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2:32:19

에드워드 7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0%, #1353B4 30%, #1353B4 70%, #001F7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스튜어트 왕조
하노버 왕조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윈저 왕조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찰스 3세
}}}}}}}}}}}}}}}
에드워드 7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영국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초대 국왕
에드워드 7세
Edward VII
파일:King-Edward-VII_(cropped).jpg
출생 1841년 11월 9일
잉글랜드 런던 버킹엄 궁전
사망 1910년 5월 6일 (향년 68세)
잉글랜드 런던 버킹엄 궁전
묘소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성
재위기간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1901년 1월 22일 ~ 1910년 5월 6일
영국 자치령 국왕
1901년 1월 22일 ~ 1910년 5월 6일
인도 황제
1901년 1월 22일 ~ 1910년 5월 6일
서명 파일:에드워드 7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353b4><colcolor=#fff> 가문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이름 앨버트 에드워드
Albert Edward
아버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어머니 빅토리아 여왕
형제자매 빅토리아, 앨리스, 앨프리드, 헬레나, 루이즈, 아서, 레오폴드, 베아트리스
배우자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1863년 결혼)
자녀 앨버트 빅터, 조지 5세, 루이즈, 빅토리아, 모드, 알렉산더 존
학력 에든버러 대학교 (화학 / 중퇴)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중퇴)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역사학 / 중퇴)
종교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장로회 (스코틀랜드 국민교회)[1]
신체 173cm, O형(Rh-)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ward_VII_in_coronation_robes.jpg
공식 초상화
1. 개요2. 칭호3. 생애
3.1. 즉위 전3.2. 즉위 후3.3. 사망
4. 가족 관계
4.1. 조상4.2. 자녀
5. 재위 국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영국 색스코버그고타 왕조의 초대 국왕이자 인도 제국의 제2대 황제.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엘리자베스 2세의 증조할아버지이다. 빌헬름 2세의 외삼촌이자, 코넛의 마거릿 공녀의 큰아버지이다.

2. 칭호

공식 칭호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과 해외 영국 자치령의 왕, 신앙의 수호자, 인도의 황제이신 에드워드 7세 폐하(His Majesty Edward VII, by the Grace of God, King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nd of the British Dominions beyond the Seas, Defender of the Faith, Emperor of India)'이다.

3. 생애

3.1. 즉위 전

파일:Qm1H9kI.jpg
세일러복을 입은 어린 시절.

1841년 11월 9일, 버킹엄 궁전에서 빅토리아 여왕앨버트 공의 장남(둘째)으로 태어났다. 출생 1달 만인 같은 해 12월 8일 웨일스 공이 된 것을 보면 여왕 부부가 아들을 진심으로 갈망했음을 알 수 있다. 왕세자로 있었던 시간이 59년 75일로, 영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왕세자로 지낸 기록을 세웠으나 이 기록은 2011년 4월 19일부로 현손자인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에 의해 깨졌다.[2]

고대하던 아들의 탄생이라 기대치가 높아서 그랬는지 여왕 부부는 에드워드 7세를 7살 때부터 매우 엄하게 훈육했는데, 그가 여기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바람에 총명한 누나인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와 비교되면서 여왕으로부터 문제아 취급을 받았다. 그에 대한 반동이었는지, 에드워드 7세는 자녀 교육을 그리 엄하게 하지 않았다.

게다가 그의 행실에 대하여 지적하러 갔던 앨버트 공이 이때의 무리로 인하여 건강이 나빠져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여왕은 남편의 죽음을 에드워드 7세의 탓으로 돌리고 아들을 보지 않았다. 또한 에드워드는 엄격한 성격의 어머니와 관계가 좋지 못하여 어머니가 몇십 년간 정사에도 일절 관여하지 못하게 할 정도였다. 왕세자였는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edding_of_Albert_Edward_Prince_of_Wales_and_Alexandra_of_Denmark_1863.jpg
결혼 사진[3]
자유분방한 성격의 소유자였기에 여러 여배우들과의 염문설이 파다했다. 또한 금슬 좋았던 부모와는 대조적으로 당시 가장 아름다운 왕족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인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와 유일하게 견줄 만하다고 여길 정도로 빼어난 미모를 자랑했던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와 결혼했지만 신혼 초를 제외하고는 평생 관계가 냉담했다.

