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23:38:36

네모바지 스폰지밥/해외 공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네모바지 스폰지밥
파일:네모바지 스폰지밥 넷플릭스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6,#010101><colcolor=#000,#e5e5e5> 등장인물 등장인물기타 등장인물시민들등장 생물등장 빌런가족등장 괴물극장판 등장인물
프로그램 구성 에피소드 분류회차 목록 스페셜 에피소드설정설정 오류OST집게리아비키니시티메롱시티게살버거징징이의 시간여행직원교육용 비디오마법의 소라고동눈싸움 대작전캠핑은 즐거워!벼룩의 습격
미디어 믹스 극장판뮤지컬스핀오프게임
기타 관련 문서 분류제작진해외 공개관련 밈2차 창작비판 및 논란삭제 및 수정 장면스티븐 힐렌버그 }}}}}}}}}

1. 개요2. 대한민국
2.1. EBS (2001~2009)2.2. 재능방송 (시즌 1~3, 2002~2005)2.3. 니켈로디언 코리아 (시즌 4~13 극전반, 2005~2022)2.4. 투니버스 (2007~2008, 2012~2014, 2022~)
2.4.1. 시즌 13 (2023~2024)2.4.2. 시즌 14 (2025)
2.5. 브라보키즈 (2025~)2.6. 카툰네트워크 (2025~)2.7. KBS Kids (2025~)2.8. 애니플러스 (2025)2.9. 애니맥스 코리아 (2025)2.10. IPTV/OTT 서비스
3. 일본4. 중국5. 대만6. 튀르키예7. 러시아8. 북마케도니아9. 둘러보기

1. 개요

미국 애니메이션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해외 공개를 서술한 문서.

2. 대한민국

2001년부터 EBS에서 방영한 것을 시초로 재능방송, 니켈로디언 코리아를 거쳐 2025년 기준으로 투니버스를 포함해 총 4곳의 방송국에서 방영되고 있다. 넷플릭스[1]쿠팡플레이[2]를 통해 스트리밍하고 있다.[3]

한국에서도 니켈로디언의 애니메이션들 중에서도 독보적인 인기와 인지도를 자랑한다. 짱구는 못말려, 도라에몽, 원피스, 명탐정 코난 등과 더불어 국내 방영되고 있는 외국 애니메이션들 중 20년 넘게 한 가지 시리즈가 종영되지 않고 새로운 에피소드가 계속 나오고 있는 몇 안 되는 애니이기도 하다. 2025년 기준 한국 방영 [age(2001-01-01)]주년을 맞이했다.

미국 만화라서 현지화는 하지 않았지만, 애초에 특정 국가가 아닌 바닷속 세계라는 점에서 캐릭터들 이름과 지명 등은 국내 정서에 맞게 조금 변경되었다. 또한 방송사의 변경과 번역가의 역량에 따라 일부 캐릭터의 이름이 바뀌었다. 중간에 사정 때문에 방송사마다 등장인물 이름이 약간씩 다르다.[4] 예를 들어 퐁퐁부인(EBS판은 빵빵부인)은 퍼프 선생으로 영문판 이름으로 교체됐으며, 인어맨과 조개소년(EBS판은 조개청년)도 머메이드맨과 굴보이로 변경됐으나 얼마 안 가 다시 인어맨과 조개소년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현재는 투니버스판을 방영하고 있으므로 최신 방영분에서 사용하는 명칭들로 알고 있으면 된다.[5]

여담으로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에 스펀지송, 또한 스폰지밥 관련 블로그 포스팅 등이 메인에 올라오면 스폰지밥이 맞냐 스펀지송이 맞냐 하는 원조 가리기 릴레이가 펼쳐진다. 애초 원제가 스폰지이긴 하지만 국내에서 EBS가 먼저 스펀지송으로 들여왔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는 남은 상황.[6]

재능TV/니켈로디언 코리아판과 EBS판은 각각 두 실력파 성우인 전태열 성우와 김승준 성우가 주인공을 더빙했는데, 보통 자신이 쭉 보고 들었던 성우를 더 선호하게 된다. 스폰지밥이 국내에 처음 방영됐을 땐 김승준 성우의 스펀지송이 더 유명했으나, 현재 인지도 면에서는 스폰지밥이 더 알려져,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태열 성우의 목소리가 대부분 익숙하지만 EBS 시절부터 봐온 사람들은 미청년 전문 성우인 김승준오인성, 김민석이 더빙한 EBS판을 선호한다.[7] 공식 수입사 파라마운트+측에서는 재능TV 번역본을 정사로 여기고 있다.

각각의 방송국마다 장단점이 있다. EBS는 대부분의 한글화 및 노래 더빙, 초월 번역이 호평받았고, 재능TV는 이인성 성우를 비롯한 성우들의 애드립 및 연기와 전회차 방영이, 니켈로디언 코리아는 성우 기용 증가와 재능TV 계승이, 투니버스는 새 시즌 방영과 재능TV 시절의 레퍼런스가 호평받는다. 반면, EBS는 일부 회차 미방영 및 장면 편집, 재능TV는 중복 캐스팅과 대부분의 노래 자막 처리, 니켈로디언 코리아는 일부 캐스팅 교체와 매끄럽지 못한 번역, 투니버스는 타이틀 카드 자막 처리와 더더욱 매끄럽지 못한 번역[8]이 단점으로 꼽힌다.

2018년 9월, 대원미디어니켈로디언 코리아의 모기업이었던 SBS 바이아컴과 라이센스 위탁 계약을 맺었다. 2022년 니켈로디언이 한국에서 철수한 이후로는 대원미디어가 캐릭터 판권을 소유하고 있다. 2021년에는 행사 소식이 없었으나, 2022년에 키움 히어로즈와 협업해 한정판 스폰지밥 상품들을 출시했으며, 2023년엔 용산 대원뮤지엄에서 스폰지밥을 테마로 한 전시회와 테마 카페를 오픈했다.

<rowcolor=#000> 성우극회 참여한 소속 성우
KBS 성우극회[10] 강구한, 고재균, 김관진†, 김민석, 김승준, 김지혜, 김현수, 남도형, 문관일, 문선희, 박영재, 박하진, 소연, 송기원, 양석정, 오인성, 온영삼, 위훈, 유동균, 윤용식, 은영선, 이장원, 이정구, 장광, 장승길, 전숙경, 조민수, 최덕희, 최문자, 홍진욱
MBC 성우극회[11] 고성일, 김호성†, 문남숙, 방성준, 송준석, 안지환, 양준건, 우정신, 이인성, 정재헌, 최석필, 최한
EBS 성우극회[12] 국승연, 김창기, 박경찬, 엄상현, 이소영, 이영아, 이채진, 장경희, 전태열, 하성용
CBS 성우극회 진영
대교방송 성우극회[13] 전광주, 차영희
CJ ENM 성우극회 김동현, 김명준, 김보영, 김신우, 김윤기, 김현심, 박만영, 박이서, 소정환, 시영준, 신용우, 양정화, 유혜지, 이달래, 이우리†, 이호산, 정명준, 정유미, 정유정, 정혜원, 채림, 최승훈, 현경수, 홍범기, 황동현
대원방송 성우극회 강시현, 김보나, 김현욱, 서반석, 이재현, 이지현, 이주승, 최낙윤
비소속 김종국, 김지성, 김태균, 박조호[14], 정찬우, 설가은, 황로이

2.1. EBS (2001~2009)

EBS가 2001년 7월 4일부터 11월 15일까지[15] 네모네모 스펀지 송[16]이란 제목으로 시즌 1~2를 한국에 첫 선을 보였으며 이후 2002년 8월 26일부터 10월 29일까지(시즌 3), 2006년 6월 13일부터 6월 26일까지(시즌 4 초반), 2007년 11월 29일부터 같은 해 12월 말까지(시즌 4 최후반~시즌 5 중반[17]) 방영했다.

또한 재방송에서 2002년부터 2004년 2월 28일까지 시즌 1부터 시즌 3까지 재방송을 했고, 2006년 1월 2일부터 <말썽꾸러기 띠떼프>의 후속으로 편성돼 6월 12일까지 평일 오후 7시마다 시즌 1부터 시즌 3까지 2차로 다시 재방송을 했고, 2006년 6월 27일부터 2008년 2월 22일까지 시즌 1부터 시즌 4 초반까지 3차로 재방송하였고, 그리고 2008년 7월 14일부터 2009년 2월 2일까지 월~수요일 오후 7시마다 시즌 1부터 시즌 5 중반까지 4차로 재방송을 했고, 이후 마지막차의 시즌 1부터 재방송으로 2009년 2월 3일부터 종영되기 전에 8화까지 앞두고 같은 해 2월 18일까지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18]

PD는 박미나(시즌 1~3)/최지현(시즌 4 초~중반)/조성희(시즌 4 종반~시즌 5), 번역은 김효정이 맡았다.

