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4:12:47

바덴뷔르템베르크

바덴뷔르템부르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 70%, #000 80%, #ff0000 80%, #ff0000 90%, #ffd400 90%, #ffd400);"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width=200><tablebgcolor=#000>
파일:독일 국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기.svg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장.svg 파일:니더작센 주기.svg 파일:니더작센 주장.svg 파일:라인란트팔츠 주기.svg 파일:라인란트팔츠 주장.svg 파일: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기.svg 파일: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장.svg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NW)
[[뒤셀도르프|파일:뒤셀도르프 문장.svg
뒤셀도르프
]]
니더작센 (NI)
[[하노버|파일:하노버 문장.svg
하노버
]]
라인란트팔츠 (RP)
[[마인츠|파일:마인츠 문장.svg {{{#!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0.8em;"]]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MV)
[[슈베린|파일:슈베린 문장.svg
슈베린
]]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기.svg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파일:바이에른 주기 (2).svg 파일:바이에른 주장.svg 파일:베를린 주기.svg 파일:베를린 주장.svg 파일:브란덴부르크 주기.svg 파일:브란덴부르크 주장.svg
바덴뷔르템베르크 (BW)
[[슈투트가르트|파일:슈투트가르트 문장.svg
슈투트가르트
]]
바이에른 (BY)
[[뮌헨|파일:뮌헨 문장.svg
뮌헨
]]
베를린 (BE) 브란덴부르크 (BB)
[[포츠담|파일:EA698EED-9961-4B85-B534-830755E8178E.png
포츠담
]]
파일:브레멘 주기.svg 파일:브레멘 주장.svg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기.svg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장.svg 파일:자를란트 주기.svg 파일:자를란트 주장.svg 파일:작센 주기.svg 파일:작센 주장.svg
브레멘 (HB)
[[브레멘시|파일:브레멘시 문장.svg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SH)
[[킬(독일)|파일:킬 문장.svg
]]
자를란트 (SL)
[[자르브뤼켄|파일:자르브뤼켄 문장.svg {{{#!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0.8em;"]]
작센 (SN)
[[드레스덴|파일:드레스덴 문장.svg
드레스덴
]]
파일:작센안할트 주기.svg 파일:작센안할트 주장.svg 파일:튀링겐 주기.svg 파일:튀링겐 주장.svg 파일:함부르크 주기.svg 파일:함부르크 주장.svg 파일:헤센 주기.svg 파일:헤센 주장.svg
작센안할트 (ST)
[[마그데부르크|파일:마그데부르크 문장.svg
마그데부르크
]]
튀링겐 (TH)
[[에어푸르트|파일:에어푸르트 문장.svg
에어푸르트
]]
함부르크 (HH)
[[함부르크|파일:함부르크 소형 주장.svg
함부르크
]]
헤센 (HE)
[[비스바덴|파일:비스바덴 문장.svg
비스바덴
]]
각 주의 행정구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Land Baden-Württemberg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기.svg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주기(州旗)[1] 주장(州章)[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Deutschland_Lage_von_Baden-W%C3%BCrttemberg.svg.png
위치
행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0000> 국가
[[독일|]][[틀:국기|]][[틀:국기|]]
시간대 (UTC+1/+2)
주도(州都) 슈투트가르트
}}}}}}}}}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0> 면적 35,751.46km²
인구 11,339,260명(2023년 12월)
인구밀도 317명/km²
}}}}}}}}} ||
정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0> 주총리 빈프리트 크레치만[3]
주의회 여당
58석 / 154석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42석 / 154석
야당
19석 / 154석

[[자유민주당(독일)|
자민당
]]
18석 / 154석

17석 / 154석
연방의회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33석 / 102석

22석 / 102석

18석 / 102석

[[자유민주당(독일)|
자민당
]]
16석 / 102석

10석 / 102석

3석 / 102석
연방상원 6석 }}}}}}}}}

1. 개요2. 역사3. 지리4. 정치
4.1. 통합 이전4.2. 통합 이후
5. 경제6. 인구7. 종교8. 교육9. 하위 행정구역
9.1. 주요 도시
10.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바덴 가문 문장.svg 파일:뷔르템베르크 가문 문장.svg
바덴의 문장 뷔르템베르크의 문장

독일 서남부에 위치한 주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바덴과 뷔르템베르크의 통합으로 탄생한 주로, 슈바르츠발트가 바덴과 뷔르템베르크 지역을 나누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인식은 확고하게 나뉘어 있는 편이다. 주도이자 최대도시는 뷔르템베르크의 슈투트가르트.