부부 사이가 나빠진 이유들은 다음과 같다. 에드워드 7세는 지적이고 위트있으며 여러 사람들과 어울리길 좋아하는 외향적인 성격인 반면, 알렉산드라 왕비는 그다지 지적인 편은 아니었고 얌전하고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하고만 어울리는 내향적인 성격이었다. 또 알렉산드라 왕비의 목에 있는 수술 흉터를 결혼 첫날 밤에 본 에드워드 7세가 비명을 지를 정도로 놀란 점,[4] 알렉산드라 왕비가 불감증(!)이었다는 점,[5] 알렉산드라 왕비가 20대부터 귀가 먹기 시작해서 나중에는 정상적인 의사소통마저 힘들어진 점 등이 있다.

이들의 사이가 얼마나 좋지 않았냐면, 에드워드 7세가 아내의 눈앞에서 대놓고 애인 앨리스 케펠[6]을 침실로 끌어들이는가 하면, 비만인 그가 앨리스와 산책하고 있는 걸 본 알렉산드라 왕비"돼지 한 쌍이 뜰을 산책하고 있다."고 폄하할 정도. 비록 부부 사이는 신혼 초를 제외하고는 평생 냉담했지만, 알렉산드라 왕비는 3남 3녀를 낳았다.
파일:00426.jpg
알렉산드라 왕비와 에드워드 7세

3.2. 즉위 후

파일:Edward VII Coronation.jpg
대관식 기록화
파일:King_Edward_VII_in_Coronation_Regalia_(by_William_Edward_Downey)_–_1901.jpg
즉위 후 사진[7]
어머니 빅토리아 여왕이 사망한 후 1902년 8월 9일[8]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이 때 최초로 공연된 곡이 에드워드 엘가Land of Hope and Glory.[9]

빅토리아 여왕이 64년 간 재위하면서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기에 에드워드 7세도 왕이 된 뒤 정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렇다고 국내 정치에 전혀 관여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재위 말기에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10]의 주장을 받아들여서 영국 귀족원을 뜯어고쳤다. 즉 서민원이 결정한 일에 대해서 귀족원이 뒤집을 수 없는 체제로 만든 것이다. 이게 얼마나 중요하냐면, 이 사건으로 자유당의 대대적인 개혁, 일명 인민예산이 통과되면서 영국은 복지국가로의 첫발을 떼게 된다. 물론 로이드 조지가 "자꾸 그런 식으로 나오면 자유당파 귀족들만 죽어라 키워서 다 귀족원으로 보내버릴 거다!!"라고 보수당과 귀족 사회를 협박(?)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어머니를 대신해 외국을 자주 순방한 경험과 그 자신이 유럽 각국의 왕족들과 친분 및 혈연관계가 있다는 점을 활용해[11], 영국-프랑스-러시아 제국의 3국협상을 성사시켜 독일 제국을 견제하는데 힘을 발휘할 만큼 외교에 능통했다. 이걸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1903년에 행해졌던 프랑스 방문이다. 당시의 영불관계는 공적으로는 어쨌던간에 양국의 국민 관계는 여전히 안 좋았는데 에드워드 7세가 방문 중에 보여준 모습은 프랑스인들의 호감을 크게 얻었고[12] 영불협상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당시 유럽 군주들의 대표급(영국 황제[13], 독일 황제(Kaiser), 러시아 황제(Царь),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제[14])이자 원로 대우를 받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프란츠 요제프 1세와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15] 이러한 친화력 덕분에 에드워드 7세가 조금만 더 오래 살았다면 제1차 세계 대전을 피할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시각도 있다.

외조카이자 독일 황제인 빌헬름 2세에게 사탄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지만 사이가 마냥 나쁘지는 않았다. 외삼촌의 대독일 외교정책에 대해서 빌헬름 2세는 뒤에서 궁시렁거릴지언정 감히 외삼촌에게 정면으로 덤빌 엄두를 내지는 못했다. 빌헬름 2세는 근본적으로 외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에 대한 강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고, 거기서 비롯된 영국 왕실에 대한 존중은 에드워드 7세 때까지도 어느 정도 남아있었다. 또한 에드워드 7세가 외교에도 능했기 때문에 쉽게 볼 수 있는 상대가 아니었다.

