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1:05:09

시보 방송

일반적인 라디오의 표준 시보 방송[1]

1. 개요2. 역사3. 국가별
3.1. 대한민국에서의 시보
3.1.1. 윤초
3.2. 해외에서의 시보
3.2.1. 일본3.2.2. 유럽3.2.3. 중화권
4. 시계 화면5. 관련 문서

1. 개요

| time signal

시보는 라디오 방송이나 TV 방송 등에서 현재 시각을 알리는 것을 말한다. 라디오에선 대부분 매 정시에 시보를 내보내지만 TV는 주로 메인 뉴스를 시작할 때 내보내는 편이다.[2] 방송에 따라서는 30분이나 기타 시각을 알리기도 한다.

2. 역사

시보는 거슬러 올라가면 유럽의 종탑(bell tower)이나 동양에서 운용했던 시종(時鐘)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는 개항장이나 광장에 매달았던 보시구(報時球, time ball)에서 유래했다. 뉴욕타임스 스퀘어에 있는 타임스 스퀘어 볼 역시 보시구의 일종이다.[3] 보시구는 특정한 시각마다 공 모양의 장치를 떨어뜨려 울리는 소리로 시간을 알려 주는 기구로, 첫 보시구는 1829년 영국의 장교 로버트 와첩(Robert Wauchope)에 의해 포츠머스에 설치되었다. 신호포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시간을 알리는 방법은 1861년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에서 사용한 원 어 클락 건(One o'clock Gun)이 최초로,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것의 기능이 경종과 사이렌을 거쳐 라디오와 텔레비전으로 옮겨 가며 전자 시보 방송이 등장하였다.

시보 방송은 1922년 영국 BBC 라디오 방송국에서 'the pips'로도 알려져 있는 그리니치 시보(Greenwich Time Signal)를 송출하기 시작한 것이 최초로, 이후 간단한 멜로디 등을 삽입하는 등 시보음이 다양해졌다. 세간에는 나치 독일의 선전부장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사람들을 방송에 집중하게 만들기 위해 시보를 개발했다는 낭설이 있으나 사실이 아니며, 전간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이미 주요 국가에서는 시보 방송이 운용되고 있었다.

3. 국가별

3.1. 대한민국에서의 시보

[ 예시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1f2023> ||
MBC 뉴스데스크 시보 변천사 (1981년 ~ 2021년 1월)[참고][5]
파일:삼성시계 돌체 시보 1988년.png
내귀에 도청장치에 나온 만큼 시보 방송하면 떠오르는 장면이자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6] 방송된 삼성시계 돌체 제공시보.

여태까지 시보는 특정 광고 관련한 시보가 주를 이루었으나[7] 종종 새소리 등과 같은 다른 느낌의 시보도 선보이고 있다. 시보를 알릴 때는 기본적으로 매시 59분 57초부터 "뚜"(440Hz) 소리가 1초 간격으로 나오기 시작해 정각이 될 때 "땡-"(880Hz[8], 약 1~2초 지속) 소리가 울리는 4초 시보를 사용한다.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후 NHK가 사용하던 것을 KBS도 그대로 써 온 것인데, 현재도 KBS 제1라디오KBS 제3라디오, KBS 한민족방송, CBS, YTN 라디오, 경인방송, OBS 라디오, EBS FM은 이 시보를 사용한다.[9][10] KBS 뉴스 9는 1993년 말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9시 정각보다 1분 빨리 방송을 내보냈기 때문에 TV에서 시보를 내보내지 않았고, 라디오에서는 라디오 시보음을 그대로 썼으니 뉴스데스크가 8시대로 이동한 뒤로는 TV에 맞게 어레인지된 3초 시보음을 사용한다.

일부 방송(외국의 방송사 포함)에서는 "뚜" 소리가 58초(3초 시보)나 56초(5초 시보)부터 나온다. 하단의 '해외' 항목 참조.