2. 역사

오래전 이 곳은 게르만족수에비족이 살던 곳이며 특히 수에비족 중에서 알레만니 부족이 주로 살았던 곳이다. 수에비(Suebi)족에서 슈바벤(Schwaben)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으며 프랑스어로 독일을 뜻하는 Allemagne은 알레만니족에서 유래한 것이다.[4]

로마 제국 시절에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Provincia Germania Superior)가 위치했지만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496년 클로비스에 패하여 프랑크 왕국에 복속되었고 이후 슈바벤 공국으로 이어졌다. 슈바벤은 동프랑크, 독일의 5대 공작령[5] 중 하나로 유래가 매우 깊은 곳이다. 843베르됭 조약에 의해 동프랑크 왕국에 속했으며 독일 왕국을 거쳐 962년 성립된 신성 로마 제국의 5대 제후국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슈바벤은 프랑켄 공국, 로트링겐 공국과 마찬가지로 분할 상속 등으로 여러 가문으로 쪼개지면서 점차 명맥이 끊겨 갔다.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호엔슈타우펜 왕조가 한때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었지만 영토가 작아서 제국을 장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슈바벤은 이미 프리드리히 2세 시기에 반쯤 해체되었으며, 1268년 프리드리히 2세의 손자 콘라딘나폴리에서 처형당하며 명맥이 끊겼다. 1273년 황제선거에서 선출된 합스부르크 가문의 초대 독일왕 루돌프 1세는 한미한 자신의 가문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가문이 여기저기보유한 슈바벤 영지를 바탕으로 슈바벤 공국을 다시 되살려 공국 전체를 황제 직할령으로 두었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가문 역시 슈바벤 내에서 영토 지분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오래 가지 못하고 결국 뷔르템베르크 백국, 바덴 변경백국, 스위스 연맹, 부르고뉴 공국, 호엔촐레른 백국, 퓌르스텐베르크 백국으로 조각났다. 특히 저 부르고뉴 공국 때문에 훗날 프랑스 왕국과의 피할 수 없는 영토 분쟁에 휘말렸다.

뷔르템베르크 백국과 바덴 변경백국은 슈바벤 공국의 제후령으로서 각각 1083년1112년에 설치되었다. 뷔르템베르크 백국은 슈바벤 공국이 소멸한 후 슈투트가르트를 중심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가며 1495년 공작으로 승격되었다. 뷔르템베르크 가문 공작들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영지를 넓혀갔고 30년 전쟁,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면서 1803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선제후가 되고 1806년뷔르템베르크 왕국이 성립되었다. 이 왕국은 1871년 독일 제국에 합류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몰락하면서 뷔르템베르크에는 자유주가 설립되었다.

바덴 변경백은 체링겐 가문으로 상속되며 알자스 지방과의 국경지대로, 바덴바덴과 두를라흐(현 카를스루에의 구)를 중심으로 성장해 나갔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충성하던 영주였다. 이 지역도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외지오스트리아나 팔츠 선제후국의 영토와 함께 군소 영주국이 난립했던 곳이고 바덴 지역이 하나로 통일되는 것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1803년 바덴이 선제후가 되고 1806년 대공국으로 승격된 이후이다. 그 후 약 100여년의 시간 동안 독일 제국 안의 구성국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바덴 대공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붕괴됐지만 그 명맥은 이어져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나치 독일 시기 내내 바덴은 주(Land)의 하나가 된다.