이 때문에 당시 영국인들은 국제 사회에서 영국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 에드워드 7세를 피스메이커 에드워드라 부르며 지지했고, 전쟁이 싫다면 친절한 에드워드를 찾으라는 노래까지 유행할 정도였다. 물론 독일에서는 "뚱보 에두아르트[16]가 일만 생기면 독일에 반대한다"며 비난했다.

3.3. 사망

파일:Funeral of Edward VII.jpg
1910년 5월 6일 6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영국에서는 에드워드 7세가 재위한 1901~1910년을 '에드워드 시대(Edwardian period)'라 부르며 엄숙주의 풍조가 만연했던 빅토리아 시대와 비교해 화사하고 자기 만족적인 시대로 기억한다.[17] 유해는 1910년 5월 20일 윈저 성의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 안장되었다.

한편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 때 유럽 전역의 친척들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왕족들이 대거 참석해 장관을 이루었는데, 당시의 참석자 명단은 아래와 같다. 당대 최강대국답게 저 멀리 동아시아의 일본 제국청나라의 황족도 있다.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이 없었던 대한제국에서는 참석자를 보내지 못했다.[18] 이들 중 많은 수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적으로 다시 만나게 된다.[19]
조문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이름 비고[20]
영국 왕 조지 5세 에드워드 7세의 차남이자 상주.
독일 황제 빌헬름 2세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21]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에드워드 7세의 동생.
그리스요르요스 1세 에드워드 7세의 처남.[22][23]
스페인알폰소 13세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사위.[24]
노르웨이호콘 7세 에드워드 7세의 처조카[25] 겸 막내사위.[26]
덴마크프레데리크 8세 에드워드 7세의 처남.[27]
포르투갈마누엘 2세
불가리아 차르 페르디난트 1세 에드워드 7세의 6촌.[28]
벨기에알베르 1세 에드워드 7세의 6촌.[2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30] 프란츠 페르디난트 사라예보에서 암살.
오스만 제국 황태자 유수프 이제틴 에펜디 압뒬아지즈의 아들.
러시아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알렉산드르 3세의 아들. 에드워드 7세의 처조카.[31]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사촌. 1차대전기 이탈리아 육군 제3군 사령관.
일본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메이지 덴노의 사촌.
스파르타 공작 콘스탄티노스 뒷날의 그리스인의 왕 콘스탄티노스 1세. 에드워드 7세의 처조카[32] 겸 조카사위.[33]
루마니아 왕세자 페르디난드 뒷날의 루마니아 왕 페르디난드 1세. 에드워드 7세의 조카사위.[34]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1차대전기 독일 북부집단군 사령관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뷔르템베르크 왕위계승서열 2위[35], 1차대전기 독일 제4군 사령관
세르비아 공태자 알렉산다르 뒷날의 유고슬라비아 왕 알렉산다르 1세.[36]
네덜란드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하인리히 빌헬미나 여왕의 부군.
헤센 대공 에른스트 루트비히 에드워드 7세의 조카.[37]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아돌프 프리드리히 5세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 빌헬름 2세의 동생, 1차대전기 독일 발트해 함대 총사령관.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38] 겸 조카사위.[39]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 에드워드 7세의 조카.[40]
작센의 요한 게오르크 왕자
배스터요틀란드 공작 카를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
발데크피르몬트 후작 프리드리히
이집트 알리 타우피크 왕자 타우피크 1세의 아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크리스티안 왕자 에드워드 7세의 처남.[41]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알베르트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
캐리스브룩 후작 알렉산더 마운트배튼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
파이프 공작 알렉산더 더프 에드워드 7세의 사위.[42]
케임브리지 후작 아돌퍼스 케임브리지
테크의 프랜시스 공자
애슬론 백작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에드워드 7세의 조카사위[43]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 에드워드 7세의 처조카[44]. 필립 마운트배튼의 부친.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대공 니콜라이 1세의 손자.
바덴의 막시밀리안 왕자
몬테네그로 왕태자 다닐로 알렉산다르
그리스와 덴마크의 크리스토포로스 왕자 에드워드 7세의 처조카.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의 필립 왕자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아돌프 프리드리히 6세
루이 도를레앙 왕자
피에르 도를레앙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의 아우구스트 레오폴트 왕자
발데크피르몬트의 볼라드 공자
태국의 포바라뎃 왕자
영국 왕대비 알렉산드라 에드워드 7세의 왕비.
러시아 황후 덴마크의 다우마 공주 알렉산드르 3세의 황후, 니콜라이 2세의 모친, 에드워드 7세의 처제.[45]
파이프 공작부인 루이즈 에드워드 7세의 장녀.
빅토리아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차녀.
영국 왕비 메리 에드워드 7세의 며느리.
노르웨이 왕비 모드 에드워드 7세의 3녀.
콘월 공작 에드워드 에드워드 7세의 손자. 뒷날의 에드워드 8세.
메리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손녀, 조지 5세의 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크리스티안 공자비 헬레나 에드워드 7세의 누이.
아가일 공작부인 루이즈 에드워드 7세의 누이.
바텐베르크 공자비 베아트리스 에드워드 7세의 누이.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부인 루이즈 마거릿 에드워드 7세의 제수.
올버니 공작부인 헬레나 에드워드 7세의 제수.
코넛과 스트래선의 패트리샤 공녀 에드워드 7세의 조카딸.[46]
파이프의 알렉산드라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손녀.
파이프의 모드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손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헬레나 빅토리아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마리 루이즈 공주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딸.
앨버트 왕자 에드워드 7세의 손자.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에드워드 7세의 손자.
하노버 컴벌랜드의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청나라의 버일러 짜이타오(載濤) 광서제의 이복동생. }}}}}}}}}
파일:에드워드 7세 장례식 참석 군주들 사진.jpg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에 모인 9개 나라의 군주들. 뒷줄 왼쪽부터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 불가리아 차르 페르디난트 1세, 포르투갈 국왕 마누엘 2세,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 벨기에 국왕 알베르 1세다. 앞줄은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 영국 국왕 조지 5세,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

