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편제
국방부/직할 | 육군/편제 | 해군/편제 | 공군/편제 |
해체된 부대 |
1. 대한민국 국방부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fa3ac; padding: 1.4px 0px"
2018년 8월 30일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재편되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fa3ac; padding: 1.4px 0px"
}}} 군사안보지원사령부*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fa3ac; padding: 1.4px 0px"
2022년 11월 1일 국군방첩사령부로 재편되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fa3ac; padding: 1.4px 0px"
}}} 고등군사법원*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fa3ac; padding: 1.4px 0px"
2022년 7월 1일 해체.
* ❁❁❁ 국군진해병원
2000년에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의무대, 해양의학적성훈련원과 통합되어 해군해양의료원으로 재창설,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 ❁❁❁ 국군포항병원
2000년에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어 해군포항병원으로 재창설.
* ❁❁❁ 국군논산병원
2009년에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2011년 1월 1일부로 예속이 육군훈련소로 변경되어 해체되고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이에 맞춰 위치도 연무읍 내에서(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었다) 육군훈련소 안쪽으로 이동했다.
* ❁❁❁ 국군마산병원
2009년 병원 해체.
* ❁❁❁ 국군원주병원
2017년 병원 해체.
* ❁❁❁ 국군부산병원
2020년 병원 해체.
* ❁❁❁ 국방지형정보단
2018년 12월 4일 정보사령부 예하부대에 통폐합되었다.
* ❁❁❁ 국군진해병원
2000년에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의무대, 해양의학적성훈련원과 통합되어 해군해양의료원으로 재창설,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 ❁❁❁ 국군포항병원
2000년에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어 해군포항병원으로 재창설.
* ❁❁❁ 국군논산병원
2009년에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2011년 1월 1일부로 예속이 육군훈련소로 변경되어 해체되고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이에 맞춰 위치도 연무읍 내에서(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었다) 육군훈련소 안쪽으로 이동했다.
* ❁❁❁ 국군마산병원
2009년 병원 해체.
* ❁❁❁ 국군원주병원
2017년 병원 해체.
* ❁❁❁ 국군부산병원
2020년 병원 해체.
* ❁❁❁ 국방지형정보단
2018년 12월 4일 정보사령부 예하부대에 통폐합되었다.
2. 대한민국 육군
관련 문서: 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2.1. 야전군 및 군단급 부대
- 제6군단
진군부대. 지상작전사령부의 군단으로 5사단, 28사단, 5기갑여단, 6포병여단, 6공병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8군단
동해충용부대. 지상작전사령부의 군단으로 22사단, 23경비여단, 102기갑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9군단
충렬부대. 구 제2야전군의 군단으로 31사단, 32사단, 35사단, 37사단, 62사단, 67사단, 201특공여단, 203특공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11군단
충무부대. 구 제2야전군의 군단으로 39사단, 50사단, 53사단, 70사단, 205특공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육군전투사령부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 동해안경비사령부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 1982년 8월 제7군단으로 개편.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개편. - 울산경비사령부
-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 유도탄사령부
2014년 4월 1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확대 개편. - 방공포병사령부
1991년에 공군으로 전군하여 공군방공포병사령부로 바뀌었으며,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2.2. 사단 및 여단급 부대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자이툰부대. 대한민국 육군본부 소속 해외파병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20일 해체되었다. - 제2보병사단
노도부대. 제3군단 예하 상비사단이었으나 2019년 11월 29일 해체되고[1], 2021년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 제20기계화보병사단
결전부대. 제7기동군단 예하의 기계화보병사단이었으나 2019년 11월 29일 제11기계화보병사단에 통합. - 제23보병사단
철벽부대. 제8군단 예하의 보병사단이었으나 2021년 11월 1일 해체되었다. 부대 역사는 제23경비여단이 계승하였다. - 제26기계화보병사단
불무리부대. 제7기동군단 예하[2]의 기계화보병사단이었으나 2018년 11월 30일 제8기동사단과 통합. -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 제2군단 예하의 보병사단이었으나 2022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 - 제29보병사단
태권도부대. 1959년 제20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하였다.[3] -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필승부대. 제1군단 예하 기계화보병사단이었으나 2020년 11월 30일 해체. 부대 역사는 제30기갑여단이 계승하였다. - 제33보병사단
번개부대. 수도군단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1982년 8월 6일 상비사단인 제17보병사단으로 개편. - 제38보병사단
치악산부대. 구 제1야전군사령부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1982년에 8월 6일 제76훈련단으로 축소.[4] - 제51예비사단
방파제부대. 구 제3관구사령부 예하 향토사단으로 월남전 시기에 임시로 충청남도의 향토사단을 맡았던 부대. 1973년에 해체되었다.[5] - 제57보병사단