초기에는 EBS판 스펀지송의 인지도가 높았다. 먼저 방영되었는 데다가 무엇보다 대사가 깔끔하고, 시끌벅적한 애니메이션인 만큼 성우들 또한 싸우거나 투닥거리는 장면 등을 동시 더빙할 때에도 얼버무리지 않고 잘 소화해냈으며, 문장에 내용이 잘 담겨 있어 라디오로 청취해도 될 정도다. 20년 넘게 지난 지금 와서 봐도 전혀 거부감 없이 잘 볼 수 있게 되어있다. 어린이가 보기엔 이해가 어려운 풍자와 같은 부분들 또한 그대로 더빙되어 있다.[19] 다만 스펀지송은 새로운 에피소드 더빙이 거의 되지 않아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히 재능TV판의 인지도가 앞서게 되었다.

EBS판의 경우, 지상파 더빙작의 특성상 스펀지송 배역을 제외한 일부 성우들이 1인 다역을 맡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기도 했다. 또한 재능판에서 스폰지밥을 담당한 전태열 성우도 EBS판에서 가끔씩 단역을 맡기도 했다. 그래도 EBS는 자사 성우극회가 있었기에 중복이 재능판보다는 그나마 덜했다.[20]

번역 부분에서는 EBS판은 속담이 많이 들어갔고[21] 할로윈 같이 서양권의 문화를 다룬 에피소드에서는 만화 내에 자막으로 주석을 달면서 이해를 돕기도 했다. 그리고 몇몇 말장난을 초월 번역하다시피 했는데[22] 재능방송과 닉 버전은 대부분 직역해서 내보냈다.

또한 타임카드 등 여러 클로즈업 씬에 나오는 자막들도 대놓고 한글로 번역해서 내보냈다.[23] 거기다 글씨체까지 원판과 비슷하게 편집했다.

각 방송국의 대사 처리에도 차이가 있는 편인데, EBS판에서는 노인층을 제외한 엑스트라들이 대부분 스펀지송에게 존댓말을 써서 성인층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지만[24], 재능TV판은 엑스트라들이 스폰지밥한테 대부분 반말을 쓰기 때문에[25] 스폰지밥이 약간 청소년 같은 느낌이 되었다. 또한 플랑크톤에 대한 호칭도 차이가 있는데, 재능TV판에서는 악당이라서인지 스폰지밥이 플랑크톤에게 반말을 하지만[26] EBS판에서는 '아저씨'라고 부르며 존댓말을 한다.

또한 EBS판은 옛날 옛적 스펀지송이 편에선 스펀지송과 별가, 깐깐징어가 원시인으로 등장하는 걸 그대로 연기했는데 성우들의 더빙력을 감상할 수 있다.[27]

EBS의 경우 1화의 <Livin' in the Sunlight, Lovin' in the Moon Light>와 괴짜악단 편의 Sweet Victory를 제외한 대부분 노래를 더빙했는데 그 중에서도 찢어진 바지가 대표곡으로 많이 알려졌다. 김승준노래 실력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EBS 같은 경우에는 교육방송이다 보니 아이들에게 부적절한 에피소드는 아예 방영하지 않거나 일부 장면을 편집했다. 시즌 3의 '괴상망칙 냄새버거'[28]와 '인어맨과 조개소년 4'[29]는 부적절한 이유로 미방영되었으며 '무서운 경호원'(보디가드 구합니다!) 편에서 스펀지송이 징 달린 신발로 수틀리면 졸라(살인마 부치)의 눈에 올라오는 장면은 짧게 편집해서 내보냈다.[30] 또한, '집 밖은 싫어!'(자나깨나 몸조심) 편에서 실사 고릴라[31]가 나와서 별가(뚱이)와 파다(다람이)를 자루에 묶어 넣어 마구 두들겨 패는 장면과 '버거 천국 동산'(집게랜드) 편에서 스펀지송이 눈에 비눗물을 부어버리는 장면에선 아래 자막으로 "어린이 여러분, 절대 따라하시면 안 돼요!"라는 자막이 뜨기도 했다. 그 외에도, '놀이동산의 두 겁쟁이(놀이기구는 무서워!)' 에피소드에서 '끼아악윽 열차(공포의 주먹열차)'에 대해 두 시민이 대화하는 씬에서 열차를 타면 '척추뼈가 빠진다'는 대사와 스펀지송과 별가가 열차를 타고 난 후 직원이 둘의 척추뼈를 건네주는 장면이 편집되었다.

원판에 비해 대사를 순화시키는 경우도 있었는데, 〈나도 상 받고싶어〉에피소드에서 별가(뚱이)가 빗자루 손잡이로 버거천국호(집게리아) 바닥을 쓰는 모습을 본 손님의 대사인 "Hey, pal. You just blow in from Stupidtown? (이봐, 친구. 너 바보마을에서 막 온 거야?)"를 "이봐요, 지금 무슨 코미디 하는 겁니까?"로 의역한 사례가 대표적이다.[32]

에피소드의 타이틀 카드 같은 경우 '너무 너무 재미있는 X번째 이야기'로 바꾸어서[33] 내보냈다. 시즌 3까지는 '너무 너무 재미있는 X번째 이야기' 카드와 제목만 나왔으나, 시즌 4부터는 스펀지송 역의 김승준이 '너무 너무 재미있는 X번째 이야기'라는 문구와 제목을 읊거나 김승준이 '너무 너무 재미있는 X번째 이야기'라는 문구를 읊은 후 김승준이나 다른 성우[34]가 제목을 읊었다.

오프닝은 어린이들이 부른 노래에 원본에서 나오던 영어식자를 모두 없앤 수출용 오프닝을 사용하여 방영되었다.[35]

2000년대 후반 UCC 시절 판도라TV 같은 사이트에 돌아다니던 EBS판 에피소드들은 2010년대 이후 포털사이트와 동영상, 웹하드 사이트들의 저작권 단속과 업로더의 탈퇴, 활동 중단 등으로 인해 일부 에피소드는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36][37]

어째서인지 EBS판에서는 작중에서 뒤집개를 '뒤지개'라고 부른다.

성우들의 억양이 예스러워서 그런지, 스폰지밥 팬위키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북한 더빙판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 재능방송 (시즌 1~3, 2002~2005)

2001년 니켈로디언과의 방영권을 체결한 이후 2002년 10월 14일부터 11월 8일까지 시즌 1, 11월 11일부터 12월 24일까지 시즌 2, 12월 6일부터 19일까지 시즌 3 전반부(41~50화)를 방영했고, 이후 2004년 2월 16일부터 27일까지 시즌 3 후반부 에피소드(51~60화)를 들여와 2005년 12월 12일까지[38] 보글보글 스폰지밥이란 제목으로 재더빙해 시즌 3까지 방영하였다. 연출은 정재익 PD, 번역은 Arirang TV 미디어(1~50화)/오동희(51~60화). 난다 난다 니얀다, 썬더 일레븐과 더불어 자타공인 재능방송 방영작들 중 최고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 또한 1~3기가 전성기였던 만큼 재능방송 최고의 전성기를 안겨준 최고의 애니메이션. 사실상 스폰지밥의 올드시즌도 레전드이긴 하지만 초월더빙과 초월번역으로 한미 공통으로 전성기 시절을 같이 보냈다고 할 수가 있다.[39]

번역의 경우 의역이 덜 되어서 대화와 어휘가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약간 있고, 특이점은 방영 당시의 유행어를 활용했다는 점.[40] 그래도 원판의 위트를 나름 따라가려고 애쓴 흔적은 보여서 번역이 마냥 나쁘지만은 않은 편이지만 그것을 감안해도 편역이나 번안이 많다. 예를 들면,

이외에도 원판과 딴판으로 번역된 대사가 많지만 그래도 EBS와 달리 어린이들이 보기에 적합하게 고급 어휘는 거의 나오지 않아 어린이들이 보기에 문제가 거의 없다. 그리고 그 바뀐 대사들도 성우들의 연기 덕분에 기억에 남는 것도 한 몫 했다. 특히 이런 애드립과 대사들의 반 이상은 좀 과장하자면 이인성 성우의 공이 컸다.