4. 가족 관계

4.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에드워드 7세
(Edward VII)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
(Ernest I,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프리드리히
(Francis, Duke of Saxe-Coburg-Saalfeld)
로이스에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
(Countess Augusta Reuss of Ebersdorf)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제 공녀
(Princess Louise of Saxe-Gotha-Altenburg)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작 아우구스트
(Augustus, Duke of Saxe-Gotha-Altenburg)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루이제 샤를로테 여공작
(Duchess Louise Charlotte of Mecklenburg-Schwerin)
빅토리아 여왕
(Victoria)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
(Prince Edward, Duke of Kent and Strathearn)
조지 3세
(George III)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 공녀
(Princess Charlotte of Mecklenburg-Strelitz)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Princess Victoria of Saxe-Coburg-Saalfeld)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Francis, Duke of Saxe-Coburg-Saalfeld)
로이스에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
(Countess Augusta Reuss of Ebersdorf)

4.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남 클래런스와 애번데일 공작 앨버트 빅터 왕자
(Prince Albert Victor, Duke of Clarence and Avondale)
1864년 1월 8일 1892년 1월 14일
2남 조지 5세
(George V)
1865년 6월 3일 1936년 1월 20일 테크의 메리
슬하 5남 1녀[47]
1녀 프린세스 로열 루이즈
(Louise, Princess Royal)
1867년 2월 20일 1931년 1월 4일 파이프 공작 알렉산더 더프
슬하 1남 2녀
2녀 빅토리아 공주
(Princess Victoria)
1868년 7월 6일 1935년 12월 3일
3녀 노르웨이의 왕비 메우드[48]
(Maud, Queen of Norway)
1869년 11월 26일 1938년 11월 20일 노르웨이호콘 7세
슬하 1남[49]
3남 웨일스의 알렉산더 존 공자
(Prince Alexander John of Wales)
1871년 4월 6일 1871년 4월 7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빅토리아 여왕/가족 관계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재위 국가

파일:British_Empire_in_1901.png
1901년 즉위 당시 에드워드 7세의 통치 영역
국가 즉위년일 퇴위년일 재위기간 비고
<colbgcolor=#c2e68b,#4f7419> 영국 1901.1.22. 1910.5.6. 9년 105일
인도 제국 1901.1.22. 1910.5.6. 9년 105일 황제위
캐나다 1901.1.22. 1910.5.6. 9년 105일
호주 1901.1.22. 1910.5.6. 9년 105일
뉴질랜드 1907.9.26. 1910.5.6. 2년 223일
뉴펀들랜드 1907.9.26. 1910.5.6. 2년 223일