용마부대.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2011년 12월에 제56보병사단과 통합. - 제61보병사단
상승부대. 본래 광주, 전남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동원사단으로, 이후 인천으로 인전해 수도군단 예하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7년 11월 30일부로 해체. - 제62보병사단
충용부대. 구 제2작전사령부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며 대전, 충남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했다. 2008년 12월 1일 제32보병사단과 통합. - 제63보병사단
봉화부대. 경기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수도군단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1987년 제55보병사단으로 확대, 개편. - 제65보병사단
밀물부대. 본래 전북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향토사단이었으나 양주로 이전하여, 제6군단 예하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7년 11월 30일부로 해체. - 제67보병사단
용진부대. 충북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구 제2야전군(9군단)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5년 12월 1일에 제37보병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8보병사단
철벽부대. 영동지방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제8군단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1998년 12월 1일 제23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 제69보병사단
태풍부대.[6] 부산, 경남지역을 위수지역으로 둔 구 제2야전군(11군단) 동원사단이었으나 2000년을 끝으로 39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0보병사단
충효부대. 대구, 경북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구 제2작전사령부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에 제50보병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1보병사단
선승부대. 서울지역을 위수지역으로 둔,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6년 11월 30일에 해체되었다. - 제76보병사단
진격부대. 강원지역을 위수지역으로 둔, 제76훈련단을 확대개편 한 제2군단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1년 11월에 해체되었다. - 제1유격여단
1969년 1월 27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예하에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3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88보병여단
1983년에 제22보병사단으로 승격. - 제99보병여단
1982년에 제51보병사단으로 승격. - 제100훈련단
1983년에 제52보병사단으로 승격. - 제101보병여단(제1군단)
무적부대.항목 참조. - 제102보병여단(제8군단)
일출부대. 제102기갑여단으로 재편되었다. 항목 참조. - 제103보병여단(수도군단)
미추홀부대. 1994년에 17사단에서 분리되어 나간 수도군단 예하의 독립여단으로, 제507보병여단으로 환원되어 제17보병사단 예하부대로 흡수(사실상 재편입)된다. - 제205특공여단
백호부대. 2작사 예하의 특공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 - 제6포병여단
진군포병부대. 제6군단 예하의 포병여단이었으나 2022년 11월 30일부로 해체되었다. - 제6공병여단
진군공병부대. 제6군단 예하의 공병여단이었으나 2022년 11월 30일부로 해체되었다. - 제2군수지원사령부
제5군수지원여단으로 축소개편. 동시에 제6군수지원단과 제7군수지원단 창설. - 제3군수지원사령부
제1군수지원여단으로 축소개편. 동시에 수도군수지원단 창설. - ❁❁❁ 제10기계화보병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10, 21여단이 해체되면서 20사단에서 넘어온 60여단과 26사단에서 넘어온 73여단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 ❁❁❁ 제21기계화보병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10, 21여단이 해체되면서 20사단에서 넘어온 60여단과 26사단에서 넘어온 73여단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 ❁❁❁ 제57보병여단
제23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58보병여단
제23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59보병여단
제23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2기계화보병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5기계화보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6기계화보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7보병여단
제2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8보병여단
제2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9보병여단
제2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90기계화보병여단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09보병여단
- ❁❁❁ 제91기계화보병여단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92기계화보병여단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0보병기계화사단 포병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6보병기계화사단 포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30보병기계화사단 포병여단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3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2.3. 단 및 연대급 부대
- ❁❁❁ 제1공수특전단(舊 제1전투단)
1958년 4월 1일 창설된 육군본부 직할 제1전투단을 모체로 1959년 10월 1일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10월 1일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 특수임무단(舊 제2유격여단, 제5공수특전여단)