또 재능TV 작품 답게 중복 캐스팅이 엄청난데 주연을 맡은 성우진들이[50][51] 구 시즌의 모든 캐릭터를 커버했고 전태열을 제외한 모든 성우가 조/단역으로 굴려졌고, 심하면 전태열마저 단역을 맡았다.[52][53] 하지만 성우들의 열연 덕분에 재능방송판은 더빙 잘 된 만화를 꼽자면(특히 미국 만화들 중에서는 1,2위를 다툰다.) 자주 상위권에 들 정도다. 성우들의 톤이 캐릭터와 잘 어울려서 스폰지밥 더빙판 중에선 가장 평가가 좋은 편이었다.

다수 노래는 더빙 없이 자막으로 내보냈으며, 괴짜악단 편에 나오는 Sweet Victory도 마찬가지로 무번안했으나 크리스마스 스페셜편 노래(#)나 F.U.N송(#)은 개사도 적절하고 EBS판 못지 않은 수준이다. 아무래도 다른 노래는 뭔가 어른의 사정 때문인 듯 보인다.

스폰지밥의 전성기 시절이였기 때문에 2차 창작은 대부분 재능방송 시절을 기반으로 제작된다.[54]

2.3. 니켈로디언 코리아 (시즌 4~13 극전반, 2005~2022)

국내에서의 뉴 시즌의 시작. 2005년 11월부터 재능방송은 스폰지밥 방영권을 온뮤직네트워크(훗날의 미디어넷플러스)[55]에 넘긴 후, 막 개국한 니켈로디언 코리아 채널을 통해 시즌 1~3은 재능방송에서 더빙한 것을 그대로 방영했고, 2007년 7월 16일부터 8월 24일까지 시즌 4부터 시즌 5 90화를, 91~92화는 2008년, 2009년 8월부터 스폰지밥 뉴 에피소드라는 이름으로 시즌 5 93화 이후로도 비슷한 방식으로 시즌 13 극전반까지 들여왔다.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는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방영하지 않고 보통 미국 본토에서 방영한 뒤에 방영했기 때문에 순서가 상당히 뒤죽박죽이었다. 이 때문에 VOD 출시는 다소 느린 편이었다. 연출은 조정란 PD, 번역은 최일하가 맡았었다.

니켈로디언 코리아 채널에서 방영하기 때문인지 2009년경부터 은근슬쩍 원제에 가장 가까운 네모바지 스폰지밥[56]으로 바꿔서 방영하는 중이다.

닉판은 기본적으로 번역이 직역에 가깝게 바뀌고 이전에 비해 원판 그대로 번역하는데, 등장인물 이름을 한국 이름에서 영어식으로 현지화 없이 보낸다거나[57] 한국 화폐를 달러로 바꿔 더빙하는 것(1000원→1달러, 300원→25센트)이 그 예시다.[58] 다만 그래도 일부는 재능방송판과 비슷하게 돌아가고 있다.[59][60][61]

또 자주 지적받는 점은 현지화의 일관성이 EBS판과 재능판보다도 떨어진다는 것이다. 퐁퐁부인을 퍼프 선생으로 바꾼 것은 연출자의 차이점 정도로 넘어갈 수 있고, 확실히 고정돼있지만, 스폰지밥을 제대로 봤나 싶을 정도로 센스적인 부분이 떨어진다. 인어맨과 조개소년을 머메이드맨과 굴보이로 개명했다가 세 차례나 재더빙 후 인어맨과 조개소년으로 돌아온다든지, 스폰지밥이 만든 방울 친구를 버블도 아닌 버블 '아저씨'로 번역했다가 얼마 안 가 방울이로 바꾼다든지, 심지어 오리지널 싱어롱에서는 재능판 재생속도가 원판보다 미묘하게 빠르고 배경음에 비해 목소리가 큰 등의 문제로 재더빙은 어쩔 수 없다 쳐도, 버젓이 한국에서 방영한 에피소드 제목들을 갑자기 원판 제목을 직역하는 것으로 바꿔버렸다. ex)스폰지밥, 날다→하늘을 나는 스폰지(The Sponge Who Fly)/괴짜악단→밴드가 좋아(Band Geeks)/나는 스타야→TV에서 본대로

또한 오리지널 싱어롱에서 나온 찢어진 바지 삽입곡의 경우 오역이 상당하다. "커다란 래리가 그를 눌렀네"를 "래리가 와서 가려주긴 했지만"으로, "모든 것이 날아가버렸지(망쳐버렸지)"를 "바지가 찢어져 하늘로 날아가자"로 한다던지, 그래도 이 경우는 연출자나 번역가도 워낙 오래된 에피소드라 까먹었다고 봐 줄수는 있어도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네"를 "금방 잊겠지만 교훈 하나 얻었네"로 번역한 것은 부정 못할 오역이다.

그리고 재능방송 시절에 비해 의역애드립이 꽤 줄어들기도 했다. 그래도 간간히 나오는 수준이다.[62] 웅이 아버지[63], 며느리도 몰라[64], 사과상자[65]. 그리고 님과 함께의 가사를 인용[66]하기도 했고, 개그맨 남희석의 유행어 '바라바라바라밤'도 나왔다.[67]

스폰지밥(전태열), 뚱이(이인성), 징징이(전광주), 플랑크톤(박만영)처럼 재능방송 시절부터 원작과 싱크로율이 높았던 캐릭터를 제외하면 대부분 원판 목소리와 비슷하거나 인지도가 높은 성우들(최한, 우정신, 문선희, 정재헌, 홍진욱 등.)로 교체되었다.[68] 그래도 중복 캐스팅이 많지만[69], 재능판에 비해서는 게스트를 많이 불러주고 있다.[70] 해설도 자주 바뀌면서 전태열 성우가 중복 더빙을 하기도 했다.

2016년에 신 에피소드들을 방영하면서 일부 투니버스 성우들[71]이 참여했다.[72] 시즌 10 이후에는 대원방송 성우들도 출연하고 있다.[73]

원판에 가까운 느낌을 내기 위함이었는지 EBS판이나 재능판에 비해 주연캐릭터들 몇몇은 원판과 비슷한 음색을 내는 성우로 바뀌었다. 그러다보니 진주처럼 호불호가 갈리는 캐릭터도 있었다.[74]

2019년 시즌 11 '야간 집게리아' 방영분에서는 유튜버 꾹TV가 더빙에 참여하였다.[75]

2009년 8월부터는 새 오프닝 노래 가수로 은지원을 섭외했다! 2017년 7월 21일부터는 HD 리마스터링 오프닝을 새로 들여오면서 유세윤이 부른다.

2012년 12월 24일, SBS에서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스폰지밥 크리스마스를 방송했다.[76] SBS가 서양 애니메이션을 방송한 건 Winx Club 이후 4년만이다. 그리고 2012 SBS 가요대전레드카펫을 장식했다.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2011년에 SBS 계열사로 편입돼서 가능했던 것이다.

재능TV에선 잠깐 지나가는 자잘한 부분까지 자막을 띄웠지만 닉에서는 시즌 4~시즌 5 중반까지는 자잘한 부분은 자막 없이 육성으로만 말했다가, 시즌 5 중반 이후로 가끔씩 영어를 한글로 수정하고 있다. 투니버스 방영판의 경우 원판 제목의 타이틀 카드 밑에 한글 명칭 자막이 나오는 것을 제외하면 자잘한 부분은 영어로 표시되지만 음성을 한국어로 쓰고 있다.

여담으로 니켈로디언에서 일부 장면을 편집하고 있는 예시로는 시즌 7 '집게리아 핫도그' 에피소드에서 인형 탈을 쓴 징징이가 홍보를 하는 모습을 본 엄마가 "너도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으면 저렇게 될 거야" 라 말하는 대사가 "고생이 많으시네 정말 힘드시겠다"[77]로 변경되어 징징이를 걷어차는 장면이 통편집되었고[78], 시즌 11 '야간 집게리아' 에피소드에서 스폰지밥이 거대 거미다리에 찔리는 장면이 통편집되었다. 그리고 시즌 12 '텅빈머리 협회' 에피소드에서 스폰지밥이 병에 든 침을 마시는 장면이 부분 편집되었다. 평소에 더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장면도 그대로 방영했던 걸 생각하면 의외다. 다만 투니버스는 무삭제판이다.

미국과 한국의 방송 송출 방식의 차이로 뚱이의 노래 편에서는 중간에 나오는 타임 카드가, 스폰지밥 최고의 생일 편에서는 파트1끝에 나오는 '잠시 후 계속'이라는 카드와 파트2가 시작하기 전에 나오는 타이틀 카드가 삭제되었다. 뚱이의 노래 편의 경우는 중간에 광고를 넣기 위해 페이드인, 아웃 효과를 넣는 과정에서 삭제된 것으로 보이며 최고의 생일 편의 경우는 파트 분리를 하지 않아서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채널 폐국 당일인 2022년 6월 30일엔 시즌 9 누가 누가 잘 먹나? 편, 굿바이 게살버거? 단편 에피소드 재방송을 끝으로 조기종영했다. 채널 폐국으로 방영되지 못한 시즌 12, 시즌 13 미방영 에피소드들은 이후 투니버스를 통해 방송하게 된다.

