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9:03:29

NHK 교육 텔레비전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6d6d6><tablebgcolor=#ffffff,#1c1d1f>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지상파 방송국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운영 주체 방송국
공영 · 공공
NHK TV 종합 · 교육
라디오 제1방송 (종합) · 제2방송 (교육) · FM (음악)
민영방송
닛케이 신문 TV 방송망: TXN (종합)
방송국: 테레비 도쿄 (간토 / 키국) · 테레비 오사카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라디오 닛케이 (단파)
마이니치 신문
([[TBS 홀딩스|{{{#ffffff TBS 홀딩스}}}]])
TV 방송망: JNN (종합)
방송국: TBS 테레비 (간토 / 키국) · MBS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방송망: JRN
방송국: TBS 라디오 (간토) · MBS 라디오1) (간사이)
아사히 신문 TV 방송망: ANN (종합)
방송국: 테레비 아사히 (간토 / 키국) · ABC 테레비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ABC 라디오1) (간사이)
요미우리 신문 TV 방송망: NNN (뉴스) · NNS (기타)
방송국: 닛폰 테레비 (간토 / 키국) · 요미우리 테레비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RF 라디오 일본 (간토 / 요코하마 소재 독립국)
후지산케이
(산케이 신문)
TV 방송망: FNN (뉴스) · FNS (기타)
방송국: 후지 테레비 (간토 / 키국) · 간사이 테레비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방송망: NRN
방송국: LF 닛폰 방송2) (간토) · OBC (간사이)
기타 방송대학3)
TV 독립방송협 · 민교협
라디오 QR 분카 방송2) 4)
JFN (FM 도쿄 / FM 오사카)
JFL (J-WAVE / FM 802)
MegaNet (InterFM897 / FM Cocolo)
친목단체: 화요회 · 전국 FM 연합
기타: 공동체 라디오
각주 1) JRN, NRN 동시 가맹.
2) NRN 공동 키국
3) 간토 지역에서 지상파 송출
4)후지산케이 소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

파일:NHK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TV 지상파 채널
파일:NHK G 로고.svg
파일:NHK E 로고.svg
위성 채널
파일:NHK BS 로고.png
파일:NHK BSP4K 로고.png
파일:NHK BS8K 로고.svg
라디오 중파방송
파일:NHK 라디오 제1방송 로고.svg
파일:NHK 라디오 제2방송 로고.svg
FM방송
파일:NHK-FM 로고.svg
국제방송 TV
파일:NHK 월드 JAPAN 로고.svg
파일:NHK 월드 프리미엄 로고.png
[1]
단파방송
파일:NHK 월드 라디오 일본 로고.svg
관련 문서
프로그램 목록 · 지역 프로그램 목록 · 파일:조선방송협회 로고.png 조선방송협회 · 파일:JSTV 로고.webp · 파일:TV JAPAN 로고.png · 파일:NHK+ 로고.svg · 파일:NHK 엔터프라이즈 로고.svg

[1] 북미 제외 전세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90%><tablebordercolor=#03af7a><tablebgcolor=#fff,#1f2023> 파일:NHK E 로고.svgNHK 교육 텔레비전
NHK教育テレビジョン
}}}
<colbgcolor=#03af7a> 약칭 NHK E
Eテレ(E테레)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개국 1959년 1월 10일
호출부호 JOAB-DTV (도쿄)
방송망 NHK 네트워크
채널 NHK E
채널
번호
ATV 3 '''
도쿄
'''
DTV 26 '''
도쿄
'''|2 '''
가상
'''
방송
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af7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D 1080/60i)][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af7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A]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af7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2 AA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af7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EIAJ MTS 스테레오)][A][4]
운영/소속 일본방송협회
링크 파일:NHK E 로고.svg NHK 교육 텔레비전

1. 개요2. 역사3. 특징4. 제작 및 편성 프로그램
4.1. NHK 교육 텔레비전 5대 장수 어린이 프로그램
5. 게임화6.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공영방송 NHK의 지상파 교육방송 채널. 채널은 전국 공통 2번이다.[5]

2. 역사

파일:NHK E 구 로고.svg
2011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사용된 구 로고.