1969년 2월 17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예하 제2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2000년 6월 1일 특수임무단으로 감편, 2010년 7월 1일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 - ❁❁❁ 제30경비단
- ❁❁❁ 제33경비단
- ❁❁❁ 제1항공단
- ❁❁❁ 제8항공단
- ❁❁❁ 제16항공단
- ❁❁❁ 제31항공단
- ❁❁❁ 제39동원지원단
- ❁❁❁ 제60항공단
- ❁❁❁ 제61항공단
- ❁❁❁ 제6포병단
- ❁❁❁ 제12포병단
- ❁❁❁ 제11정보통신단
- ❁❁❁ 제13정보통신단
- ❁❁❁ 제106정보통신단
- ❁❁❁ 제109정보통신단
- ❁❁❁ 제111정보통신단
- ❁❁❁ 제1107공병단
- ❁❁❁ 제1116공병단
- ❁❁❁ 제1118공병단
- ❁❁❁ 제1119공병단
- ❁❁❁ 제1120공병단
- ❁❁❁ 제1170공병단
- ❁❁❁ 제1173공병단
- ❁❁❁ 제10방공단
2011년 12월 1일 제3야전군사령부 제1방공여단에 흡수됨과 동시에 제1방공여단이 수도방위사령부 예하로 소속 변경되었다. - ❁❁❁ 독립기갑연대
- ❁❁❁ 제4연대 [제명]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해체. 주둔지는 광주. 제14연대가 제4연대 예하의 대대를 모체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반란군에 심적으로 동조하는 자가 많았고 반란이 터지고 나서 우선 급히 파견된 1개 중대가 반란군에 합류하는 등 문제가 있는 부대였다. 이후 육군 부대명에서는 4가 들어가지 않는다. 4사단 14사단 24사단 등. 한자 死(죽을 사)가 연상되기도 하여 한국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8] 이후 이 여단은 20연대로 단대호를 바꾸고 지금까지 존속하다가 독립기갑여단이 되는데 제20기갑여단이 바로 그 것. - ❁❁❁ 제6연대
여순사건 전후로 해서 3차에 걸친 부대내 반란사건으로 해체후 22연대로 개편. 주둔지는 대구. 남로당 세포들이 많이 침투해 있던 부대였다. - ❁❁❁ 제14연대 [제명]
여순사건의 주동으로 해체. 주둔지는 여수. - ❁❁❁ 제32보병연대
제2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37보병연대
제2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2사단 예하 17연대가 12사단에 편입되면서 37연대가 사라진 것. - ❁❁❁ 제63보병연대
제2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2사단 예하 31연대가 21사단에 편입되면서 63연대가 사라진 것. - ❁❁❁ 제83보병연대
제2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85보병연대
제2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86보병연대
제2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13보병연대
제76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15보병연대
제76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16보병연대
제76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63보병연대
제7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65보병연대
제7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66보병연대
제7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73보병연대
제68보병사단이 상비사단인 제23보병사단으로 승격하면서 단대호 변경 - ❁❁❁ 제175보병연대
제68보병사단이 상비사단인 제23보병사단으로 승격하면서 단대호 변경 - ❁❁❁ 제176보병연대
제68보병사단이 상비사단인 제23보병사단으로 승격하면서 단대호 변경 - ❁❁❁ 제177보병연대
제6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78보병연대
제6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79보병연대
제6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83보병연대
제65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85보병연대
제65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86보병연대
제65보병사단 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0보병연대
제6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1보병연대
제6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2보병연대
제6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3보병연대
제6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5보병연대
제6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6보병연대
제6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7보병연대
제70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8보병연대
제70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199보병연대
제70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11보병연대
제210보병연대와 통폐합 - ❁❁❁ 제215보병연대
제213보병연대와 통폐합 - ❁❁❁ 제216보병연대
제5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22보병연대
제56보병사단 연대들의 여단 개편 과정에서 해체 - ❁❁❁ 제223보병연대
제5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2보병사단 포병연대
제2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1보병사단 포병연대
제6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2보병사단 포병연대
제62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5보병사단 포병연대
제65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5보병사단 포병연대
제67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68보병사단 포병연대
제23보병사단 개편과정에서 확대개편되었다. - ❁❁❁ 제69보병사단 포병연대
제69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0보병사단 포병연대
제70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1보병사단 포병연대
제71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76보병사단 포병연대
제76보병사단 해체과정에서 해체되었다. - ❁❁❁ 제302경비연대
제6군단 해체과정에서 선행적으로 해체되었다. - ❁❁❁ 제306경비연대
2022년 12월 1일 경비단으로 개편. - ❁❁❁ 제706특공연대
제6군단 해체과정에서 선행적으로 해체되었다. - ❁❁❁ 제707특공공정연대
제7특공대대로 감편되었다.