6. 기타

파일:external/www.cigarettes21.com/king-edward-specials.jpg


[1] 영국 국왕은 잉글랜드에서는 성공회 신자로, 스코틀랜드에서는 장로회 신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며, 빅토리아 여왕 시대부터 왕족이 밸모럴 성에 거주할 때는 크래디 커크에서 예배하는 전통이 시작되었다.#[2] 찰스 3세73세의 나이로 즉위했다.[3] 영국 왕실 최초로 결혼 사진을 찍었다.[4] 알렉산드라 왕비의 초상화나 사진을 보면 다른 여성 왕족들과 비교했을 때 과도할 정도로 많은 목걸이를 목에 감고 있는데, 바로 이 흉터 때문이다.[5] 빅토리아 여왕 시대 때 불감증인 여성은 매우 흔했다. 여성의 불감증은 정말 신체적인 이유보다는 사회적인 분위기에서 나오는 억압이나 단순히 자신의 성향에 따른 심리적 요인이 더 크기 때문이다.[6] 찰스 3세의 후처 카밀라 파커 보울스의 증조할머니로 에드워드 7세의 마지막 애인. 뿌리깊은 왕기(王妓) 집안[7] 파일:에드워드 7세.webp 이 사진의 컬러복원 버전[8] 본래 즉위는 6월 26일로 예정되어있었으나, 그 이틀 전 왕이 되어야할 주역인 에드워드 7세 본인이 맹장염이 터지는 바람에(...) 2달 뒤로 미뤄졌다.[9] 여담으로 이때 대한제국이었던 조선에서도 축하 사절단을 보냈는데, 바로 의양군 이재각이다. 그 사절단 일원이었던 이응종은 <<서사록>>이란 견문록을 남겼는데 영국을 비롯해 에드워드 7세에 대한 평가도 후하게 묘사되고 있다.#[10] 훗날의 제53대 영국 총리.[11] 빅토리아 여왕/가족 관계를 참조 바람.[12] 에드워드 7세가 영국으로 돌아갈 때 모인 자기나라 왕과 황제는 4명(루이 16세, 샤를 10세, 루이필리프 1세, 나폴레옹 3세)이나 쫒아낸 프랑스 군중들이 "우리 국왕 만세!(Vive notre roi!)"라고 외치며(!) 환호했다고. 출처 : 8월의 포성.[13] 엄밀히는 인도 제국 황제. 영국의 당시 정식 명칭은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였고, 연합왕국의 국왕으로서 위치를 하고 있었다. 여기서 황제를 일컫는 말은 영국이 성립한 인도 제국 황제(Emperor)이라는 말이다.[14] 그중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제는 신성 로마 제국 시대부터 황제 자리를 대대로 세습해 온 합스부르크 왕가로, 유럽 왕실 중에서도 손꼽히게 유서깊은 정통성 덕분에 당시 유럽 내 군주들에게 존경을 받기도 하였다.[15] 참고로 에드워드 7세는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아들인 루돌프 황태자와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루돌프는 에드워드 7세의 외조카 빌헬름 2세와 사이가 안좋았는데 그런 루돌프의 심정을 에드워드도 잘 이해해줬다고.[16] 에드워드의 독일어식 바리에이션.[17] <엠마> 10권의 후일담 에피소드가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메이드 제복부터 눈에 띄게 화사해진 것을 알 수 있다.[18] 당시 관립한성사범학교 학생이었던 가람 이병기는 1910년 5월 20일자 일기에 "영국 황제의 대장식(大葬式)인 까닭에 오후에는 수업을 하지 않았다(休業)"고 적었다.[19] 국가원수 자격으로 군을 통솔한 경우 외에도, 전통적으로 유럽에서 남자 왕족은 장교의 길을 걷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장례식에 참석한 왕족들 중에서는 1차대전기에 자국군의 요직을 맡아 종군한 인물도 있었다. 독일 북부집단군 사령관을 맡은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이나 이탈리아 육군 제3군단 사령관을 맡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가 대표적 예시이다. 1차대전의 시작을 묘사한 <8월의 포성> 도입부가 바로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 부분이다. "1910년 5월 아침, 영국왕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에 참석한 아홉 명의 군주들로 구성된 가마행렬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엄숙하게 기다리고 있던 군중들은 너무나도 화려한 이 광경에 놀라 탄성을 억제할 수 없었다. 