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06:28:15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파일:BritishArmedForces.svg
영국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원수
Field Marshal / Admiral of the Fleet
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
육군
Army
<colcolor=#000,#fff> 헨리 시모어 콘웨이 | 윌리엄 헨리 | 조지 하워드 | 프레더릭 어거스터스 | 존 켐벨 | 제프리 에머스트 | 존 그리핀 | 스터드홈 호지슨 | 조지 타운센드 | 프레데릭 캐번디시 | 찰스 레녹스 | 에드워드 어거스터스 | 아서 웰즐리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 아돌푸스 프레더릭 | 윌리엄 프레더릭 | *레오폴드 1세 | 찰스 무어 | 윌리엄 하코트 | 앨러리드 클라크 | 사무엘 헐스 | *앨버트 공 | *빌럼 2세 | 조지 누겐트 | 토머스 그로스베너 | 헨리 파제트 | 피츠로이 서머싯 | 스테이플튼 코튼 | 존 빙 | 헨리 하딩 | 존 콜보른 | 에드워드 블레이크니 | 휴 고프 | 조지 윌리엄 프레데릭 찰스 | 콜린 캠벨 | 알렉산더 우드포드 | 윌리엄 곰 | 휴 로스 | 존 폭스 버고인 | 조지 폴록 | 존 포스터 피츠제럴드 | 조지 헤이 | *에드워드 7세 | 윌리엄 로완 | 찰스 요르크 | 휴 로스 | 로버트 네이피어 | 패트릭 그랜트 | 존 미첼 | 리처드 제임스 데이커스 | 윌리엄 파울렛 | 조지 찰스 빙엄 | 린톤 사이먼스 | 프레더릭 헤인스 | 도널드 마틴 스튜어트 | 가넷 울즐리 | 프레더릭 로버츠 | 작센바이마르제나흐의 빌헬름아우구스트 | 네빌 볼스 체임벌린 | *빌헬름 2세 | 헨리 노르만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헨리 에블린 우드 | 조지 화이트 | *프란츠 요제프 1세 | 프랜시스 그렌펠 | 찰스 헨리 브라운로우 | 허버트 키치너 | *조지 5세M | 폴 샌포드 메수엔 | 윌리엄 니콜슨 | 존 프렌치 | *니콜라이 2세 | 더글러스 헤이그 | 찰스 에저턴 | *다이쇼 덴노 | 페르디낭 포슈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헨리 휴즈 윌슨 | 윌리엄 로버트슨 | 아서 바렛 | *알베르 1세 | 윌리엄 버드우드 | 클라우드 제이콥 | 조지 밀른 | *알폰소 13세 | *히로히토 | 줄리언 빙 | 루돌프 램바르트 | 필립 체트우드 | 아치볼드 몽고메리매싱버드 | *에드워드 8세M | 시릴 데버렐 | *조지 6세M | 윌리엄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얀 스뮈츠 | 존 딜 | 존 베레커 | 아치볼드 웨이벌 | 앨런 브룩 | 해럴드 알렉산더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헨리 메이틀랜드 윌슨 | 클로드 오킨렉 | 윌리엄 슬림 | *필립 마운트배튼M | 존 하딩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제럴드 템플러 | 프랜시스 페스팅 | *마헨드라 | *하일레 셀라시에 | 리처드 헐 | 제임스 카셀스 | 제프리 베이커 | 마이클 카버 | 로널드 깁스 | *비렌드라 | 에드윈 브래멀 | 존 스테니어 | 나이젤 바그날 | 리처드 빈센트 | 존 채플 | *켄트 공작 에드워드 왕자 | 피터 잉게 | *찰스 3세M | 찰스 거스리H | 마이클 워커H