2.4. 투니버스 (2007~2008, 2012~2014, 2022~)

2007년 12월 3일부터 2008년 11월 28일까지 약 1년 동안 니켈로디언과 계약을 맺어 투니버스에서 보는 닉툰이란 블록 편성으로 천재소년 지미 뉴트론, 대니 팬텀과 함께 시즌 1~시즌 4를 방영했다.[79] 마지막 방영일인 11월 28일엔 잘가, 스폰지밥!이란 타이틀로 저녁 7시부터 새벽 1시까지 릴레이 방송을 하고 종영했다. #

투니버스가 어린이 채널로 개편된 2012년 8월 15일부터 2012년 10월 21일까지 시즌 1~2를 재방영한 뒤[80] 2013년 7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17일까지 시즌 3~5[81]를 방영했다. 본방 종료 이후엔 평일 밤 10시, 주말 아침 7시에 재방송하다가 2014년 8월 11일 오후 2시에 시즌 3 41회 재방송을 끝으로 8년 간 TV판 방영이 끊겼었다. 오프닝은 재능판 오프닝에서 로고만 수정했고 엔딩은 수출용 오프닝을 짧게 편집해서 방영했다.

TV판 방영 4년 후인 2018년 11월 14일에는 극장판 스폰지밥 3D를 방영했고 2020년 4월 2일에는 극장판 네모바지 스폰지밥을 방영했다.
시즌 7~시즌 12 예고 영상

이후 CJ ENM이 니켈로디언의 모기업인 파라마운트 글로벌과 제휴를 맺고 TVING파라마운트+ 브랜드관을 신설하여 2022년 7월 1일부로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폐국되어 한동안 파라마운트+[82] 또는 불법 녹화본으로 볼 수밖에 없었으나, 동년 8월 1일부터 투니버스로 옮겨지며 2014년 이후 8년 만에 TV판을 방영하기 시작했다.

파라마운트+와 투니버스에선 니켈로디언 코리아와 재능방송의 영상을 폐기하고 음성만 가져와 원판에 씌워 리마스터했으며, #1 #2 #3 니켈로디언에서는 편집된 장면들이 여기서는 무삭제로 나온다.[83] 무삭제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호평받지만 재능방송, 니켈로디언 코리아처럼 식질을 하지 않고 영어판 영상에 일반 자막으로 대충 때우거나 아예 무자막으로 처리한 점에서는 비판을 받는다.[84] 니켈로디언 코리아는 제목이나 에피소드 타이틀 자체를 한글화 했고 소품이나 효과 자막도 대부분 한글화했다. 음성 또한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는지 구시즌은 피치가 낮아졌으며 음성 자체가 뭉개지거나 BGM이 보이스보다 음량이 높아 대사가 잘 안들리는 에피소드도 있거나[85] 아예 재더빙을 진행하거나 누락시킨 에피소드도 일부 있다. 시즌 4 신기한 여행 편에선 음성 편집을 제대로 하지 않아 에피소드 종반부에서 영상과 음성의 싱크가 어긋난 상태로 방영되기도 했다.

2022년 8월 1일부터 2022년 10월 22일까지 시즌 7부터 시즌 12까지 방영되었고 계속해서 재방하고 있다. 니켈로디언 코리아 때와는 달리 시즌을 거꾸로 방영했고[86], 새로운 에피소드를 방영할지는 미지수였지만 이후 Over The Radio에서 전태열 성우에 의해 시즌 13의 더빙 작업이 시작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87]

2023년 10월 9일부터 2024년 2월 12일까지 시즌 1~6를 방영했다. 시즌 1 1~2화 한정으로 잠시 12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되었으나, 3화부터 다시 7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하고 있다.

2023년 10월 28일, 투니버스의 편성 오류로 방송 순서가 꼬여 18화(내 고향 텍사스, 불량배 수업)가 시즌 1 마지막회로 방영되었으며, 시즌 2 역시 방송 순서가 바뀌어 2023년 11월 17일바닷속의 크리스마스 재더빙판을 마지막회로 방영했다. 2023년 12월 2일엔 시즌 3 15화(달려, 핑핑아 편, 청춘을 돌려다오 편)가 국제적으로 방영 금지된 관계로 시즌 3 16화(집게사장 재탄생 편, 자나깨나 몸조심 편)를 15화로 바꿔서 방영했다.

2023년 12월 24일~12월 25일엔 크리스마스 특집 편성으로 시즌 2 바닷속의 크리스마스 재더빙판과 시즌 8 스폰지밥 크리스마스가 편성되어 시즌 4 본방송이 2023년 12월 26일로 연기되었다. 2023년 12월 30일엔 시즌 5 2화(평범한 요리사, 어둠은 무서워)가 영상 수급에 문제가 생겨 시즌 6 본방송이 끝난 다음날인 2024년 2월 11일에 방영됐고[88], 시즌 5 12화(스폰지밥의 아틀란티스)는 방영 일정이 미뤄져 2024년 2월 12일에 방영됐다.

2024년 6월 18일을 끝으로 TVING파라마운트+ 서비스 종료로 인하며 방영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였으나, 한 블로그 유저가 투니버스에 문의한 결과 티빙과 파라마운트의 계약 종료와 투니버스의 니켈로디언 타임 방영은 별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2025년 기준으로 매주 오후 9시 30분에 방영하고 있다.

2025년 7월 31일을 끝으로 니켈로디언 타임이 종료되어 본 작품을 포함한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편성이 중단됐으나, 투니버스는 니켈로디언 프로그램의 완전한 종영은 아니라고 밝혔다. 8월 9일 주말 오전 7시부터 시즌 1부터 재방송을 하고 있다. #

타이틀 카드는 자막 처리했으며 본편에서는 밀크쉐이크 자격증 편의 20년 전 타임 카드, 게시판 대소동 편의 '돈을 더 벌자!', 스폰지밥 최고의 생일 편의 '고마워요, 스티븐 힐렌버그'만 자막 처리되었다.

2.4.1. 시즌 13 (2023~2024)

<colbgcolor=#ff6><colcolor=#000>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삽입곡 연출 김정아
삽입곡 믹싱 이성주
종합편집 정회범
녹음 이철진
믹싱
번역 김윤희
우리말 연출 마상현
우리말 제작 투니버스
시즌 13 1쿨 예고 영상

2023년 1월 10일부터 2023년 2월 21일까지 시즌 13의 1쿨 분량(268~280회)이 방영됐으며, 272회부터는 투니버스 자체 더빙으로 방영된다.[89] 주요 등장인물 성우들은 그대로 유지했다. 연출은 마상현 PD, 번역은 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을 번역했던 김윤희가 맡았다. 니켈로디언 더빙판과 재능TV 더빙판의 요소들이 혼용된 것이 특징.[90]

투니버스에서 더빙을 했기에 투니버스 11기 전속 성우[91]들이 단역으로 기용됐으며, 이외에 윤용식, 최낙윤, 서반석, 김보나, 문남숙, 정재헌, 박영재, 온영삼이 게스트 성우로 참여했다.[92] 또한 여전히 자막이 없는 파라마운트+판 시즌 13과 달리 투니버스 방영판은 재능방송 시절처럼 배경을 번역한 자막이 삽입되었다.

이미 니켈로디언에서 선방영된 시즌 13 에피소드 4편을 다시 방영하여 시작된다. 시즌 13부터는 방송 심의가 강화되어서 그런지 7세 이상 시청가에서 12세 이상 시청가로 올렸고, 방영 시간대도 이전보다 늦은 8시~9시 밤 시간대에 방영됐다.

2024년 2월 17일부터 2024년 3월 30일까지 TVING 내 파라마운트+ 브랜드관을 통해 공개된 시즌 13 2쿨 분량(281~293화)을 방영했다. 2쿨 분량은 투니버스 자체 더빙이 아닌 관계로 시즌 1~12, 스폰지밥의 코랄캠프, 뚱이 쇼처럼 배경을 번역한 자막을 삽입하지 않았다.