군주들은 깃털로 장식된 헬멧, 금줄, 진홍색 복띠 그리고 보석이 박힌 훈장을 햇빛에 번쩍이며 주홍색, 청색, 녹색, 자주색의 화려한 복장으로 세 명씩 세 줄을 지어 왕궁 정문을 지나갔다. 뒤를 이어 다섯 명의 유족들, 사십 명이 넘는 왕족, 네 명의 태비와 세 명의 왕비들, 그리고 군주정 체제가 아닌 나라에서 온 특명 대사들의 무리가 뒤따랐다. 이들을 모두 합하면 칠십 개국을 대표하는 조문 사절로서 한 장소에 모인 이러한 종류의 집회로는 그 권위와 규모 면에서 사상 최대이자 최후의 사건이었다. 운구 행렬이 왕궁을 출발할 때 빅벤은 그 둔중한 종소리로 아침 아홉 시를 알렸으나 역사의 시계로 본다면 그때는 이미 황혼이었으며 바야흐로 구세계의 태양이 다시는 볼 수 없을 광영의 마지막 불꽃 속으로 가라앉고 있었다."[20] 파란색은 연합국, 빨간색은 동맹국.[21] 누나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의 아들.[22] 아내 알렉산드라 왕비의 남동생[23] 먼 훗날, 직계 들끼리 결혼하게 된다.[24] 막내여동생 베아트리스 공주의 딸인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유지니 공녀의 남편.[25] 아내 알렉산드라의 큰오빠인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둘째아들)[26] 막내딸 노르웨이의 모드 왕비의 남편.[27] 아내 알렉산드라 왕비의 오빠.[28] 에드워드 7세의 할아버지인 에른스트 1세의 남동생 페르디난트의 아들 아우구스트와 클레망틴의 아들. 에드워드 7세 입장에서는 당숙의 아들로 재종형제다.[29] 에드워드 7세의 종조부 레오폴드 1세(친할아버지 에른스트 1세의 동생)의 아들 플랑드르 백작 필리프 왕자의 아들. 에드워드 7세 입장에서는 당숙의 아들로 재종형제다.[30] 조카라 추정상속자였을뿐 단 한번도 황태자였던 적이 없었다.[31] 처제 덴마크의 다우마 공주의 4남.[32] 아내 알렉산드라 왕비의 남동생 요르요스 1세의 아들.[33] 누나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프리드리히 3세의 딸 프로이센의 조피 공주의 남편.[34] 남동생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작 알프레드의 딸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의 남편.[35] 부친 필리프가 1917년까지 생존하였기에 1910년 당시에 법적으로는 필리프가 추정상속인이었지만, 필리프가 고령이었기에 실질적으로는 알브레히트가 후계자나 다름없었다. 왕국 멸망 후인 1921년 뷔르템베르크 왕가의 직계가 끊기자 왕가의 수장이 된다.[36] 당시에는 아니었지만 알렉산다르 또한 훗날 에드워드 7세의 외종손인 루마니아의 마리야와 결혼하여 인척 관계가 된다.[37] 여동생 헤센 대공비 앨리스의 아들.[38] 누나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의 아들.[39] 여동생 헤센 대공비 앨리스의 딸 헤센의 이레네 공녀의 남편.[40] 남동생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의 아들.[41] 여동생 헬레나 공주의 남편.[42] 장녀 프린세스 로열 루이즈의 남편.[43] 막내남동생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의 딸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의 남편.[44] 처남 요르요스 1세의 4남[45] 아내 알렉산드라 왕비의 여동생.[46] 둘째 남동생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의 차녀.[47]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프린세스 로열 메리,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켄트 공작 조지 왕자, 존 왕자.