호엔촐레른 백작령은 독일 제국루마니아 왕국의 왕가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발상지로, 뷔르템베르크 공국 남쪽에서 스위스 국경 일대이며 결과적으로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영토가 되었고 바덴 변경백국 남쪽 스위스 국경의 퓌르스텐베르크 백국도 바덴 변경백국에 흡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이후 이 지역은 미국프랑스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는데 하나의 주를 각각 한 나라가 점령한 것이 아니라 뷔르템베르크와 바덴의 북부 지방은 미군이 점령하고 남부 지방은 프랑스군이 점령하면서 북부 뷔르템베르크, 남부 뷔르템베르크, 북부 바덴, 남부 바덴 4개의 점령구가 생겼는데 이 점령구들이 세 개의 주를 구성했다. 북부 뷔르템베르크와 북부 바덴은 뷔르템베르크-바덴 주, 남부 뷔르템베르크는 호엔촐레른 지방을 합쳐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주, 남부 바덴은 (남부)바덴 주. 이것이 1952년 하나로 합쳐져 오늘날의 바덴-뷔르템베르크 주가 탄생했다. 중앙정부나 점령군이 무작정 밀어붙인 게 아니라 주민투표를 거쳐서 통합을 결정했다. 나머지 주는 통합을 찬성했지만 (남부)바덴만큼은 거세게 반발하여 이 통합이 위헌이라고 헌법소원까지 제기했다. 독일어 위키백과의 바덴뷔르템베르크 항목에 실린 당시 지도를 보면 (남부)바덴 주가 옛 바덴 대공국과 바덴 연방주의 영토를 북부 일부 지역만 제외하고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뷔르템베르크는 남북으로 분할된 데다가 각기 북부 바덴과 호엔촐레른을 포함한 상태였다. 만약 뷔르템르크 지역만이 통합되고 바덴이 존속했다면 남독일 지역은 독일 연방 당시의 바덴, 뷔르템베르크, 바이에른이 영토가 조금씩 바뀐 채로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형태가 되었겠지만 이 헌법소원은 기각되었다.[6] 이와 함께 오스트리아 땅이었던 곳 일부, 프랑켄 지역이었던 것 일부, 팔츠 선제후국 영토였던 곳들도 일부씩 조금씩 조금씩 함께 합병했다. 어차피 안 그랬다면 월경지가 너무 많아졌을 것이고.

3. 지리

수계에 따라 지역이 나뉜다. 수계는 슈바르츠발트(Schwarzwald, 검은 숲, 흑림)와 슈바벤 산맥[7]이다.
주도이자 최대 도시는 슈투트가르트이며, 그 외의 주요 도시들은 인구 수 기준으로는 만하임, 카를스루에, 프라이부르크, 하이델베르크 순으로 이어진다. 유명한 모터 스포츠 서킷호켄하임링도 이 주에 있다. 교육 쪽에선 세공, 운송기기 디자인으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대학인 포르츠하임 대학교는 주 내의 포르츠하임 소속 대학교.

서북쪽에는 라인란트팔츠 주, 서쪽에는 프랑스, 남쪽에는 스위스(프리드리히스하펜스위스가 만남), 동쪽에는 바이에른 주, 북쪽에는 헤센 주에 접해 있다. 남동쪽에 콘스탄츠 호수(독일어: Bodensee 보덴제)를 통해 오스트리아와도 간접적으로 접해 있다.

스위스 바젤 시내의 바젤 바디셔 역의 승강장과 대합실 일부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치외법권 지대다. 1852년에 바덴 대공국과 스위스 연방이 맺은 조약에 따라 역의 일부를 바덴 대공국의 영역으로 하여 바덴 대공국 철도회사가 운영하게 되었고, 이게 시간이 지나면서 독일 영토와 도이체반 운영으로 바뀐 것.

4. 정치

파일:BW 주의회 로고.png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연립여당
[[동맹 90/녹색당|파일:BW 녹색당 로고.png
동맹 90/녹색당
58석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파일:BW CDU 로고.png
기독교민주연합
42석
]]
야당
[[독일 사회민주당|파일:SPD 바덴뷔르템베르크 로고.svg
사회민주당
19석
]]
[[자유민주당(독일)|파일:BW FDP 로고.jpg
자유민주당
18석
]]
[[독일을 위한 대안|파일:BW AfD 로고.png
독일을 위한 대안
17석
]]
재적
154석
}}}}}}}}} ||

독일의 다른 연방주와 연방의회가 1인 2투표제를 실시하는 것에 비해 바덴-뷔르템베르크는 1인 1투표제를 실시한다.[10] 다시 말해 지역구 후보에게 주는 표를 합산하여 정당 의석 배분의 기준으로 삼는다. 한국에서는 15대와 16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 이 방식을 썼다. 또한, 비례대표 의석 수도 4개의 현에 따라 권역별로 정한다.