1959년에 세계 최초의 교육 전문 채널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개국했다. NHK는 개국 당시 도쿄 인근의 주파수는 새로 할당받았으나, 오사카를 비롯한 다른 지방의 주파수는 미군의 레이더용으로 할당된 12ch[System-M]을 사용하기로 했다. 전국에 동시에 개국하지 못했기 때문에 개국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NHK 종합 채널에 교육 채널 프로그램 일부를 편성하기도 했다.

개국 초기에는 오전 11시부터 1시까지,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5시간동안 방영하였으나, 1964년에는 낮 시간대가 앞 뒤로 확장되었고 1967년 4월에는 이른 아침부터 자정까지 방영하게 되었다. 이후 2000년에서야 24시간 방송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2006년 갑자기 닥친 경영난과 2008년 세계금융위기 등을 이유로 폐지한 뒤 현재는 시청률 저조 등을 이유로 방송 시작 시간이 오전 5시 30분으로 더 늦춰졌다.

2011년 6월 개편을 통해 Eテレ라는 약칭이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다 2020년 3월부터는 다시 'NHK E'라는 명칭과 워터마크로 바꾸었다. 다만, 관습적으로는 여전히 'NHK E테레' 혹은 'E테레', '교육(教育)' 등으로 불리고 있다. 심야방송을 하지 않고 오전 1시 30분 쯤에 방송을 종료하고 5시 30분 쯤에 방송을 재개한다. 방송종료 및 재개 화면으로 NHK 종합처럼 일장기기미가요를 틀어주지만, 디지털화 이전에는 '교육 채널'이란 이미지 때문인지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을 배경으로 사용한 바 있다.

3. 특징

이름처럼 교육방송을 많이 편성해주지만 애니메이션도 주로 교육TV에서 편성된다. 여러모로 EBS한국방송공사에 속하였던 KBS 3TV 시절과 성격이 비슷하다. 다만 이러한 특성상 스포츠, 국회 중계를 해당 방송사의 사정으로 종합TV에서 편성이 불가할 할 경우 NHK 교육TV로 대체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처럼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데도 아예 NHK E에서 고정적으로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 중대한 재난 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NHK 종합TV와 마찬가지로 뉴스 특보를 내보낸다. MMS 시스템 도입 이후에도 종합TV만으로 중계가 불가능한 올림픽등은 여전히 교육TV와 함께 편성을 분담한다. 도쿄 올림픽 편성을 분담하던 2021년 8월의 사례.

일본 내의 수어 보급에 큰 공을 세운 채널이기도 하다. 물론 전에도 수어에 대한 인지는 있었지만, 1990년대 NHK 교육 텔레비전에서 《NHK 수어 뉴스》 프로그램을 런칭하기 전까지는 수어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느껴졌다. 하지만 어린이들에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 수화 위클리(こども手話ウイークリー)》까지 편성할 정도로 수어 콘텐츠를 꾸준히 공급한 덕에 이제는 일본 내에 수어를 통역하는 전문 인력들이 많이 늘어났다.

'E테레 0655(제로로쿠고고)', 'E테레 2355(니산고고)'[7]라 불리는 시보 프로그램이 있는데, 시보 전에는 간단한 토막지식을 소개하거나 쇼트 애니 혹은 교육적인 실사 영상을 내보내며, 시보 4초전[8]에 'ETV'에서 점차 'Eテレ'로 바뀌는 장면이 나오며 마지막에는 '땡' 대신 'E테레'음성이 나온다. 디지털 TV방송이 본격화되어 일본에서 시보 방송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라, 0655와 2355는 일본 TV방송에서 그나마 현재까지 생존한 몇 안 되는 시보 방송이라 할 수 있다.

4. 제작 및 편성 프로그램

1962~2012년까지 장수 청소년 드라마인 <중학생 일기>[9]를 방영했으며, 열려라 꿈동산에서 나왔던 프로그램인 음악 판타지 꿈을 방영한 곳이다.