해군
Navy
조지 레게 | 에드워드 러셀 | 조지 루크 | 클라우데슬리 쇼벨 | 존 리크 | 스태포드 페어본 | 매튜 에일머 | 조지 빙 | 존 노리스 | 샬로너 오글 | 제임스 스튜어트 | 조지 클린턴 | 조지 앤슨 | 윌리엄 롤리 | 에드워드 호크 | 존 포브스 | 리처드 하우 | 피터 파커 | 윌리엄 4세 | 존 저비스 | 윌리엄 윌리엄스-프리먼 | 제임스 갬비어 | 찰스 폴 | 찰스 에드먼드 뉴전트 | 제임스 호킨스-휘셰드 | 조지 마틴 | 토마스 비암 마틴 | 조지 콕번 | 찰스 오글 | 존 웨스트 | 윌리엄 게이지 | 그레이엄 하몬드 | 프랜시스 오스틴 | 윌리엄 파커 | 루시우스 커티스 | 토마스 코크란 | 조지 시모어 | 제임스 고든 | 윌리엄 보울스 | 조지 사토리우스 | 페어팩스 모르즈비 | 휴스턴 스튜어트 | 프로보 월리스 | 헨리 코드링턴 | 헨리 케펠 | 토마스 메이틀랜드 | 로드니 먼디 | 제임스 호프 | 토마스 시몬즈 | 알렉산더 밀른 | 찰스 엘리엇 | 알프레드 라이더 | *에드워드 7세 | 제프리 혼비 | 존 헤이 | *윌리엄 2세 | 존 코머렐 | 알프레드 어니스트 알버트 | 리처드 제임스 미드 | 앨저넌 라이언스 | 프레드릭 리처드 | 노웰 살몬 | 제임스 어스킨 | 찰스 호담 | 월터 커 | 에드워드 시모어 | 존 피셔 | 아서 윌슨 | *니콜라이 2세 | 제라드 노엘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 아서 팬쇼 | 조지 5세 | 윌리엄 메이 | 헤드워스 뮤 | 조지 캘러헌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헨리 잭슨 | 로슬린 웨미스 | 세실 버니 | 도브턴 스터디 | 루트비히 마운트배튼 | 찰스 매든 | 서머셋 고프-칼소프 | 존 드 로벡 | 헨리 올리버 | 오스몬드 브록 | 로저 키이스 | 프레더릭 필드 | 레지날드 티릿 | 어른 챗필드 | 에드워드 8세 | 존 켈리 | 조지 6세 | 윌리엄 보일 | 로저 백하우스 | 더들리 파운드 | 찰스 포브스 | 앤드류 커닝햄 | 존 토비 | 제임스 서머빌 | 존 커닝햄 | 브루스 프레이저 | 앨저넌 윌리스 | 아서 파워 | 필립 비안 | 필립 마운트배튼 | 로드릭 맥그리거 | 조지 크레이지 | 루이 마운트배튼 | 찰스 램브 | 캐스퍼 존 | 바릴 베그 | 마이클 르 파누 | 피터 힐-노턴 | 마이클 폴록 | 에드워드 애쉬모어 | 테렌스 르윈 | 헨리 리치 | 존 필드하우스 | *올라프 5세 | 윌리엄 스태블리 | 줄리안 오스왈드 | 벤자민 배서스트 | *찰스 3세 | 마이클 보이스
공군
Air Force
휴 트렌차드 | 존 살몬드 | *에드워드 8세 | *조지 6세 | 에드워드 엘링턴 | 시릴 뉴월 | 찰스 포털 | 아서 테더 | 숄토 더글러스 | 아서 해리스 | 존 슬레소르 | *필립 마운트배튼 | 윌리엄 딕슨 | 더모트 보일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토머스 파이크 | 찰스 엘워디 | 존 그랜디 | 데니스 스포츠우드 | 앤드류 험프리 | 네일 카메론 | 마이클 비덤 | 키스 윌리엄슨 | 데이비드 크레이그 | 피터 하딩 | *찰스 3세 | 조크 스터럽H
비고 M : 해병대, H : 명예진급(비왕실)
※ 진급시기 기준 세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통일된 1707년 이후 기준으로 서술
}}}}}}}}}