4.1. 통합 이전

뷔르템베르크-바덴 주에서는 미군정 시기이던 1945년에 중도보수인 자유민주당 소속 라인홀트 마이어(Reinhold Maier)를 총리로, 기독교민주연합, 사회민주당, 공산당이 모두 참여하는 거국내각을 구성했고, 1946년 선거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이 제1당이 된 뒤에도 자유민주당 소속 총리와 거국내각은 유지하였다. 1950년 선거에서 제1당은 사회민주당이었지만, 자유민주당과 연립내각을 구성하면서 총리는 라인홀트 마이어가 계속 맡았다.

뷔르템베르크-호엔촐레른 주는 프랑스 군정 시기이던 1946년에 사회민주당 소속 인물을 총리로 기독교민주연합, 자유민주당과 연립내각을 구성했고, 1947년 선거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이 단독 과반수를 차지했음에도 총리가 기독교민주연합 소속 인물로 바뀌었을 뿐 기독교민주연합-사회민주당-자유민주당의 연립내각은 유지했다. 공산당은 연립내각에서 계속 배제되었다.

(남부)바덴 주는 프랑스 군정 시기이던 1946년에 기독교민주연합 소속 인물을 총리로 기독교민주연합, 사회민주당, 자유민주당, 공산당이 모두 참여하는 거국내각을 구성했다. 1947년 선거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이 단독 과반수가 되었으나, 초창기에는 사회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했다가 후기에 기독교민주연합 단독 내각으로 전환했다.

오랫동안 기독교민주연합의 텃밭과도 같은 곳으로, 2016년까지 기독교민주연합이 원내 제1당을 유지하고 있었다. 통합 이전에 기독교민주연합이 제1당이 되지 못한 것은 1950년 주의회 선거뿐이었고, 통합 이후에는 줄곧 기민련이 제1당이었다. 서독 최단명 총리이자 최후의 나치 출신 총리로 유명한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어가 바덴뷔르뎀베르크 주총리 출신이다.

4.2. 통합 이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가 성립한 1952년 선거에서 제1당은 기독교민주연합이었지만, 제2당인 사회민주당이 뷔르템베르크-바덴 주의 총리이던 라인홀트 마이어를 총리로 자유민주당 -사회민주당-전후이주자연합의 연립내각을 구성했다. 전후이주자연합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폴란드 영토가 된 지역에서 넘어온 사람들이 조직한 정당이다.

1956년부터 2010년까지는 줄곧 기독교민주연합이 주도하여 내각을 구성하면서 이따금 기독교민주연합이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 할 때마다 자유민주당이나 사회민주당이 참여하는 형태를 유지하였다.

2011년 주의회 선거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맞물려 대중의 지지를 크게 받은 녹색당이 전체 의석 138개 중 36석을 획득, 35석을 얻은 사민당과 연립내각을 구성하고 녹색당 최초로 주 총리를 배출한다. 이 해에 실시한 모든 지방선거에서 녹색당은 의석을 늘리거나 의회에 새로 진출하면서 16개 연방주 전체에서 의석을 확보하게 되었다. 제1당은 여전히 60석의 기민련이었지만, 자민당 의석이 7석에 불과하여 정권을 잡지 못했다. 녹색 보수주의빈프리트 크레치만이 최초의 녹색당 주총리로 취임했으며, 현재까지도 주총리를 역임하고 있다.

2016년 주의회 선거에서는 녹색당이 30%, 기민련은 27%, 대안당이 15%를 득표하면서 아예 녹색당이 1당으로 승리했고, 완전히 몰락한 사민당을 대신하여 녹색-기민 연정이 구성되었다. 크레치만과 녹색당은 2021년 선거에서는 32.6%로 오히려 기존 기록을 경신하며 3연임까지 성공했고 연정이 연장되었다. 녹색당은 1979년 바덴뷔르템부르크의 슈투트가르트에서 발기식을 가졌으니, 여기가 안방이나 마찬가지다.