[48] 조모 빅토리아 여왕이 워낙 장수하는 바람에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시집을 가버려 왕의 딸을 칭하는 작위인 ‘HRH The Princess Maud (모드 공주 전하)’는 받지 못했다.[49] 올라프 5세[50] 이는 사위인 알렉산더 더프를 비롯한 자유당이나 정부 데이지 그레빌을 비롯한 사회주의 계열과 친했던 영향도 있고 후술할 어머니 빅토리아 여왕의 보수 성향에 대한 반항 심리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빅토리아 여왕은 인도인 시중들을 가까이 두며 아끼는 면모도 있었기에 이 부분은 어머니에 대한 반감보다는 영향을 받은 경우였던 듯.[51] 당시 영국 왕실 표준시가 UTC+0:30이었던 것도 에드워드 7세가 사냥을 30분 더 하기 위해서였다. 에드워드 8세 이후로 다시 시간대는 원상복구 되었다.[52] 이런 대식 습관은 어머니인 빅토리아 여왕도 마찬가지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대식가로 스테이크와 각종 채소를 넣고 포도주를 섞은 브라운 윈저 수프 같은 기름진 음식을 즐겼고, 여기에 양고기와 치킨과 해기스에 생크림을 얹은 딸기나 푸딩 및 토피 케이크(설탕과 버터를 끓여서 만든 케이크)같이 달고 기름지며 칼로리가 높은 음식들을 좋아하다 보니, 50대에는 키 152cm에 체중은 76kg가 되었었다. 사실 빅토리아 시대에 영국 상류층들은 기본적으로 음식을 많이 먹는 대식가였다. 당시 영국 상류층들은 보통 햄, 혓바닥 고기, 꿩고기, 훈제 청어, 간, 달걀, 베이컨, 귀리를 가벼운(?) 아침 식사로 먹었다. 그래서 빅토리아 시대의 잡지들은 음식의 소화를 돕는다는 소화제 광고를 많이 실었다. 출처: 앗! 시리즈 위엄가득 빅토리아 여왕/ 앨런 맥도널드 글/ 클리브 고다드 그림/ 김은숙 번역/ 주니어김영사/ 158~161쪽[53] 1901년 1월 22일부터 1910년 5월 6일까지 9년 105일 동안 재위했다.[54] 원문은 "No, I shall not give in; I shall go on; I shall work to the end."(아니, 나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계속할 것이다; 나는 끝까지 일할 것이다.) 실제로 한 마지막 말은 이 말을 한 뒤에 조지 5세가 되는 아들에게서 에드워드 7세의 경주마가 경마에서 이겼다는 말을 듣고 한 말인 "그래, 아주 기쁘구나."라고 한다.[55] 사실 에드워드는 지나친 흡연으로 인해 말년에 궤양(기저세포암으로 피부병이었다.), 기관지염, 폐질환으로 인해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다.[56] 캐나다 국가 원수 자격[57] 혹은 방탕하기로 유명했던 에드워드의 맏아들 앨버트 빅터 왕자라는 설도 있다.[58] 전처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으나 어떻게 빠져나간 걸로 보인다. 또한 수많은 여자들을 정부로 삼아 농락한 뒤 버린 바 있다고. 과거에 그의 정부였던 한 여자가 "그 자는 우표를 모으듯이 여자를 수집한다. 자기가 신세를 망쳐 놓은 옛 여자들에 대해 기록해 놓은 책도 갖고 있다."라고 언급했을 정도니, 여자들을 트로피나 수집품처럼 취급하는 아주 질이 나쁜 작자인 듯하다.[59] 더구나 이 왕관은 아버지 앨버트 대공이 빅토리아 여왕과의 결혼기념일을 맞아 모든 인력을 총동원해서 만들어 선물한 왕관이었는데 정작 후계자이자 큰아들인 버티가 이걸 녹여 없애는 사고를 친것이다. 뭣보다 작중 배경이 앨버트 공이 죽은지 2,3년이 흐른 시점이었는데 실제 역사에서 앨버트공의 사망원인이 바로 허구한날 각종 스캔들을 일으키는 사고뭉치 아들 훈계하다 그로인한 스트레스와 지병악화로 급사했는데 이때문에 빅토리아 여왕이 아들인 버티에게 대노했고 평생 큰아들을 원망한데 반해 작중에서는 이후 처신을 잘하면서 이에대한 동정론도 일정부분 일어나면서 이게 거의 풀어지기 직전까지 갔는데 버티가 이런사고를 친 것. 실제 역사에서도 이런사고를 쳤다면 아마 원역사보다 더 험악한 모자관계가 됐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