정시가 아닌 다른 시각에 시보를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KBS 2FM, SBS, OBS 라디오는 정시 시보 외에도 30분 시보를 따로 내보내는 경우가 있고, 70년대 라디오 동아방송(DBS)은 15분마다 시보와 뉴스를 내보냈는데 BBC가 당시 운영하던 속칭 Quarter system을 벤치마킹한 것이다.[11]

다른 방송에서는 매시 59분 50초대부터 악기 연주 소리나 멜로디가 흘러나오다가 정각이 되면 "땡-" 소리가 울리기도 한다.[12]

불교방송원음방송의 경우 다른 방송사와 달리 범종으로 시보를 알리고,[13] 국악방송으로 시보를 알린다.[14]

KBS 1FM은 일반적인 4초 시보음을 사용해왔지만 불명확한 시기부터 클래식 방송이라는 컨셉에 맞게 주간(06시~20시)에는 터키 행진곡 도입부 피아노 후, 야간(22시~05시)에는 쇼팽 녹턴 2번 도입부 후 "땡-" 시보가 울리며, KBS 제2라디오는 2001년부터 마림바 연주[음계] 이후 "땡-" 시보가,[16] KBS 2FM은 4초 시보음이었다가 2007년부터 로고송 이후 "땡-" 시보가 울린다.[17] 또 특이하게 제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극동방송들은 멜로디만 나오고 시보가 울리지 않는다...지만 사실은 시보음이 멜로디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는 게 좋다. 찬송가 가락을 활용한 멜로디의 마지막 음이 정각에 맞춰지도록 편곡, 송출하기 때문. 그러나 정작 몇몇 멜로디는 정시보다 0.5~1초 느리게 "땡"이 나온다. TBN 교통방송도 멜로디 후 종소리 형식을 쓰고 있는데, 우연히도 위의 4초 시보음과 송출 시간이 거의 일치한다. CPBC 라디오는 성가 1장 나는 굳게 믿나이다 첫 소절 반주곡 후, "땡~~" 시보를 내놓지만, 06시, 12시, 18시에는 종을 친다.

TV에서 시보를 알릴 때는 시계 화면이 나오며 회사의 제공으로 시보를 하는 경우에는 시보를 제공하는 회사의 광고가 같이 나온다. 정각을 알릴 때 나오는 소리는 라디오와 똑같다. 아래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취 중인 방송국명, 주파수와 호출 부호[18]도 간략하게 안내하기에 외국에서 국내로 방송을 수신 시도하는 이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인증 자료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의 땡전뉴스는 시보가 "땡~" 하고 울린 다음에 무조건 뉴스에서 전두환의 소식이 먼저 나왔다고 해서 나온 단어다.

시각을 정확히 알리다 보니 사건 사고의 조사에 활용이 되기도 한다. 세월호 참사 당시 세월호에 적재된 차량들의 블랙박스 시간이 일치하지 않아 정확한 사고 시각 추정이 어려웠으나, 한 경차의 블랙박스에 이전 라디오 시보가 녹음되어 있던 것이 확인되어 이 시보에 맞춰서 시각을 보정할 수 있었다. #[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KBS 라디오의 시보 방송을 인식하여 시각을 보정하는 기술이 있다. # 사실은 전파시계에 사용되는 기술을 단파에서 중파 혹은 초단파 FM으로 끌고 온 것에 지나지 않지만.

대부분의 방송사에서 12시정오, 자정으로 읽으며 12시로 읽는 채널은 EBS FM, 자유코리아방송 정도.

3.1.1. 윤초

윤초가 삽입되는 경우, 시보에선 마지막 음을 두 번 표시하거나(뚜, 뚜, 뚜, 땡, 땡), 그 전 음을 한 번 더 표시하거나(뚜, 뚜, 뚜, 뚜, 땡), 음이 울리는 시간을 1초 미루는 식((58초 시작)뚜, 뚜, 뚜, 땡)으로 수정하곤 한다.