2.4.2. 시즌 14 (2025)

<colbgcolor=#ff6><colcolor=#000>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프로듀서 류정혜, 조승연
종합편집 정회범
녹음 이성주
믹싱
번역 김윤희
우리말 연출 조정란
우리말 제작 투니버스
시즌 14 예고 영상

2025년 5월 13일 화요일 오후 9시부터 2025년 6월 24일까지 4편씩 방영했다. 시즌 13 1쿨처럼 투니버스 자체 더빙으로 방영되며, 배경을 번역한 자막도 부활하였다. 연출은 니켈로디언 시절에 스폰지밥 연출을 맡았던 조정란 PD가 맡았으며, 게스트 성우로는 정유미, 문남숙, 이주승, 홍범기, 정유정, 양정화 성우가 참여하였다. 시즌 13 1쿨에서 일부 캐릭터들[93]의 목소리를 맡은 게스트 성우들[94]과 투니버스 11기 전속 성우들은 이 시즌에서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해당 캐릭터들의 목소리는 기존 성우들이 중복으로 맡았다.

2.5. 브라보키즈 (2025~)

예고 영상
태평양 바닷속, 네모나고 노란 해면동물 '스폰지밥'과 친구들이 사는 '비키니 씨티'라는 해저도시에서 기상천외하고 유쾌한 일이 일어나는 애니메이션.
2025년 6월 21일부터 2025년 8월 2일까지 주말 밤 10시에 시즌 7을 방영했다. # 7세나 12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한 타 채널과 달리 15세 이상 시청가로 심의 등급이 상향되었다.

2025년 8월 3일부터 2025년 9월 14일까지 주말 오후 10시에 시즌 8을 방영했다.

2025년 9월 20일부터 시즌 9를 방영한다.

투니버스판과 비슷하게 원판 영상에 니켈로디언 더빙을 씌웠으며, 타이틀 카드는 독자적으로 자막을 달아 방송했다.[95] 후반부 에피소드는 타이틀 카드를 만들었다. '내가 무서워하는 건?' 편부터.

파일:쉬는 중(건들지 마!).png
본편은 자막을 포함해 아무런 수정을 거치지 않았으며, 데이트 코치 편의 [쉬는 중/건들지 마!]만 한글화되었다. 에피소드 초반부에 나온다. 나머지 영어 식자는 자막을 안 달아도 등장인물들이 식자를 읽어 딱히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지만 데이트 코치 편은 사진으로만 나와서 이해하는 데 지장이 있을 것이라 한글화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의 얼굴마비 편죽음의 경주 편도 무수정으로 방영했다.

2.6. 카툰네트워크 (2025~)

예고 영상
2025년 7월 7일부터 매주 월, 화 오후 3시 30분에 시즌 9을 방영 중이다. 투니버스판과 비슷하게 원판 영상에 니켈로디언 더빙을 씌웠으며, 독자적으로 자막을 달아 방송했다.

니켈로디언의 대표작인 네모바지 스폰지밥이 니켈로디언의 경쟁사인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다.유튜브 영상

엔딩곡은 오프닝의 마지막 부분을 사용했다.

2.7. KBS Kids (2025~)

2025년 8월 6일 오전 9시부터 시즌 9을, 같은 해 8월 10일 오후 12시부터 시즌 8을 방영하고 있다.

2.8. 애니플러스 (2025)

2025년 8월 8일 오전 7시부터 시즌 9 1~6화를 방영했다. 본래 시즌 7이 편성될 예정이었으나, 본방송 이틀 전에 편성 정보가 변경되었다.

타이틀 카드에 자막만 씌우고 나머지는 편집을 하지 않았다. 소리 없이 화면으로만 나온 20 years earlyer...(20년 전...) 타임 카드도 자막을 쓰지 않았다.

신기록은 나의 것!, 뚱이 맨에 삭제된 장면이 있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삭제 및 수정 장면 참고.

엔딩곡은 180회를 제외하고 방영하지 않았다. #

이로써 애니플러스는 스폰지밥 에피소드를 가장 적게 방영한 방송국이 되었다. 한 시즌에만 한정한다면 니켈로디언 코리아(시즌 13, 1~2화), 애니맥스 코리아(시즌 9, 1~2화)가 공동 1위이다.

2.9. 애니맥스 코리아 (2025)

2025년 8월 16일부터 매주 화~토 오전 4시에 시즌 1을 방영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에스엠지홀딩스 판권하에 방송되며, 재능방송 방영시절의 에피소드 제목을 그대로 따라간다. 타이틀 카드에 자막을 씌우고 나머지는 그대로 방영하였다. 애니플러스 자회사라 그런지 자막 스타일이 비슷하다.

투니버스 방영분과 마찬가지로 영어로 나오는 삽입곡에 자막을 달지 않았다.

2025년 8월 25일 오후 5시에 시즌 9를 방송했다. 시즌 9 첫방송과 동시에 시즌 1도 2025년 8월 26일 14화를 마지막으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되었다. 시즌 9는 1, 2화만 방영(...)하였다. 심지어 예고편도 따로 제작이 됐는데 이것마저 내려간 상태, 이로써 애니맥스에서만 2번째 조기종영이 되었다.

애니플러스와 영상을 별도로 사용한다. 신기록은 나의 것!/뚱이 맨 편의 검열된 장면이 그대로 나왔다.

2.10. IPTV/OTT 서비스

2.10.1. B tv

시즌 1~13 징징이의 꾀병 편까지 재능/닉판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며, 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을 서비스한다.[96]

B tv VOD는 유일하게 재능/닉 코리아판 영상을 서비스하는 스폰지밥 VOD 서비스이다.

2.10.2. 기타

3. 일본

2000년 1월 8일부터 니켈로디언 재팬에서 시작하고 2009년 니켈로디언 재팬 폐국의 여파로 NHK 교육 텔레비전으로 이관되어 방영하고있으며,[100] 도쿄 MX,[101] 애니맥스의 블록편성 NickTime[102] 등에서 재방영한 이력도 있다. 2018년 니켈로디언 재팬이 다시 출범하였으나 2022년 재폐국되어 현재는 NHK 교육 텔레비전키즈스테이션에서만 방영하는 중. 나름대로 인기는 많은 편이지만[103] 자국 애니메이션들에겐 밀리는 편이다.[104]

니켈로디언 코리아 유튜브와 마찬가지로 니켈로디언 재팬 유튜브에서는 공식 NHK 교육 텔레비전 방영분의 영상을 취급하지 않으며[105] 음성도 변형되었다.

4. 중국

2006년 1월 29일부터 방영했으며 CCTV-1CCTV-14에서 방영했다. CCTV-1에선 2006년 1월 29일부터 2014년 4월 12일까지 방영했고, CCTV-14에선 2009년 8월 12일부터 2017년 2월 19일까지 방영했다. 이후 약 5년간 방송이 끊겼다가 2022년 11월 12일부터 재편성이 확정되어 동만세계 방영 시간대에 방영 중이다.[106]

2009년~2017년엔 주로 오전 10시, 오전 10시 30분, 오후 12시, 오후 9시, 오후 10시에 방영됐으며, 2022년부턴 오후 12시 30분부터 3시 20분까지 방영했다.[107]

방송 초기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4:3 비율 SD로 방영했으며, 2016년 7월 15일부터 2017년 2월 19일까지 기존 방영분을 리마스터해 필러박스로 방영했다.[108] 2022년 11월 12일 이후로는 스트레치로 방영하고 있다.[109] 풀 HD로 제작된 스폰지밥 냉동고 탈출작전같은 경우, 방영 초기엔 레터박스로, 방영 중기엔 팬&스캔으로, 방영 후기인 2022년 이후부터는 HD 원본 비율로 방송하고 있다. 간혹 검열해서 방영한 에피소드를 무삭제로 틀어주거나 무삭제로 방영한 에피소드를 검열해서 틀어주는 경우가 있다.

CCTV에선 시즌 1~시즌 8까지만 재방송하고 있으며, 시즌 9 이후는 빌리빌리아이치이에서 영어 더빙과 중국어 더빙을 VOD로 제공 중이다.[110]

5. 대만

海綿寶寶(하이몐바오바오)라는 이름으로 東森幼幼台에서 방송한다. 타이틀 카드가 나올 때 화수도 같이 나온다.
파일:絶命雙尊.png
레슬링 챔피언(시즌 6) 편의 타이틀 카드.

6. 튀르키예

2002년 4월 7일부터 방영했으며, 니켈로디언 튀르키예, CNBC-e, 닉툰 CEE, 니켈로디언 CEE를 통해 방영했다. 현재는 닉툰 CEE, 니켈로디언 CEE에서만 방영 중이다.

2002년 4월 7일부터 Sünger Bob Kare Şort란 타이틀로 시즌 1부터 시즌 7까지 니켈로디언 튀르키예 채널에서 더빙 방영했으나, MCD와 바이아컴의 의견 충돌로 2010년 5월 22일 니켈로디언 튀르키예 채널은 2년간 폐국됐었다.