엄마와 함께는 E테레 간판 유아용 프로그램이다. 동시에 스푸의 2차 창작물로 인해 본의 아니게 피해를 본 프로그램이기도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이 방송국에서 했던 '영어로 놀자'(えいごであそぼ)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실사 세트에서는 여성 출연자와 인형탈 쓴 사람과 마리오네트 비슷한 수단으로 움직이는 새 인형이 만담을 하고, B파트에서는 '탐험 고블린 섬'이라는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데, 여기서 고블린이 악당으로 나온다. 한국의 여러 업체에서 비디오로 더빙되어서 출시되기도 하였다. 대부분 더빙과 로컬라이징이 수반되었지만 몇몇 판본은 친절하게도 'NHK의 인기 영어 교육프로그램'이라는 소개를 하기도 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몇 번의 리뉴얼을 거쳐 현재까지 방송 중이다. 해당 프로그램의 일본어 버전인 '일본어로 놀자'(にほんごであそぼ)#[10]도 방송 중이다.

파일:テレビでハングル講座 로고.png
TV 어학방송도 이곳에서 방영한다. 9개 언어 어학 프로그램이 방영되며, TV에서 한글강좌란 프로그램도 있다. 한국어, 중국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아랍어 어학방송이 있으며 한글강좌는 말 그대로 "한글(ハングル)"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한국어의 표기가 남한에서는 한국어, 북한에서는 조선어로 갈리기 때문이다. 일본과 공식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이지만, 일본 내 주 시청자들 중에는 총련계 재일조선인도 많기 때문에 갈등을 피하기 위함이다. 같은 이유로 NHK World 홈페이지상의 다국어 페이지에도 한국어를 '코리언'이라 표기한다. 어학 프로그램은 끝날 때마다 NHK 어학 교재 광고가 나오기도 한다.

한국의 EBS나 미국의 PBS와 마찬가지로 여기도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수입 또는 제작하여 편성한다. 일본의 대표적인 장기방영 10분 분량의 단편 애니메이션 오자루마루, 닌자보이 란타로도 여기서 방영중이며, 네모바지 스폰지밥증기기관차 토마스 역시 이 채널에서 볼 수 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내용이 자극적이지 않은 매니아용 작품을 이 쪽에서 (재)편성하는 경우도 있다. 도쿄 MX에서 방송되던 러브라이브 시리즈를 재방송하다가 2021년 7월부터 러브라이브 슈퍼스타 1기부터는 아예 이 쪽이 최속방송국이 된다던가, 2018년에 NHK BS 프리미엄에서 최초 방영한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을 2019년 4월부터 NHK 교육에서도 재방송해준 사례가 그 예. 그 외 바쿠만이나 악마에 입문했습니다! 이루마 군, 오톳페[11] 등의 작품도 NHK 교육에서 방송되었다. 최근(2023년 10월 14일 기준.)에는 희망의 힘 ~어른 프리큐어'23~도 여기서 방영되고 있다.[12]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성우 이이다 리호가 출연한 전력이 있는 아동용 버라이어티인 천재 테레비군이 여기에서 방영된다.[13] 또한 키친전대 쿳쿠룬 시리즈(ゴー!ゴー!キッチン戦隊クックルン)도 여기서 방송한다.[14] 아동용 프로그램임에도 정말 애들 노래가 맞냐 싶을 정도로 뛰어난 OST를 자랑하는 '미이쯔케따!'와 귀여운 인간 강아지 '멍멍'과 같이 놀이하는 유아용 프로그램 '이나이이나이바앗!(いないいないばあっ!)'[15] 또한 여기서 방영한다.

샤킹!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이름처럼 잠이 떨깬 아이들에게 즐거운 생활을 가르쳐주고 놀아주는 프로그램이다. 제외된 게 2가지가 있는데 자세한 건 노로이쨩과 루루루의 노래[16]를 구글링하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는 종영. '만들며 놀자'라는 어린이 공작 교육 프로그램도 있었는데, 현재는 '노지의 번뜨이는 공방(ノージーのひらめき工房)'이 대신 이어받아 현재 방영중이다.

카가와 테루유키가 진행하는 곤충 소개 프로그램 카가와 테루유키의 곤충 대단해!와 이과 고인물들의 로망(?)에 불 지피게 만드는 어린이용 과학 프로그램 피타고라스위치도 이 채널에서 방송하고 있다.

교육 텔레비전 특성상 다큐멘터리 방영이 종종 있는 편이다. 특히 자연 다큐멘터리가 그렇다. 물론 시사 등 교육과 관련이 없는 다큐는 논외다.