2.4. 기타
- ❁❁ 제102보충대대
제1야전군 직할 보충대대. 춘천에서 병력을 집결시킨 후 초도보급 및 분류를 한 후에 1군 지역[10]의 사단 신교대로 보내는 역할이었다. - ❁❁ 제306보충대대
제3야전군 직할 보충대대. 의정부에서 병력을 집결시킨 후 초도보급 및 분류를 한 후에 3군 지역[11]의 사단 신교대로 보내는 역할이었다. - ❁❁ 제800(809)·801·802·803·805·806정찰대대
각각 수도·제1·2·3·5·6군단 직할 정찰대대였으나 수색대, 특공대와 임무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에 기계화보병사단 직할 정찰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해체되었다.
- 특전사 여군 중대
사령부 예하 부대로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여군들은 공수특전여단이나 707 특임대가 아닌 이 곳으로 배치되었었다. 2014년 당시 사령관 전인범 장군의 지시로 해체되고 여군들은 다른 남군들처럼 공수특전여단 같은 곳으로 배치되도록 바뀌었다.
- 육군2사관학교
1972년 폐교. - 육군여군학교
2002년 10월 31일 폐지. 장교 양성 과정은 육군3사관학교, 부사관 양성 과정은 육군부사관학교로 각각 이관되었다. - 삼청교육대
말이 군 부대이지 사실상 정치범수용소이다. - 육군지형정보단
- 육군중앙경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국군재정관리단의 모체가 됨) - 육군교도소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개편되었다. - SC지대
한국전 당시에 심리전 등을 이유로 HID에 소속됐던 화교들의 부대이다. - 제27특공부대
육군특수전사령부 소속으로서 대통령경호실에 파견되어 대통령 경호임무를 수행했지만,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해체되었다. - ❁❁ 제338경비대대
수도방위사령부 소속으로서 대통령경호실에 파견되어 청남대 경비 및 경호임무를 수행했지만, 청남대가 민간에 개방되면서 해체되었다. - ❁ 제52경비대
제52보병사단 소속으로 국립서울현충원의 경비를 맡았으나 해체되고 업무는 민간으로 넘어갔다.