파일:영국 국기.svg 1차세계대전기 영국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원수
Field Marshal/Admiral of the Fleet
육군
원수
허버트 키치너 | 존 프렌치 | 더글러스 헤이그 | 프레더릭 로버츠
해군
원수
존 피셔
대장
General/Admiral
육군
대장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줄리언 빙 | 헨리 롤린슨 | 휴버트 고프 | 이언 해밀턴 | 찰스 먼로 | 윌리엄 버드우드 | 윌리엄 로버트슨 | 헨리 휴즈 윌슨 | 휴 트렌차드
해군
대장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중장
Lieutenant-General/Vice-Admiral
육군
중장
새뮤얼 로맥스 | 로버트 브로드우드 | 아치볼드 머리
해군
중장
존 루스
소장
Major-General/Rear-Admiral
육군
소장
휴버트 해밀턴 | 톰슨 캐퍼 | 조지 세시저 | 프레더릭 윙 | 루이스 볼스
해군
소장
로저 키스
준장
Brigadier/Commodore
육군
준장
존 고프 | 레지널드 다이어 | 버나드 프레이버그 | 시릴 뉴월
해군
준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 전시계급

}}}}}}}}} ||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Prinz Ludwig von Battenberg
The Most Honourable The Marquess of Milford Haven
GCB, GCVO, KCMG, ADC, PC
파일: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png
이름 독일어 루트비히 알렉산더 폰 바텐베르크
(Ludwig Alexander von Battenberg)
영어 루이 알렉산더 마운트배튼
(Louis Alexander Mountbatten)
출생 1854년 5월 24일
오스트리아 제국 그라츠
사망 1921년 9월 11일 (향년 67세)
영국 런던 피카딜리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배우자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 (1884년 결혼)
자녀 앨리스, 루이즈, 조지, 루이
아버지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
어머니 율리아 하우케
형제 마리, 알렉산더, 하인리히, 프란츠 요제프
복무 기간 1868년 ~ 1914년
최종 계급 파일:영국 해군기.svg 해군 원수
(Admiral of the Fleet)
지휘 해군 정보국
(Naval Intelligence Department)
제2순양함전대
(2nd Cruiser Squadron)
대서양 함대
(Atlantic Fleet)
제1해군경
(First Sea Lord)
1. 개요2. 작위3. 생애4. 커리어5. 가족관계
5.1. 자녀
6. 여담

1. 개요

영국귀족, 군인, 초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독일 헤센 가문 출신이지만 영국 해군에서 복무하여 제1해군경까지 오른 인물로,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율리아 하우케의 장남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 사위이다. 또한 스웨덴루이즈 마운트배튼 왕비와 버마의 마운트배튼 백작 루이의 아버지이며,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부군 필립 공의 외할아버지이다.

2. 작위

3. 생애

파일:에르바흐.jpg 파일:마리에르바흐.jpg
누나 마리와 루트비히
파일:6998D2F1-3F77-4079-BE01-64355801F4C6.jpg
1865년의 루트비히
루트비히는 1854년 5월 24일에 오스트리아 제국 그라츠에서 헤센의 알렉산더와, 그의 여동생인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황후의 시녀였던 율리아 하우케 여백작 사이의 귀천상혼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종교개혁 당시 마르틴 루터를 지지했던 헤센 방백 필리프의 후손이다. 루트비히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인 헤센의 알렉산더가 오스트리아 제국군 소속으로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서 근무중이었기에, 루트비히는 이탈리아 북부와 헤센을 오가면서 성장했다.

아버지 소유의 하일리겐베르크 성에서 루트비히는 헤센과 러시아의 친척들 그리고 사촌인 루트비히 4세[1]와 결혼한 영국의 앨리스 공주, 공주의 동생인 에든버러 공작과 만날 수 있었고, 에든버러 공작의 영향을 받은 루트비히는 14세의 나이에 영국으로 귀화해 영국 해군에 입대한다. 입대 당시 루트비히의 건강 상태는 입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여왕의 눈치를 본 해군의 높으신 분들에 의해 입대가 허가되었다.

입대 직후에 해군에 적응하지 못했던 루트비히는 웨일스 공 에드워드 부부의 지중해 및 흑해 순방에 동행하면서 해군에 적응할 수 있었고, 웨일스 공은 루트비히에게 자신의 거처인 말버러 하우스의 방을 내주겠다고 제안하기도 했지만, 해군에서의 경력을 위해 루트비히는 에든버러 공작의 제안을 받아들여 함상 근무를 지속하게 된다.
파일:74E02102-D7AE-438C-A72E-B0534B969C6F.webp
루트비히

해군에서 계속 복무하던 중, 루트비히는 오촌 조카인 9살 연하의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와 연애 끝에 결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신부의 아버지인 루트비히 4세가 이 결혼에 반대했고, 디프테리아로 사망한 어머니 앨리스 공주를 대신해서 자주 빅토리아에게 조언을 해주던 빅토리아 여왕은 손녀가 헤센 궁정에서 가장 신분이 높은 여인으로 아버지를 보좌하고 어린 동생들[2]을 돌봐야 하는데, 루트비히와 결혼하면 헤센이 아닌 영국에서 지내야하기에 반대했다. 그러나 둘은 긴 설득 끝에 결혼식을 올릴 수 있었다.
파일:607AD8B6-B7FD-4B30-90CF-7A4286831000.jpg
차녀 루이즈, 장녀 앨리스, 부인 빅토리아
장남 조지, 루트비히
파일:Prince_Louis_Alexander_of_Battenberg_with_two_sons.jpg
차남 루이, 루트비히, 장남 조지
결혼 후, 둘은 서로에게 충실한 결혼생활을 하면서 앨리스, 루이즈, 조지, 루이를 얻었다. 그리고 루트비히 역시 해군에서 승승장구하며, 그의 출신을 문제삼는 이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제독이 될 수 있었다.