이후 2012년 3월 1일 채널이 재개국하면서 이전에 방영했던 더빙판을 폐기하고 Sünger Bob Kare Pantolon이란 타이틀로 새롭게 재더빙해 현재까지 방영하고 있다.[111]

CNBC-e에선 2003년 9월 20일부터 니켈로디언 블록 편성 시간대에 방영했었으며, 2004년 11월 8일부터 2007년까지 자막판도 함께 방영했었다. 자막판 방영 당시 영상 자료. 이후 2012년 9월부터 2014년 10월 17일까지 재더빙판을 편성했었다.

7. 러시아

2000년 1월 1일부터 방영했으며, 니켈로디언 러시아(2000~2022), MTV 러시아(2009~2013), 2X2(2014~현재), TNT(2003~2016), NTK(2013~2017), U(2013~2015), Karusel(2019~2021), 니켈로디언 CEE, 니켈로디언 글로벌, 닉툰 글로벌을 통해 방영했다.

현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보이콧으로 모기업인 파라마운트 글로벌이 러시아 사업 철수를 결정해 2022년 4월 28일 니켈로디언 러시아가 송출 중단되어 러시아 본토에서는 2X2 채널[112]에서만 방영하고 있다. 러시아 외에선 니켈로디언 CEE[113], 니켈로디언 글로벌[C], 닉툰 글로벌[C]에서 러시아어 음성을 제공하고 있다.

시즌 1부터 시즌 4까진 영어 이름을 그대로 음차해 Спанч Боб Сквер Пэнтс로 방영하다가 극장판 네모바지 스폰지밥, 시즌 5[116]에선 성만 러시아어로 직역해 Спанч Боб Квадратные Штаны로 방영했고, 시즌 5 스폰지밥이 누구에요? 편과 시즌 6 이후부턴 이름도 러시아어로 직역해 Губка Боб Квадратные Штаны로 방영했다.

니켈로디언 러시아 외 채널에선 6세 이상 시청가, 12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한 반면, 2X2에선 본 작품에 성인 유머가 섞여있다는 이유로 16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하고 있다.

현지화된 오프닝[117]

8. 북마케도니아

Сунѓерот Боб Панталоновски(순게롯 봅 판타보놉스키)라는 이름으로 MRT1에서 방영한다.