3. 대한민국 해군 / 대한민국 해병대
- 한국함대
1953년 9월 10일 제1함대[12]를 모체로 창설되었으며, 1986년 2월 1일 해군작전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제1·2전단
한국함대의 예하 전단으로, 1전단은 호송·경비작전을, 2전단은 상륙작전을 전담했다. - 제1·2·3전투전단
각각 제1·2·3함대 예하, 구축함/초계함/고속정전대의 상위급 부대인 전단이었으나 지휘구조 간략화 개혁에 의해 해체되고 함대사령부가 바로 각 전대를 지휘하도록 개편되었으며, 옛 전단장들의 권한은 함대 부사령관에게 주어졌다. 그런데, 2015년 2월에 각 함대별로 해상전투단이 창설되며 사실상 부활했다. - 제51기동전대(舊 제11전대, 제51대잠전대)
1960년 한국함대 제1전단 예하 제11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1대잠전대로 개편, 2007년 제51기동전대로 개칭. 구축함전대로, 2010년 1월 31일부로 해체되고 소속 함정은 2010년 2월 1일부로 창설된 제7기동전단에 배치되었다.이로 인해 5전단이 해군 최정예 전단에서 쩌리부대로 전락했다. - 제56특수전전대(舊 제25특수전전대)
한국함대 제2전단 예하 제25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6전대로 개편, 2007년 전단급으로 확대. 2012년부터는 해군 특수전전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제55구조·군수지원전대(舊 제55군수지원전대)
제5성분전단 예하의 구조함과 군수지원함을 운용하던 부대였다. 해군 해난구조대도 이 부대 소속이었다. 2018년 9월 1일 구조함과 해난구조대가 해난구조전대로 승격됨과 동시에 해군 특수전전단으로 소속이 옮겨졌고, 군수지원함은 제7기동전단 예하로 창설된 제77기동군수전대로 소속이 옮겨졌다. - 목포해역방어사령부
약칭 목방사. 남해 서부 해역 방어를 담당했던 부대로 2007년 11월 해군 3함대사령부가 부산에서 목포로 이전하면서 제3함대 사령부에 통폐합되어 사라졌다. - 제6항공전단(舊 함대항공대, 함대항공단)
1957년 함대항공대로 창설되었고, 1963년에 해체된 뒤, 1973년에 재창설되었다. 1977년에 함대항공단으로 승격되었고, 1986년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으로 개편, 2022년 해군항공사령부로 승격. - 제9잠수함전단(舊 제57잠수함전대)
1990년 6월 1일 창설된 제5성분전단 예하 제57잠수함전대를 모체로 1995년 10월 1일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으로 창설, 2015년 2월 1일 잠수함사령부로 승격. - 해군기초군사학교
2009년부터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승격되었다. - 해군기술병과학교
해군행정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해군행정학교
해군기술병과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해군2사관학교
1983년 폐교되었다. - 해군전투체계학교
2015년 폐교되어 해군전투병과학교 예하 분과로 들어갔다. - 해병교육기지사령부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병보급정비단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병보안부대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병상륙사단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개편되어 해군 해병사단이 되었다. - 해병상륙전기지사령부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병학교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병해병훈련소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군중앙경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해군조함단
2006년 방위사업청 설립 이후 그 기능을 이관하고 전투발전단으로 변하였다. - 제주방어사령부
2015년 12월 1일 해체되고 해군병력은 제주기지전대로, 해병병력은 해병대 제9여단으로 배속되었다. - 해군제1군사교육단
2018년 7월 1일부로 다시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개칭되었다. - 해군제2군사교육단
2018년 7월 1일부로 해체되었으며 예하의 각 학교는 교육사령부 직속이 되었다.
4. 대한민국 공군
- 공군2사관학교
1984년 폐교되었다. - 공군교재창
2009년 3군 인쇄창을 합병으로 개편, 국군인쇄창으로 이동하였다. -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舊 방공포병사령부)
2022년에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로 개칭되었다.] - 공군인사운영단
육군인사사령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대로 창설되었으나 공군본부 인사참모부로 흡수되었다. - 공군중앙관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공군남부전투사령부
공군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 - 공군북부전투사령부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 공군재경근무지원단
2014년부로 공군 재경근무지원대대로 개편. 공군 재경근무지원대대는 일자 미상으로 공군항공안전단 기지대대에 흡수되어 사라짐. - 제7항로보안단
항로관제통신, 장거리 통신, 통신중건설, 기상 분야 등을 관장하는 방대한 조직의 부대였으나, 조직과 기능이 단계적으로 작전사령부와 각 비행단으로 예속 변경되고 국토부 등의 정부 부처와 국군지휘통신사령부로 이관되면서 제7항공통신전대로 축소되었다. - 제70중앙항로관제전대
- 제71항로통신전대
- 제72장거리통신전대
- 제73기상전대
- 제20특무전대
- 제23첩보대 #
- 제25정보대 #
- 제26특별수사대 #
군사범죄의 수사 및 방첩을 담당하였다. - 제2325부대 제209파견대
- 제30방공관제단
2013년에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기지지원전대
-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공군전술항공통제단으로 개편. - 제37전술정보전대
2017년에 항공정보단으로 승격 개편. - 제39정찰비행전대
제39정찰비행단으로 승격 개편. - 제43시설전대 - 1953년 3월 1일 ~ 1958년 12월 31일
- 제55항공수송단 - 은마부대, 베트남 전쟁, 1967년 7월 1일 ~ 1973년 3월 15일
- 제56항공수송단 - 비마부대, 걸프 전쟁, 1991년 2월 24일 ~ 1991년 4월 10일
- 제57항공수송단 - 청마부대,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12월 18일 ~ 2003년 12월 31일
- 제58항공수송단 - 다이만부대, 이라크 전쟁, 2004년 8월 31일 ~ 2008년 12월 19일
-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
1976년 1월 15일 해체되어 예하 인력·장비 등이 해군 항공대에 이관되었다. - 제88방공포전대
1988년 11월 1일에 창설된 공군의 방공 부대로, 각 비행단에 파견온 육군 소속의 발칸 포대를 전군시켜 창설하였다. 이후 육군의 방공포병사령부가 공군으로 이전되면서 해체되었고, 비행단 소속의 포대(현. 대공방어대)는 각 비행단에 예속시켰다. - 제106기지단 - 여의도기지의 기지지원 임무를 수행하던 부대였다.