다만 2035년 이후로는 윤초가 폐지될 예정이기 때문에, 2035년 이후에는 해당 방식의 시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3.2. 해외에서의 시보

3.2.1. 일본

3.2.2. 유럽

3.2.3. 중화권

4. 시계 화면

파일:mbcclock1980-90s.png
1980~1990년대의 MBC 시계
파일:nhkclock1980s.png
1980년대의 NHK 시계
파일:bbcclock1980-90s.png
1980~1990년대의 BBC 시계
파일:sabcclock1970-80s.png
1970~1980년대의 SABC 시계

방송 중 시계 화면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방송 프로그램 시작 전의 정각 시보로 사용되는 경우에 주로 나온다. 주로 메인 뉴스 시작 전에 나오는 시보에서 시계 화면이 나오며, 방송 시작 전, 방송 종료 후에 나오는 화면 바탕 위에 나올 때도 있다.

스폰서의 시보 광고가 나오는 경우에는 시계 화면이 나오기 전에 스폰서 광고 영상이 나오면서 광고 영상 바탕에 시계 화면이 나오며, 방송사에서 자체 제작한 시계 화면에 광고 스폰서의 로고(또는 스폰서의 제품 로고)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메인 뉴스 같은 주요 프로그램 방송 시간이 매시 0분 정각일 때, 매시 59분에 스폰서의 시보 광고와 같이 나오는 시계 화면(광고 영상 바탕에 나오는 시계 화면)이나 방송사의 시계 화면이 나온 후 50초대부터 시보 멘트와 시보음이 나온다.

1990년대까지의 방송사에서 나오는 시계 화면은 자체 제작한 아날로그 시계 화면이 대부분이며, 이 경우에는 아무 시간에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계인 경우이다.