9. 둘러보기


[1] 시즌 9 한정.[2] 시즌 8~13 한정.[3] 후술하듯이 원래 티빙에서도 모든 시즌을 서비스했으나, 파라마운트+와의 협업 종료로 내려갔다. 현재 서비스가 되고 있지 않은 시즌은 네이버 블로그나 웹하드 등지에서만 볼 수 있다.[4] 예외 - 플랑크톤('랑'과 '랭'), 진주, 컴퓨터 아내(캐런)[5] 한 채널에 반영구적으로 정착하기 전까진 성우, 명칭등이 자주 변경된 비슷한 사례는 짱구는 못말려, 명탐정 코난, 도라에몽 등이 있으며 자주 있던 사례들이다.[6] 재능방송판에서 스폰지밥 팬클럽 회장이라고 주장하는 누더기 선장이 나와서 스폰지밥에게 온 팬레터들을 읽는데, 내레이션으로 "서울에↗서↘ 스펀지송↗이↘" 라고 흘러나온다. 재능에서도 이런 논란을 인식은 하고 있었던 듯. 참고로 원래의 대사는 "Name and address withheld!(이름과 주소는 비공개!)"[7] 다만 뚱이(별가) 같은 경우는 EBS보다 재능방송이 더 높게 평가받는다. 일단 별가보다 뚱이라는 이름부터가 뭔가 재밌어보이는 단어고 뚱이를 맡은 이인성 성우가 인지도도 압도적이고 발군의 연기력으로 여러 웃긴 명대사를 많이 만들어냈으며 심지어 어떤 건 특유의 애드립 실력으로 초월더빙했다는 소리도 들을 정도니.[8] 래리 체육관을 래리 으로 번역했으며, 운전학원에 찾아온 집게를 본 퍼프가 자기 집도 아니면서 엔 웬일로 찾아왔냐고 묻는 것, 원문에서는 게살버거는 다 자신의 것이라고 말하는 플랑크톤의 대사를 "이 버거들 다 내가 먹을 거야!"로 플랑크톤의 계획인 세계정복, 미끼식당의 부흥과 전혀 맞지 않는 번역을 한 점과, 버블배스랑은 서로 친구나 이웃으로 지내는 스폰지밥이 갑자기 버블배스에게 존댓말을 쓰는 등.[9] 다만 EBS판이나 다른 매체에서 맡은 경우는 제외.[10] 성우들 전체적으로 최고침이자 최고령자는 온영삼.[11] 극회 내 최고참이자 최고령자는 이인성.[12] 극회 내 최고참이자 최고령자는 김창기[13] 극회 내 최고참이자 최고령자는 전광주[14] 본래 MBC 성우극회 출신이나 상습적으로 후배들을 폭행한 전적으로 영구제명됬다.[15] 그 이전엔 <소피는 말썽꾸러기>가 편성됐다.[16] 로고만 보면 띄어쓰기가 안 되어 있는 것 같지만, 오프닝 가사를 보면 '네모네모 스펀지 송'이라고 표기하고 있다.[17] 2007년 8월 1일 방영분{시즌 5 10화(90화(정확히는 (원판 및 니켈로디언 코리아판 기준)) '접시 닦기 소동'까지 방영했다. '괴상망측 냄새버거'와 '인어맨과 조개소년 4'는 방영하지 않았기에 89화로 조기종영.[18] 종영된 이후, 2009년 2월 23일부터 후속작으로 <아바타 아앙의 전설>이 방영하였다.[19] 플랑크톤이 자신을 대학 나온 지식인이라 말하여 타 등장인물들과 다름을 어필하는 장면과 무직인 별가를 비꼬는 장면 등. 대신 다른 것을 편집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서 직원 교육용 비디오 에피소드에서 집게사장이 한 말인 '돈은 항상 옳다'를 '돈 준다는데 뭘 못 하나'로 의역했다.[20] 참고로 EBS판에서 주역은 김승준, 오인성, 김민석, 최덕희[118], 장승길, 김관진KBS 출신(+MBC 성우 우정신[119])이 담당했고, 박웅선, 엄상현, 전태열, 이영아, 박경찬을 비롯한 EBS 성우들은 주로 조/단역을 맡았다.[21] 캠핑 에피소드에선 깐깐징어(징징이)가 클라리넷을 불기 시작하자 스펀지송(스폰지밥)이 마시멜로를 쏴서 저지하고는 괜찮냐고 묻자 "병 주고 약 주냐?"라고 했다. 또한 더러운 말 에피소드에선 게걸사장(집게사장)이 욕을 하는 장면에서 "운이 없으면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더니!"란 말을 한다. 또한 스펀지송이 게살버거 조리 비법을 까먹는 에피소드에서는 게걸사장에게 "꽉 막힌 구두쇠."라고 말하기도 했다.[22] 와장창 특공대의 아치 네메시스인 EVIL(Every Villain Is Lemon. 당은 청하다.)을 진짜나빠(짜로 증나게 쁘고 른 악당들)로 번역하거나, 컴퓨터 아내 캐런을 WIFE(Wired Integrated Female Electroencephalograph)라 부르는 장면을 나의 아내(이를 먹어도 지할 데 없을 때 내 대신 컴퓨터에 까는 프로그램)으로 의역했다.[23] 그 예로, 북극 황소 지렁이(알래스카 황소 벌레)를 설명할 때 각각 'Alaskan', 'Bull', 'Worm' 라고 쓰여진 타임카드가 나오는데 EBS판에서는 그걸 '북극', '황소', '지렁이'라고 한글로 번역해서 내보냈다. 또한 같은 에피소드에서 이에 대한 묘사가 나오는 타임카드도 역시 한글로 '크다', '무시무시하다', '분홍색이야'로 번역했다. 해당 블로그 글[24] 진주가 스펀지송을 아저씨라고 부른다.[25] 특히 경찰. EBS판에서는 경찰들은 모두 존댓말을 썼다.[26] 어디까지나 재능TV판 한정으로, 이후 닉 코리아 버전에서는 '아저씨'라고 부르며 존댓말을 한다.[27] 원시시대라는 설정을 반영해 발음을 은근히 바보같이, 또 약간 흐리게 했다. 스펀지송은 스펀지또, 별가는 벼우가, 깐깐징어는 까까 이런 식으로 말이다.[28] 생매장을 하는 장면이 나와 미방영되었다.[29] 징징이가 몸이 잘리거나 근육이 드러난 몸을 보이는 장면, 비키니시티 주민들이 스폰지밥 몸을 박살내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에 이것도 역시 미방영.[30] 또한 비슷한 시기에 EBS에서 방송되던 심슨 가족도 비슷한 현상을 겪었다.[31] 당연히 진짜 고릴라는 아니고 사람이 인형 탈을 쓰고 연기한 거다.[32] 재능판에서는 원래 의미에 가깝게 "이봐, 너 바보나라에서 왔니?"로 번역했다.[33] 정확히는 이 문구가 나오고 에피소드 제목이 나왔다.[34] 별가 역의 오인성이나 파다 역의 우정신[35] 스폰지밥 오프닝의 경우 2가지 버전이 있는데 첫 번째는 우리가 흔히 아는 버전이고, 두 번째는 영어식자가 전부 지워지고 글자가 나오는 부분을 스폰지밥 방울, 스폰지밥 얼굴, 바다 바위 등으로 대체한 수출용 버전이다. 재능, 닉 초기판의 경우는 전자를, EBS는 후자 영상을 가져왔다.[36] 공식 VHS/DVD와 VOD, 파라마운트+에서는 재능방송/닉 코리아판을 채택하였으며 EBS판은 별도의 다시보기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그나마 남아있던 녹화본은 한국 판권자인 CJ ENM에서 차단 처리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였다. 대신 징어 마을, 초콜릿 장사, 한입만 먹어봐! 그리고 보디가드 구합니다 편의 '보디가드'가 아닌 EBS판의 명의인 경호원으로 따오거나 수리수리 네모수리의 제목을 공식 니켈로디언 채널에서 사용 중이다.[37] 시즌 1~3 제외. (현재 기준 로스트미디어 갤러리에서 많은 에피소드들이 발굴되어서 볼 수 있는 게 전보다 늘어났다. 시즌4 74화, 75화, 76화, 77화, 79화, 80화, 시즌5 81화, 85화 제외)[38] 신문 TV편성표 확인 결과 12월 12일까지는 편성표에 스폰지밥이 있었으나 이후 날짜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방영권이 니켈로디언으로 이전된 듯하다.[39] EBS판은 논외로, 닉판이 재능판을 계승했다는 걸 감안하면 최전성기는 이채진, 진영, 국승연이 스폰지밥 더빙에 참여할 때까지였다.[40] 재능판에서도 속담을 활용한 적은 있다. '죄짓곤 못살아' 에피소드에서 뚱이가 자신의 초콜릿을 스폰지밥이 훔쳐간 줄 알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더니"라고 말했다. EBS판은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더니"로 번역.[41] EBS판에서는 마시멜로라고 제대로 번역했다.[42] 참고로 EBS판은 옥수수.[43] EBS판은 원판과 가깝게 본명인 '깐깐징어 왕발'이라 쓸 것을 깐깐징어 왕발이라고 썼고, 깐깐징어의 반응은 "이건 대체 누구니?"였다.[44] 징징이의 계획이 실패하고 모두가 떠나고 집게사장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부분 직후에 나온다.[45] 당시 유행어들 중에서 이쪽은 유독 근래에 와선 평가가 다소 엇갈리는 편이다.[46] EBS판은 가오리와 펄럭이들[47] 원판은 몬티 P. 머니백스, 재능판은 모아모아, 그리고 EBS판은 꼬미코미 골라.[48] 재능판은 시골남자로 번역[49] 달팽이 삼총사 편에서는 해파리 사냥대회가 열리는 장소(정확히는 원피스'시티'. 원판에선 우쿠렐레 시티다.), 괴상망측 냄새버거 편에서는 공동묘지 근처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다는 언덕의 지명이고 집게랜드 편에서는 집게사장이 소년에게 조로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고 스폰지밥 파티파티 편에서는 누더기 선장이 키 작은 해적한테 '해적왕 루피'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50] 전태열, 이인성, 전광주, 박만영, 이채진, 진영, 국승연 정도로 7명이 전부였다. 게스트 성우는 물론 없었고, 중간에 합류한 성우도 없었다.[51] 방영 당시 인지도가 가장 높았던 성우는 이인성이었고, 전태열, 전광주, 박만영 등은 각자 소속 방송사에서 주로 활동 중이었으나 재능판 방영 몇 년 후 인지도가 점점 올라가기 시작했다.[52] 특히 플랑크톤 성우인 박만영이 굉장히 많은 캐릭터를 맡았다. 게다가 여성 캐릭터는 진영, 국승연 두 명이 도맡을 정도로 굉장히 심했다. 그나마 2004년 극장판에서는 다른 성우들도 참여했고, 주연을 맡은 여성 성우들이 전부 교체되었다.[53] 다만 원판도 톰 케니를 비롯해 주연 성우들이 단역을 도맡아서 별 차이 없다.[54] 집게사장, 다람이, 퍼프 선생님(퐁퐁부인)만 봐도 알 수 있다.[55] 2023년 SBS미디어넷으로 합병.[56] 공식 로고에서는 미국판식 배열을 따라 '스폰지밥 네모바지'라고 써놓지만 공식 명칭은 이게 맞다.[57] 게살버거를 집게버거로 바꾸고, 인어맨과 조개소년은 머메이드맨과 굴보이로, 퐁퐁부인은 퍼프 선생님으로, 누더기 선장과 앵무는 해적 패치와 포티로 바꾸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으나 한국 시청자들에게는 재능방송 시절이 뿌리깊게 박혀있어 결국 다시 게살버거, 인어맨과 조개소년 등으로 돌아왔다. 단 일부 조연들인 버블배스(퉁퉁이) 등은 돌아오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58] 게살버거 가격도 기존의 900원에서 1달러 99센트(또는 2달러 99센트)로 바뀌었다. 주 시청자가 어린이라서 센트 개념이 익숙하지 않다는 우려도 있지만 만국 공용화폐인 달러를 이해하기 위해선 필요하기도 하다.[59] 대표적으로 The Two Faces of Squidward(징징이의 두 얼굴) 에피소드는 꽃보다 징징이라는, 당시 방영하던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패러디로 번역했다. 