- 제107기지단 - 대구기지의 기지지원 임무를 수행하던 부대로, 김포기지에 주둔하던 제11전투비행단이 대구기지로 이전하면서 제151전투비행대대와 함께 흡수되었다.
- 제131전술정찰비행대대 - 제39전술정찰비행전대 예하 비행대대. 2014년 해편. RF-4C 운용[14]
- 제132전술정찰비행대대 - 2012년 해편. RF-5A/B 운용.
- 제156전투비행대대 - 2012년 해편. F-4E 운용.
- 제205전투비행대대 - 2015년 해편. F-5/KF-5 운용.
- 제207전투비행대대 - 2017년 해편. F-5/KF-5 운용.
- 제238전투비행대대 - 2007년 해편. A-37 운용.
- 제700항공관제대 - 2020년 항공교통지원센터로 변경되었다.
- 군수사령부 예하 군수전산소 - 2020년 해편. 군수사 정보통신실로 개편.
담당하고 있던 항로관제업무를 건설교통부[13]로 이관하면서 해편되었다.
창설 당시에는 제7항로보안단 예하 부대였지만 1975년 공군본부 직할로 예속 변경되었다. 이후 2012년 전국에 흩어져있던 예하 부대의 대부분이 파견되어 있던 곳(사령부, 비행단 등)으로 이관되고, 남은 중앙부서 및 일부 파견대가 공군기상단으로 승격되었다.
첩보수집 업무 및 그를 위한 교육을 담당하였다.
정보수집 업무 및 그를 위한 교육을 담당하였다.
해당 문서 참조.
2001년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인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
5. 관련 틀
제1야전군 | 제3야전군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군관구사령부 | 제2군관구사령부 | 제3군관구사령부 | 제5군관구사령부 | 제6군관구사령부 | |
육군전투사령부 | 군수기지사령부 | 울산경비사령부 | 동해안경비사령부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 |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 방공포병사령부 | 육군유도탄사령부 | 제2군수지원사령부 | 제3군수지원사령부 | |
시흥지구전투사령부 | 김포지구전투사령부 | 백야전사령부 | 옹진지구전투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6군단 | 제8군단 | 제9군단 | 제11군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군단 | 해체된 군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2사단 | 제20사단 | 제23사단 | 제26사단 | 제27사단 | |||
제29사단 | 제30사단 | 제33사단 | 제38사단 | 제51사단 | |||
제57사단 | 제61사단 | 제62사단 | 제63사단 | 제65사단 | |||
제67사단 | 제68사단 | 제69사단 | 제70사단 | 제71사단 | |||
제76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사단 | 해체된 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103보병여단 | |
제5공수특전여단 | 제13공수특전여단 | 제205특공여단 | |
파일:제6포병여단 마크.png | |||
제6공병여단 | 제6포병여단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0기계화보병여단 | 제20기계화보병여단 | 제21기계화보병여단 | 제57보병여단 | |
제58보병여단 | 제59보병여단 | 제62기계화보병여단 | 제76기계화보병여단 | |
제77보병여단 | 제78보병여단 | 제79보병여단 | 제80보병여단 | |
제90기계화보병여단 | 제91기계화보병여단 | 제92기계화보병여단 | 제109보병여단 | |
제11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30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25보병여단 | 제75기계화보병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공수특전단 | 특수임무단 | 제10방공단 | 제30경비단 | |
제33경비단 | 제11정보통신단 | 제13정보통신단 | 제106정보통신단 | |
제108정보통신단 | 제109정보통신단 | 제111정보통신단 | 제1107공병단 | |
제1116공병단 | 제1118공병단 | 제1119공병단 | 제1120공병단 | |
제1170공병단 | 제1173공병단 | 제1항공단 | 제8항공단 | |
제16항공단 | 제31항공단 | 제60항공단 | 제61항공단 | |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 육군중앙경리단 | |
육군지형정보단 | 제11포병단 | 제12포병단 | 제39동원지원단 | |
제6포병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독립기갑연대 | 제302경비연대 | 제306경비연대 | 제706특공연대 | 제707특공공정연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 상 작 전 사 령 부 |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 ||||
