에서 아래, 앞에서 뒤, 오른쪽에서 왼쪽까지 철저히 묘사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작품은 그러한 저자의 변화무쌍하고 다양하며 복잡한 모습을 모여준다.

국내에서는 민음사와 동서문화사에서 완역본이 나와있다. 다만 완역본이다보니 페이지 수가 1,000페이지를 넘어간다.[2]



[1] 중수필은 엄밀하게 따지면 사회현상이나 정치 등 무거운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부차적으로 학술적 개념을 차용하는 거고, 이 쪽은 서술자의 주관이 많이 드러나지만 학술적 접근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2] 2022년에 출판된 민음사 판본은 3권으로 분권되어 출판되었는데 워낙 분량이 방대하다 보니 한 권당 500페이지가 넘는다. 다만 민음사본은 나중에 발견된 보충본을 대본으로 하여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