2018년 당시 주의회 의장이 튀르키예 난민 출신의 여성인 무테렘 아라스였다. 어릴 때 부모와 함께 종교적인 이유로 튀르키예를 탈출한 케이스로 독일 교육을 받고 시민권을 얻었으며 정치인이자 세무사이다. 튀르키예 이민자, 난민, 여성이라는 복합적인 소수자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성공을 이룬 케이스로 독일 사회 통합의 상징 인사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2021년 선거는 다음 문서 참고. 다시 제1당이 된 녹색당은 기민련과의 연립정부를 연장하였다.

녹색당의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당의 경우 독일 다른 지역 녹색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사회보수주의쪽은 아니고 재정보수주의 쪽으로 보인다.

5. 경제

지하자원은 전무하다시피한 편이지만 독일 내에서도 바이에른과 더불어 가장 부유한 지역으로 유명한데, 포르쉐, 자이스, 메르세데스-벤츠, 보쉬, WMF, ZF, SAP, 베이어다이나믹, 후고 보스(Hugo Boss), 헤클러 운트 코흐, 융한스 등의 유명한 기업이 이 곳을 연고지로 두고 있다. 또한 유통 분야에서는 드러그스토어DM과 슈바츠 그루페(Schwarz-Gruppe)[11]의 본사가 위치한다. 그리고 IBM, 로슈 등 거대 다국적 기업의 독일 본사도 위치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보쉬 같은 대기업도 지역 경제의 큰 축이면서, 이 대기업들에게 장비나 부품, 소재 등을 납품하는 중소기업들도 이 지역의 경제를 잘 뒷받침하고 있다. 대도시와 중소기업이 위치한 소도시 들은 엄청난 공업화가 이루어진데 반하여 검은숲과 보덴제 등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농촌 지역은 그 나름대로의 특색이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라 관광업으로도 꽤나 짭짤하게 소득을 올리고 있는 편이다.

바덴뷔르템베르크는 또한 금융업의 발달로도 유명한 곳이다. 프랑크푸르트처럼 대기업 위주의 금융업보다는 지역, 협회 위주의 금융업이 굉장히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 지역 경제를 튼튼히 지탱하는 다리와 같은 존재다. 독일의 다른 지역에 살다가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에만 가면 독일의 다른 곳에선 못 보던 난생처음 보는 은행들이 곳곳에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모두 지역 은행들이다. 보험, 연금 등에 있어서도 독보적이다. 독일에서 바덴뷔르템베르크 사람들은 구두쇠라는 편견이 있다. 안 그래도 다른 지역보다 저축율도 매우 높은 곳이다. 괜히 지역 은행들이 잘 굴러가는 게 아니다. 이게 되려 금융 분야에 있어서 메리트가 되어서 아예 독일 내 다른 지역에 광고를 할 때 바덴뷔르템베르크 출신임을 강조하는 곳도 있을 정도.

6. 인구

인구수는 약 1천 133만명 가량이며 여자가 남성보다 약 20만 명 가량 많은 여초 주이다. 출산율과 사망률이 거의 똑같으며[12] 현재 노인층의 인구 비율이 거의 20%에 육박하는 초고령 인구구조여서, 외부에서의 유입이 없다면 조만간 인구가 매섭게 줄어들 듯 하다. 그래서인지 적극적으로 이민을 유치하고 있는 듯 싶다. 인구수의 16%인 184만 가량이 외국인이며 나머지 90%의 독일인 중 30% 가량도 외부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

7. 종교

전통적으로 주 내의 북부지방은 루터교 계열의 개신교가, 남부지방은 가톨릭이 우세하며 독일 내에서는 루터교세의 남방한계선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따지자면 가톨릭이 살짝 더 많다. 가톨릭이 35.8%, 개신교가 31.9%. 또한 이민자가 많은 주 특성상 무슬림도 5.6% 가량 된다.

슈투트가르트가 포함된 뷔르템베르크 지역교회는 교회협의회(EKD)에 속한 독일 주류 루터교회들 중에서 동성결혼 허용안이 가장 늦게 통과된 교단이다. 2010년대까지 동성결혼을 인정하지 않았다가 2020년에 와서야 해금되었다. 반대로 카를스루에가 포함된 바덴 지역교회는 동성결혼을 일찍이 인정했다.