5.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0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일명 '4초 시보'라고도 불리며 NHK를 원조로 하여 한국, 일본에서 많이 들을 수 있는 시보음이다.[2] 다만 후술할 대만의 사례와 같이 메인 뉴스 외의 TV 프로그램에서도 시보가 나가는 경우 또한 있긴 하다.[3] 물론 현재는 모양만 따와서 12월 31일이 가고 신년이 온 것을 상징적으로 알려주는 장치 역할만 한다.[참고] 1997년 9월~1998년 10월 애니콜 시보로는 1984년쯤부터 1995년 7월쯤까지 쓴 시보를 다시 사용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기간 때에는 삼성 명품 플러스원 시보가 나왔다. 2012년 이후 삼성 갤럭시 시보로는 2015년 삼성 블루스카이 광고를 내보냈으며, 광복 70주년 즈음에는 삼성 SUHD TV 시보가 나왔다. 갤럭시 노트7폭발사고로 중단되고는 단종 결정으로 기간이 12개월도 채 가지 못했다.[5] 1988년 4월~8월 시보의 첫 번째 영상은 내귀에 도청장치 사건의 영상이다.[6] 1988년 4월부터 1997년 8월까지 MBC 뉴스데스크 시작 전에 나오던 것이다. 돌체뿐만 아니라 카파(1989~1991년), 프라임(1990~1992년), 론진(1991년), 롤라이(1995년 12월~1997년 3월)가 나왔다.[7] 이를테면 XX시계 제공 시보 아홉 시를 알려드립니다OOO침대 제공 시보 여덟 시를 알려드립니다 등이 있고, KBS 2TV에서도 19시와 20시대에 뉴스를 편성했을 당시에 따로 시보 광고를 내보냈다. 다만 예외적으로 KBS 1TV에서는 광고를 내보낼 수 있었던 시절(1981년 ~ 1994년)에도 따로 시보 광고를 하지는 않았고, 1980년대 당시 KBS 9시 뉴스 시작 전 시보에서도 광고가 나오는 경우를 볼 수 없다.[8] 모든 방송사의 정각 시보음 톤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YTN 라디오는 855Hz, CBS는 894.5Hz 톤을 송출하며, MBC의 경우 FM4U는 1000Hz, 표준FM은 1053.5Hz로 타 방송사의 정각 시보음에 비해 차이가 크다.[9] 변형된 시보도 포함한다고 치면 TJB 파워FMJTV 매직FM도 자연의 소리 후 해당 시보음을 내보내고 있다. 과거에는 KBS 제2라디오KBS 1FM, KBS 2FM도 440Hz 음정을 3초간 내보내고 880Hz 음정으로 정시를 알렸다. 그리고 국방FM도 별도의 ID 메시지 이후 해당 시보음이 나간다.[10] 단 상술된 모든 방송국이 하나의 시보를 쓰는 것은 아니고, KBS, CBS, EBS 버전 시보가 따로 있으며 그 외 방송국에서는 이 세 가지 버전 중 하나를 변형하여 사용한다.[11] BBC도 시스템이 좀 바뀌었는데 BBC Radio 1의 Newsbeat 항목 참조. 이것도 1973년부터 시작했으니 근 50년 가까이 되었다.[12] 앞서 설명된 방송들을 제외한 라디오 방송에서 이런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MBC, SBS는 1990년대 중반까지 TV와 라디오에서 같은 시보음을 사용했다. SBS의 경우 라디오 시보는 TV 버전 앞부분에 휘파람새 소리를 추가했다.[13] 그래서 우리가 입으로 소리낼 때는 일반적인 "땡-"이 아닌 "뒈에에에엥~"에 가깝다.[14] 비슷한 예로 가톨릭평화방송삼종시간(06시, 12시, 18시)에 한해 일반 "땡-" 울리는 시보음이 아닌 종을 세 번 꽹~꽹~꽹~울리는 것으로 시간을 알리고 있다. 정확히 종을 한 번 울린 후 정시가 되며, 정시가 되자마자 두 번째 종을 울린다.[음계] 시라솔♯미파♯ 솔♯ 시 라솔♯라[16] 해당 연주는 2010년부터 시보 형식을 개정하면서 5시 시보 및 광고 시보 전용으로 축소되었다가 2022년 7월 2FM과 똑같은 형식으로 시보를 개정하면서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다시 전면적으로 쓰이고 있다.[17] 단, 5시 시보는 3초간 아무 소리도 없다가 마지막 "땡-" 하는 시보음만 나간다.[18] 다만 KBS 2FM, KNN(과거에는 안내했으나, 센텀시티 이전 이후 안내 중단.)처럼 호출 부호를, KBS 제3라디오, 국악방송, TBN 강원교통방송처럼 주파수를 안내하지 않는 채널이 있으며 EBS FM, TBC 드림FM(광고 시보)과 같이 호출 부호와 주파수 모두 안내하지 않고 국명만 안내하는 채널도 있다.(과거 새벽 시간대의 문화방송 라디오 채널들도 이렇게 국명만 안내했다.) 심지어 TBS eFM의 경우 아예 시각 고지만 한다.[19] 참고로 이 시보는 KBS 2FM의 무광고 시보이며 현재는 다음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시보를 진행한다. 2015년부터 시행했으며 KBS 제2라디오는 2022년부터 시행했다.[20] broadgastingshinshu의 유튜브에 각 시보음 형태가 올려져 있다.[21] 다이쇼 말기 실제 음인지 1965년 재현된 음인지는 확실치 않다.[22] 원래 BBC나 ZDF 같은 유럽 공영방송의 관념인데 이것이 일본에도 그대로 수입되었다.[23] 실제로 올라와 있는 시보 방송 영상을 찬찬히 보면 4초 시보음이 초침 기준으로 3초 정도 어긋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24] 대한민국도 KBS에서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시보 방송을 한 적이 있었다.[25] 방송국 주조정실에서 프로그램 스타트 싱크를 맞추기 위한 시계. 아날로그 시절에는 부조 한쪽에서 따로 이 클록 화면이 24시간 돌아가고 있었고 KBS1의 경우 80년대에는 이 화면을 프로그램 간 시보 대용으로 써먹느라 자주 오버레이로 띄워줬다. 현재도 MBC 등에서 프로그램 간 아이덴트(ident)가 나오기 직전 이를 흉내 낸 클록을 띄워줄 때가 있다.[26] X시 00분이 아니라 10분, 15분에 시작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 경우에도 언제나 '0초'에 시작한다.[27] 영상에서는 당일 발생한 천안문 6.4 항쟁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시위에 난입했다는 내용의 보도가 나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