제1군단 | ||||
제1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 ||||
제9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 ||||
제25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경기도 양주시 남면 | ||||
(구)제30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
제2군단 | ||||
(구)제27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 ||||
제3군단 | ||||
(구)제2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강원도 양구군 남면 | ||||
제5군단 | ||||
제28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 ||||
제7군단 |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제8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구)제26기계화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구)제8군단 | ||||
제22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강원도 고성군 | ||||
(구)제23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강원도 삼척시 | ||||
제 2 작 전 사 령 부 | ||||
제53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
육 군 본 부 직 할 | ||||
수도방위사령부 | ||||
제52보병사단 신병교육대 | ||||
경기도 광명시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군사영어학교 | 육군제2사관학교 | 해군제2사관학교 | 공군제2사관학교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국군 부대 | ||||
사관학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주월한국군사령부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자이툰부대) |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국군 부대 | |||||
파병부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국군 마산병원 | 국군 창동병원 | 국군 원주병원 | 국군 부산병원 |
의무를 담당하는 부대는 의무부대 문서 참고.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국군 부대 | ||||
국군병원 |
6. 관련 문서
[1] 작전지역과 부지는 12, 21사단과 3포병여단 등으로 넘어갔다.[2] 본래 제6군단 예하였었다.[3] 그래서 경례 구호도 '태권'이었다. 1953년 제주도에서 제1훈련소를 근간으로 창설되어 59년에 20사단과 통·폐합되어 해체된 부대. 사단 마크는 번개 모양이 2, 주먹 모양이 9를 의미하였으며 이 휘장의 주먹은 초대 사단장인 최홍희[15] 소장의 오른손을 그의 부인이 그린 것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주먹 부대로 불리기도 했으며 그 외에 초대 사단장이 신익희를 기린다는 의미로 익크 부대라는 별명을 지어주기도 하였다.[4] 동시에 경북남부지역과 대구를 위수지역으로 하던 50사단이 대구경북지역의 향토사단으로 바뀌었으며, 경북북부지역을 담당하던 36사단이 강원도의 향토사단으로 자리잡았다.[5] 51사단이 해체되면서 가평으로 이전하여 수도사단을 대체하던 32사단이 다시 원래대로 충청남도로 복귀했고, 수도사단은 본래의 주둔지로 돌아왔고, 동시에 32사단이 남긴 기계화장비를 인수하여 수도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6] 무적태풍부대와는 헷갈리지 말자.[제명] 여순사건으로 인해 제명됨[8] 비슷한 경우로 10,18은 발음상 비속어라 사용하지 않는다[제명] [10] 2군단(7, 15, 27, 76), 3군단(2, 12, 21), 8군단(22, 23), 직할(11, 36)[11] 1군단(1, 9, 25, 30, 72), 5군단(3, 6, 8, 66, 75), 6군단(5, 26, 28, 65, 73), 7군단(수도, 20), 수도군단(17, 51, 55)[12] 현재의 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13] 현재의 국토교통부 항공교통본부.[14] 해당 부대가 F-4C를 운용한 세계 최후의 군부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