'배리어프리 버라이어티'를 표방하는 '바라바라'[17]도 여기서 방영 중인데, 2016년에는 "검증! '장애인X감동'의 방정식(検証!『障害者×感動』の方程式)"라는 특별 코너로 니혼 테레비의 자선 프로그램 '24시간 테레비 ~사랑은 지구을 구한다~(24時間テレビ ~愛は地球を救う~)'[18]을 대놓고 패러디하여 저격비판한 패기까지 선보였다. 2017년부터는 "2.4시간 테레비 사랑의 부자유(2.4時間テレビ 愛の不自由)", "24분 테레비 ~사랑과 증오의 팬데믹~(24分テレビ ~愛と憎しみのパンデミック~)" 등 대놓고 '24시간 테레비'를 패러디한 생방송 시리즈로 '24시간 테레비'를 현재까지 신나게 까는 중이다.

다만, NHK E테레에서는 지적/발달 장애아동이 등장하는 어린이 프로그램이 현재로선 기획조차 된 바가 없다. 이는 일본 특유의 보수적 교육체계 및 문화적 특수성과 조금도 무관하지 않는다.[19] 선진국형 성교육 관련 프로그램도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이유과 더불어 선정성 문제[20]로 기획조차 된 바가 없다.

NHK 교육TV에서 방송되는 거의 모든 자체 기획/제작 교육 프로그램의 제작은 NHK의 자회사 중 하나인 'NHK 에듀케이셔널(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21]이 담당한다.[22]

4.1. NHK 교육 텔레비전 5대 장수 어린이 프로그램

5. 게임화

NHK의 아동 교육 프로그램의 게임화에는 지독하게 운이 없는 편이다. 1991년에 당시 엄마와 함께의 코너였던 토토의 꿈동산(にこにこぷん)이 PC 엔진용 게임[26]으로 나왔는데 똥겜 판정[27]받았고, 그 후로 같은 프로그램의 세가 피코용 기능성 게임 세 개[28]를 마지막으로 한동안 게임과는 인연이 없었다.[29]

이후, 현재 모바일로 공식 리듬게임이 출시되어 있다. 엄마와 함께, 미이쯔케따!, 영어로 놀자 등 NHK E테레 간판 아동용 프로그램들의 노래들이 수록되어 있다. 개발사는 유한회사 스마트에듀케이션(SMARTEDUCATION,LTD)[30]이다. 물론 퀄리티는 기대하지 말자. 게다가 다운로드는 무료지만,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과금이 필수다.おやこでリズムあそび, タップあそび 또한 같은 개발사에서 개발한 미이쯔케따! 원작 게임[31]도 현재 서비스 중이다.