특유의 글씨체까지 재현한 건 덤.[60] 초기에는 일부 에피소드에서 타이틀을 읽을 때도 애드립(메트리스를 찾아라! 어딨니~?, 핑핑이의 가출! 핑핑아~ 등)이 있었으나 이후에는 없어졌다.[61] 닉 코리아 극초기에서는 재능방송처럼 가라데를 태권도로, 마일을 KM로 의역하였으나 이후 가라데는 무술로, 마일은 마일 그대로 번역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62] 이인성의 비중이 압도적이다.[63] 집게리아 문을 닫다 편에서 뚱이가 문지기 역할을 할 때 '주문하시오 웅이 아부지'라고 한다.[64] 배수구 편에서 젠킨스 할아버지를 만나서 스폰지밥이 배수구가 어딨냐고 묻자 한 대답.[65] 집게리아 호텔 편에서 뚱이가 스폰지밥에게 팁으로 돈을 주면서 하는 말. 참고로 징징이가 받은 것은 돌맹이(...).[66] 썬탠하는 법 편에서 모두가 타버렸을 때, 뚱이 왈, '나처럼, 유행따라 사는 것도 제멋이잖니.'[67] 독사와 신사 편에서 징징이가 폭주족에 가입했을 때 '자신은 살아도 죽어도 폭주족'이라고 한 다음 외쳤다. EBS판은 '살기 위해 타고 타기 위해 산다'라고 했다.[68] 이때부터 재능 시절에는 없었던 KBS 성우들이 참여하기 시작했고, 몇몇 MBC 성우들이 추가로 합류하였다. 이 중 다람이를 맡은 우정신은 EBS판에서도 다람이(EBS판에서는 파다)를 맡은 최덕희가 잠시 이민가면서 대신 맡기도 하였다.[69] 정재헌, 홍진욱 성우가 여러 단역을 맡았고, 여성 캐릭터들은 거의 다 우정신, 문선희가 맡아서 재능판과 별 다를게 없을 정도.[70] 이장원, 고성일, 박영재, 최석필, 남도형, 양석정, 전숙경, 김현심, 안지환, 김호성, 이소영, 문남숙, 강시현, 최낙윤, 현경수, 소정환, 김현욱, 김명준, 송준석, 김현수, 조민수, 이정구 등.[71] 고정 출연인 박만영은 제외.[72] 이 중 김현심은 시즌 5, 시즌 6에서 단역 캐릭터들을 맡으며 참여한 경력이 있으며, 그밖에도 양정화, 소정환, 김보영, 이호산, 현경수, 정혜원, 김신우, 김명준이 참여한 것이 확인되었다.[73] 현재까지 확인된 성우는 최낙윤, 강시현, 이재현, 김현욱이며, 시즌 12에선 대원 7기 성우인 서반석 성우도 참여.[74] 재능판의 국승연은 발랄한 10대 소녀 느낌의 하이톤으로 연기했지만, 니켈로디언판의 문선희는 원판처럼 중저음으로 연기했기 때문.[75] 꾹TV가 니켈로디언 코리아에 방영중인 인연으로 특별 출연하였다.[76] 니켈로디언 한국판에선 17일에 방송한 에피소드. 기존 제작방식에서 벗어나 퍼핏 애니메이션을 채택했다.[77] 수정 전후 모두 전숙경이 대사를 맡았다.[78] VOD에선 무삭제판을 제공하고 있다.[79] 원래 캣독도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불발되었다.[80] 재방영 당시 시즌 2의 일부 회차의 순서가 뒤바뀌고 도깨비 수업 편의 누더기 선장 파트를 통편집해서 방영했다.[81] 스폰지밥 파티파티, 쥬라기 스폰지밥, 스폰지밥, 날다!, 스폰지밥의 아틀란티스는 미방영 처리되었다.[82] 시즌3 55화(달려, 핑핑아!, 청춘을 돌려다오 편), 시즌 5 92화(스폰지밥의 아틀란티스 편), 시즌 12 261화(등대에 사는 달팽이, 공포의 딸꾹질 편), 263화(비눗방울 동물원, 전염병을 조심해 편), 264화(진주는 알바 중, 누구를 위해 종을 울리나? 편)은 제외.[83] 다만 시즌 2 숙제는 싫어! 편, 시즌 7 시간여행 편은 이전에 방영했던 무삭제판이 아닌 편집판을 방영.[84] 이로 인해 파라마운트+에선 영어 음성이 나오는 부분을 제외하곤 자막이 아예 제공 되지 않는다. 투니버스는 Sandoll 고딕(~시즌 12)Sandoll 고딕Neo1(시즌 13)을 사용해 에피소드명과 프로그램 타이틀명을 표기한다.[85] 대표적으로 시즌 4 77화, 닉 코리아와 그 음성을 수록한 애플리스외국어사 DVD에서는 이런 문제가 전혀 없었으나 파라마운트+에서는 보이스가 뭉개지고 효과음이 비정상적으로 크다.[86] 시즌 12→시즌 11→시즌 10→시즌 9→시즌 8→시즌 7 순으로 방송됐다.[87] 50:25부터[88] 파라마운트+에 수록된 디지털 리마스터 영상에 문제가 생겼는지 넷플릭스에 수록된 저화질 영상을 공급받았다.[89] 268~271회는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더빙했던 것이 방영됐으며, 그중 268~269회는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먼저 방영했었다.[90] 니켈로디언 시절 플랑크톤 상점, 바다 밑바닥, 할인마트로 변역됐던 장소들의 명칭이 재능TV판 명칭인 미끼식당, 메롱시티, 싸다마트로 변경됐으며, 재능TV판, 니켈로디언 더빙판 초기에 쓰였던 스폰지밥의 캐치프레이즈인 준비됐다, 준비됐어도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91] 김동현, 김윤기, 박이서, 이달래, 유혜지, 이우리, 채림, 황동현.[92] 온영삼을 제외하면 모두 니켈로디언 시절에 게스트로 참여했던 적이 있다.[93] 해설, 업턴, 케빈, 더티버블, 슬래피, 산타 등. 특히 시즌 13 1쿨에서 슬래피를 담당한 이우리는 이미 사망함에 따라 교체가 불가피했다.[94] 날린 역의 문남숙은 제외.[95] 이는 이후에 스폰지밥을 방영한 카툰네트워크, 애니플러스, 애니맥스, KBS키즈 공통이다.[96] 보글보글 스폰지밥 극장판, 스폰지밥 3D도 서비스했으나, 닉 코리아 폐국 이후 시즌 1, 2만 무료화시키고 나머지 시즌과 극장판은 모두 서비스를 끝냈다. 이후 스폰지밥 1, 2기도 서비스를 종료했다. 2025년경에 스폰지밥 시즌 전체(닉 코리아 방영분)와 핑핑이 구출 대작전 서비스를 재개했다.[97] 스폰지밥 최고의 생일, 닉 코리아 공식 미방영분인 전염병을 조심해, 공포의 딸꾹질, 누구를 위해 종을 눌리나?[98] 이 때문에 시즌 13은 3분 미리보기를 볼 수 없는 유일한 시즌이 됐다.[99] 보글보글 스폰지밥 극장판, 스폰지밥 3D, 핑핑이 구출 대작전[100] 한국판에서 재능판과 닉 코리아판의 관계를 생각하면 쉽다.[101] 한국판에서 2007~2008년, 2012~2014년의 투니버스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쉽다.[102] 한국판에서 2022년부터의 투니버스의 블록편성 니켈로디언 타임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쉽다.[103] 당장 그 발광 세트어느 나라 영상인지 생각해보시라.[104] 일본의 경우 다른 미국 애니메이션들이 그렇듯이 일본 자국의 인기 애니메이션들에게 밀리는 편이지만 그래도 일본에도 잘 알려진 미국 애니메이션들이 많다. 예를 들어 톰과 제리, 트랜스포머, 파워퍼프걸 같은 경우는 주제곡을 직접 자체제작했을 정도고,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스쿠비 두 시리즈, 웨키 레이스 등의 작품들도 들여오면서 큰 인기를 얻었고 심지어는 일본 토호 측에서 고지라 시리즈의 판권을 사용하는 데 허락해줘서 제작할 수 있었던 1978년판 고지라 애니메이션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작품들도 일본 내에서 상당히 유명하며 대중들의 인지도도 꽤 높은 편이다. 심슨 가족은 일본의 폭스 재팬에서도 더빙 방영한 적이 있고, (하지만 이상하게도 디즈니 플러스에서는 일본어 더빙판이 수록되지 못했다.) 심지어는 그 악명높은 사우스 파크WOWOW 채널에서 더빙 방영했다가 이후 넷플릭스에서도 일본어 더빙판도 볼 수 있게 되었다.[105] 다만 배경의 영어 식자 번역을 육성으로 읽어주기 때문에 한국과 달리 영어를 이해할 수 없는 문제는 없다.[106] 스폰지밥 외에도 동시간대에 퍼피 구조대, 가필드 등 다른 해외 애니메이션들을 같이 방영하고 있다.[107] 주로 암흑 시간대에 편성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이 자국 애니메이션 진흥을 위해 황금시간대에 TV에서 해외 애니메이션들을 편성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어서 그렇다.[108] 2016년 8월 22일~2017년 2월 19일 방영분은 신 스폰지밥(新海绵宝宝)이란 제목으로 방영했다.[109] 다만 시즌 6 25화~시즌 7 3화는 화면의 위아래를 잘라서 방영했다.[110] 할로윈 스페셜 등, 일부 에피소드는 중국의 검열 정책으로 스트리밍에서 제외됐다. 같은 이유로 시즌 11 오프닝에선 해적 페인티 모자에 새겨진 해골 문양을 CG로 지워버렸다.[111] 재더빙 과정에서 구더빙에 참여했던 모든 성우진들이 강판됐으며, 2017년 말 혹은 2018년 초에 니켈로디언 튀르키예 채널이 니켈로디언 CEE 피드와 합병되는 변화가 일어났다.[112] Rambler 산하 채널로 NBN도 당사 채널이였다.[113]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몰도바[C] 우크라이나, CIS, 발트 3국, 조지아[C] [116] 스폰지밥이 누구에요? 편 제외.[117] 당연하지만(?) 실제 오프닝은 아니다. 러시아의 유명 바르드 가수인 알렉산드르 로젠바움이 베체르니 우르간트에 출연했을 당시 여러 노래를 바르드 스타일로 편곡해 선보였는데, 여가수가 부른 팝송부터 애니메이션 주제가까지 적절하게 편곡하며 반향을 얻었다. 영상은 이 편곡을 기반으로 만든 팬 영상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if external != "o"
[[네모바지 스폰지밥]]}}}}}}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uuid=e83d8740-b643-4ecf-b97f-18f731b519f6|r42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uuid=e83d8740-b643-4ecf-b97f-18f731b519f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네모바지 스폰지밥?from=427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if external != "o"
[[네모바지 스폰지밥]]}}}}}}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uuid=e83d8740-b643-4ecf-b97f-18f731b519f6|r42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네모바지 스폰지밥?uuid=e83d8740-b643-4ecf-b97f-18f731b519f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네모바지 스폰지밥?from=427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18] 시즌 2까지 참여하고 이후 캐나다로 잠깐 이민을 갔다.[119] 시즌 4부터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