1912년 루트비히는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제1해군경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루트비히는 그의 출신을 문제삼는 여러 반대파들의 격렬한 반발에 시달렸고, 결국 반강제적으로 제1해군경 직을 사임하게 된다.

1917년 조지 5세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윈저 왕조로 개명하면서 독일계 친척들에게도 독일의 칭호를 포기하고 영국 귀족의 작위를 받으라고 요구하자, 루트비히는 바텐베르크의 공자 칭호를 포기하고 성을 마운트배튼으로 개명했으며, 밀포드 헤이븐 후작, 메디나 백작과 앨더니 자작 위를 받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와이트 섬의 켄트 하우스에서 지내던 루트비히는 종전 후에 집을 팔아야만 했다. 러시아에 있던 루트비히의 재산은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모두 몰수되었고, 독일에 있던 재산은 독일이 패전하면서 휴지 조각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루트비히는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하일리겐베르크 성 역시 팔 수밖에 없었다.[3]

해군에서도 루트비히를 다시 찾지 않았고 오히려 젊은 장교들의 승진을 위해 은퇴할 것을 요청받아, 루트비히는 1919년 정식으로 해군에서 은퇴했다. 1921년 루트비히는 예비역 원수로 진급했지만, 그 해 9월 11일에 런던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루트비히의 장례식은 와이트 섬 휘핑햄의 세인트 밀드레드 교회에서 치러졌다.

4. 커리어

파일:97F69412-7F3E-4AD1-997F-F41AD766F7BE.webp

5. 가족관계

5.1.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비 앨리스
(Alice, Princess Andrew of Greece and Denmark)
1885년 2월 25일 1969년 12월 5일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19]
슬하 1남 4녀[20]
2녀 스웨덴의 루이즈 왕비
(Louise, Queen of Sweden)
1889년 7월 13일 1965년 3월 7일 스웨덴구스타프 6세 아돌프
1남 제2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조지 마운트배튼
(George Mountbatten,
2nd Marquess of Milford Haven)
1892년 12월 6일 1938년 4월 8일 나데이다 미하일로브나 데 토르비 여백작[21]
슬하 1남 1녀
2남 제1대 버마의 마운트배튼 백작 루이 마운트배튼
(Louis Mountbatten, 1st Earl Mountbatten of Burma)
1900년 6월 25일 1979년 8월 27일 에드위나 애슐리
슬하 2녀[22]

6. 여담


[1] 훗날 루트비히 4세의 딸 빅토리아와 결혼하면서 장인어른이 된다.[2] 당시 빅토리아가 결혼을 결심했던 시기에 남동생 에른스트 루트비히는 만 15세밖에 안됐고, 특히 막내 여동생인 알릭스는 만 12살로 동생들 모두 어머니의 도움이 많이 필요했던 나이대였다. 게다가 비슷한 해에 빅토리아 바로 아래 동생인 엘리자베트도 러시아의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과의 결혼이 예정되어 있었다.[3] 알렉산더 궁전도 있었지만 어머니 율리아 하우케가 사망한 후 팔았다.[사관후보생] [5] 웨일스 공 에드워드 부부의 지중해 및 흑해 순방에 동행했다.[중위] [7] HMS 엑설런트는 함선이 아니라 육상에 설치된 해군의 포술 학교다.[대위] [9] 웨일스 공 에드워드 부부의 인도 순방에 동행했다.[10] 에든버러 공작의 시종무관으로 활동했다.[중령] [12] HMS 버넌은 함선이 아니라 육상에 설치된 해군의 어뢰 학교다.[대령] [소장] [중장] [16] 노어, 포츠머스, 데번포트 군항에 주둔하는 본토함대의 예비 부대를 통제하는 직책이다.[17] 영국 해군의 인사를 담당하는 직책이다. 오늘날의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대장] [19]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의 4남이다.[20] 호엔로헤랑엔부르크 공비 마르가리타, 바덴 대공비 테오도라, 헤센 대공국 공세자비 체칠리아, 하노버의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비 소피아,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21] 니콜라이 1세의 손자인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바덴의 체칠리에의 아들이다)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대공과 귀천상혼 가문 출신인 (룩셈부르크의 아돌프 대공의 동생인 나사우의 니콜라스와 나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푸시키나의 딸이다.) 메린베르크의 조피 여백작의 차녀다. 어머니를 통해서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증손녀이기도 하다.[22] 제2대 버마 여백작 패트리샤[23] 마리야 황후는 얼마 뒤 세상을 떠났고, 알렉산드르 2세는 이듬해 3월 결국 폭탄 테러로 암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