6. 여담


[1] 1440Χ1080(4:3). FHD도 당연히 지원하나 한국처럼 모든 프로그램에 FHD 1080i를 적용하는 건 아니고 일부 프로그램만 1920Χ1080(16:9) 사이즈로 제작하고 있다.[A] 1959년 1월 10일 ~ 2011년 7월 21일. 대지진의 영향을 받은 도호쿠 3현(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은 8개월 뒤인 2012년 3월 31일까지 송출했다. NTSC-J 방식의 486-line/59.94㎐ 컬러 텔레비전 방송은 1959년 4월 6일 NHK 종합 텔레비전의 시험방송을 인계받아 1960년 9월 10일 도쿄, 오사카에서 본방송을 개시했으며 이후 전국으로 확대되었다.[A] [4] 아날로그 음성다중 시험방송은 NHK 종합 텔레비전보다 한참 늦은 1990년 2월부터 본방송을 시작했다. 디엠파시스 값은 75μs였으며, 스테레오로 제작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종전처럼 모노럴 사운드로 방송되었다.[5] 이 때문에, NHK 종합채널이 1번 이외의 다른 채널도 쓰는 것과 다르게 일본의 민영방송국은 채널로 2번을 쓸 수 없다.[System-M] 유선 23ch[7] 보통 '0655', '2355'라 부르며, 평일에 방영된다.[8] 정확히는 "0655가 7시을 알려드립니다.", "2355가 내일(토요일)이 오는 시간을 알려드립니다." 등의 멘트가 나간 직후.[9] NHK 나고야 방송국에서 자체 제작했다. 방영 50년간 중학생 연기자 5,000명이 출연했는데 이들 중 이부 마사토와 타케시타 케이코, 토다 케이코, 모리모토 레오, 카토 하루히코 등이 배출됐다.[10] 내용이 내용인지라 NHK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왜색이 짙은 프로그램이다.[11] 세계 제일의 DJ를 꿈꾸는 주인공 시나 스타지아(CV: 쿠노 미사키, 이름의 어원은 '공감각(synesthesia)'.)가 바람의 오톳페인 윈디, 금속의 오톳페인 메타르크와 함께 다른 오톳페들을 찾아 떠나는 모험을 그린 애니메이션이다. 소재가 소재인지라 주제곡인 '신바람 오톳페'가 태고의 달인 니지이로에 수록된 상태다.풀콤보(전량) 클리어 영상 이상하게도 해당 작품은 현재 한국 포함한 해외 전개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12] 다만 NHK에서 방송되는 모든 애니메이션이 NHK 교육에서 방송된 것은 아니다. NHK BS 프리미엄 채널이 NHK BS2 채널로 운영되었을 당시에는 '위성 아니메 극장' 슬롯을 통해 카드캡터 사쿠라다!다!다!와 같이 건전한 전체 연령 타겟의 애니메이션이 BS2쪽으로 방송되기도 했고, 진격의 거인 3기~4기(Final Season)처럼 NHK 종합쪽에서 편성되는 애니메이션도 있다. 상세 목록은 일본 위키백과 문서 참조.[13] 약칭은 텐테레(天てれ). 천재 테레비군의 경쟁 프로그램으로는 TV 도쿄의 오하스타 등이 있다. 오하스타는 어린이 대상 예능과 각종 캐릭터 상품 광고 방송이라는 성격이 더 강한 걸로 보인다. 한국으로 치면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38] 또는 현재 종영된 판다다랑 비슷하다.[14] NHK 월드 프리미엄에서는 토요일 새벽 5시 30분 경 방송.[15] 한국어로 번역하면 '우르르 까꿍'이 된다.[16] 원제는 るるるの歌[17] '배리어프리'와 '버라이어티'의 머리글자 각 2자씩을 따온 형태다.[18] 실제로 해당 프로는 인스피레이션 포르노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 프로그램의 명칭은 훗날 니혼 테레비멸칭이 되고 만다. 다만, 그렇다고 바라바라 제작팀의 행위 또한 의도를 감안해도 논란이 아예 없는 건 아니긴 하다.[19] 특히 일본 교육계에서는 지적/발달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특수학교 등에서 수업을 받게 되어 있다.# 다만, 이는 강제사항이 아닌지라 오사카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적으로 통합교육이 이뤄지는 경우도 있다.[20] 사실 선진국형 성교육은 그로 인해 야기될 문제와 논란은 둘째치더라도 그 특성상 선정성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선정성은 NHK같은 공영방송국에 매우 치명적인 요소다. 최근 일본에도 일부 학교에서 선진국형 성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이라 이젠 NHK같은 동양권 공영방송이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영방송의 장점이였던 공영성(선정성 배제)이 오히려 시대적 흐름에 발목 잡는 골칫거리가 되었기 때문이다.[21] 저작권 표기로는 "ⓒNHK/NED" 혹은 "ⓒNHK/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등으로 나온다. 