8. 교육

제조업이 발달한 주의 산업구조 특성 상 기계, 금속 등의 공학 교육의 수요가 많고 공급도 많은 편이다. 그 밖에 학교 특성에 따라 건축이나 물리학의 특정 분야가 유명하기도 하다. 하이델베르크튀빙겐의 의대도 독일 내에서 알아주는 편이다. 한편 2016년에 독일에서 최초로 비 EU 국가 출신 학생들에게 대학 등록금을 징수하기로 결정하였다. 2017년 겨울학기 신입생부터 해당되며 등록금은 학기 당 1500유로이다. 그리고 출신 국가에 상관없이 학위 소지자가 복수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추가 학기와 학위 과정을 수행할 경우에도 등록금을 징수할 예정이다.

2019년 독일 연방정부가 선정한 엘리트 대학에 가장 많은 수의 대학이 이름을 올린 주이기도 하다. 단일 주에서 네개의 대학이 선정되었는데,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콘스탄츠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다. 바이에른이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가 각각 두개 씩 선정된 것에 비하면 상당한 성과이다. 정작 주도에 위치한 슈투트가르트 대학교는 떨어진 게 함정

세계에서 알아주는 영화-미디어 학교인 바덴뷔르템베르크 필름 아카데미도 이곳 루트비히스부르크 시에 있다.

독일에서 손에 꼽히게 잘 사는 연방 주에 속하며 이에 힘입어 대학 교육에 투자가 괜찮은 편이고, 이미 주에서 유명한 자동차, 기계, 금속 산업 등에 힘입어 산학 협력과 졸업 후 직업 전망이 좋은 편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자본과 인재가 몰리고, 평준화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의 질이 좋은 선순환이 잘 이뤄지는 지역 중 하나이다.

9.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d116>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1px"
현(Regierungsbezirk)
프라이부르크
Freiburg
카를스루에
Karlsruhe
슈투트가르트
Stuttgart
튀빙겐
Tübingen
각 현의 행정 구역
독일의 행정 구역
}}}}}}}}} ||

9.1. 주요 도시

10. 기타



[1] 합스부르크 가문의 어기와 똑같이 생겼다.[2] 프랑켄, 호엔촐레른 주, 바덴 대공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팔츠 선제후국, 오스트리아 대공국(외지오스트리아)의 6개 지역 문장이 합쳐졌다.[3] Winfried Kretschmann, (재임 2011~현재) 3선.[4] 지금도 이 주의 서남쪽 프랑스와의 국경지대는 알레만 지방이라고 부른다.[5] 작센, 프랑켄, 바이에른, 로트링겐[6] 문제는 이 북부 일부 지역이 옛 바덴 대공국의 뿌리인 바덴바덴카를스루에를 포함하는 지역이라는 것이다. 미군 점령지역에서 바덴이 차지하는 영역이 아주 작았음에도 굳이 주 이름에 바덴을 넣어서 뷔르템베르크-바덴이라고 붙인 이유가 이것이다. (남부)바덴은 엄밀히 말해 바덴 없는 바덴 주였던 것이다.[7] 여느 알프스 인근의 산맥처럼 별칭으로 알프스/쥐라 등이 붙은 슈바비시 알프(Schwäbisch Alb)나 스와비안 쥐라(Swabian Jura) 등이 사용된다.[8] 다만 산맥에 가까운 콘스탄츠호 인근은 뷔르템베르크 지역이다.[9] 네카어강에 자리해있으나 라인강과 가깝고, 현재는 사실상 만하임권역으로 취급된다.[10] 여담으로 이 동네는 옆 동네와 달리 좌파정당 지지도가 높은 편이다.[11] LIDL과 Kaufland 등의 거대 슈퍼마켓 체인을 거느린 유럽에서 제일 큰 유통 대기업이다.[12] 통계에 따르면 1000명당 8.61명 출생에 8.60명 사망[13] 다만 R발음의 경우 중부 이북처럼 일찍이 구개수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직도 치경전동음을 들을 수 있는 바이에른과 대조적이다.[14] 뜻은 여기 좋네요, 근데 바덴뷔르템베르크에는 가보셨나요? 정도. 자매품으로 Nett hier 대신 Not bad가 붙은 스티커도 있다.[15] 네, 구리던데요![16] 바이에른 뿐 아니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등도 있다. Nett hier 스티커와 달리 이건 당연히 공식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