참고로 "NED"는 "NHK EDUCATIONAL CORP."의 약자다.[22] 다만, 앞서 본문에 설명된 바와 같이, E테레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 중 외주 제작인 것들(특히 애니메이션)이나 스포츠 중계처럼 NHK 에듀케이셔널이 관여하지 않은 것들도 적지 않으며, 반대로 NHK 에듀케이셔널 제작 프로그램임에도 종합TV에서 방영되는 일부 사례도 간혹 있다. 최근에는 자체 기획/제작 교육 프로그램의 엔딩 스탭롤에 '제작 NHK 에듀케이셔널, 제작/저작 NHK' 대신 '제작/저작 NHK'으로 단독 표기하는 일이 많아졌는데, 어차피 NHK가 자체 기획/제작한 프로그램이니 상관이 없다.[23] 한국의 TV유치원, 뽀뽀뽀, 딩동댕 유치원와 유사한 프로그램. 다만, 딩동댕 유치원의 2022년판은 세서미 스트리트(미국 PBS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훨씬 더 가깝다.[24] 한국의 방귀대장 뿡뿡이와 유사한 프로그램. 다만, 방귀대장 뿡뿡이와는 달리 장애아동은 등장하지 않는다.[25] 한국의 모여라 딩동댕과 유사한 프로그램.[26] 발매년도는 1991년, 개발사는 KSS, 유통은 NHK 소프트웨어(현 NHK 엔터프라이즈).[27] 적과 부딪쳐도 일시적인 기절(딜레이)만 있을 뿐 안 죽은 건 물론, 장난감 멜로디 수준의 무성의한 BGM에, 스테이지 보스 따윈 존재하지 않으며, 본 게임도 퍼즐도 지나치게 쉽다는 등의 '게임'으로서의 문제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엔딩을 보는 데 길어야 약 30분 정도밖에 안 걸린다는 것은 치명적이다. 다시 말해, 일본판 청렴 어드벤처. 다만 이 게임의 존재 의의란 건 "NHK E테레 최초의 게임"이란 별 의미없는 업적 뿐이다. 웃긴 건, 해당 게임 개발사인 KSS는 용기전승 시리즈와 무인도 이야기 시리즈라는 명작을 개발한 이력이 있던 게임사라는 것.[28] '쿠~쵸코랜턴' 버전, 체조 놀이(げんきなこあつまれ!) 버전, 도레미파 도넛 버전[29] 이건 일본 민방에서 하는 일부 프로그램의 게임화 상황도 마찬가지다. 니혼 테레비 '세계의 끝까지 잇테Q!(世界の果てまでイッテQ!)'의 특정 코너을 게임화했는데 각종 게임성 이슈와 성의 없는 구성 등으로 똥겜 판정을 받은 '세계의 끝까지 잇테Q! 진수 헌터 이모토의 대모험(世界の果てまでイッテQ! 珍獣ハンターイモトの大冒険)'과 같은 방송국의 동명 원작 똥겜인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야아라헨데 절대로 잡지 마라! 가스 흑광 랜드(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絶対に捕まってはいけない ガースー黒光りランド)'가 바로 그것이다. 후지TV의 동명 원작 게임 '하네루노토비라Wii 기리기리스(はねるのトびらWii ギリギリッス)'도 마찬가지로 완성도 문제로 인해 똥겜 판정을 받았으며 같은 원작 게임 '하네루노토비라DS 단축철도의 밤(はねるのトびらDS 短縮鉄道の夜)'은 아예 인지도가 없다시피 하는 편이다. 참고로 하네루노토비라 IP 게임 개발사는 남코(...)다.[30] '어린이(코도모) 모드'라는 모바일 어플 브랜드을 소유하고 있다.[31] 정식 명칭은 '미이쯔케따! 집에서 의자 마을의 코시(みいつけた! おやこで いすのまちのコッシー)'.[32] 물론 일본 현지 송출용이기 때문에, 한국 등 외국에서 해당 채널을 시청하려면 편법을 써야 한다. 그나마 E테레의 경우, 다른 일본 지상파 TV 채널들과 달리 암호화가 안 거쳤기 때문에 해외에서의 시청이 쉬운 편이다.[33] 케이블TV/IPTV에서 시청 가능.[34] 엄마와 함께, 미이쯔케따!, 영어로 놀자, 피타고라스위치 등.[35] 수신료를 안 내더라도 일단 시청은 가능하긴 하나, 독촉 메시지가 방송 화면을 가려버린다.[36] NHK 교육 텔레비전의 인기 요소를 소개하는 영상(다만, 영상에서 함께 소개된 애니메이션 날아라 호빵맨닛테레 관할이다. '알아두자(知っておこう)' 또한 닛테레/요미우리 테레비의 예능 프로그램 '무이미다스(ムイミダス)'의 코너로 역시 마찬가지다.)[37] 여담이지만 일본에서는 입시 등 학구열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에 속한다. 아니, 높지 않은 편이기보다 사실 높긴 한데 입시에 힘쓰다 수능 난이도와 입시 비용의 높은 벽을 실감한 후로 포기하는 것에 가깝다.# 실제로 일본인들의 대학 입학율과 선호도가 전체 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데, 이는 일본 수능시험의 난이도가 극악을 달리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보통 대학 안 가더라도 사회생활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 직장을 구할 수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