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3:30:56

레터박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화 평론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내용은 Letterbox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화면비율 변경 방식
양 옆에 검은 박스 추가 필러박스
가로로 늘리기 스트레치
위아래 자르기 확대
위 아래 검은 박스 추가 레터박스
세로로 늘리기 아나모픽
양 옆 자르기 팬&스캔

파일:external/s7.postimg.org/mug_obj_142513909206857455.jpg
▲셋톱박스를 레터박스로 설정해서 TV에 출력한 사진
파일:external/s11.postimg.org/IMG_20161204_191741.jpg
▲16:9화면에 아날로그 방송을 송출할때 14:9로 크롭시켜 레터박스를 적용해 송출한 화면

1. 개요2. 특징
2.1. 16:9 → 4:32.2. 21:9 → 16:9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etterbox

화면비율이 좌우로 긴 영상을,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가로비율이 짧은 화면/스크린에서 보여주려 할 때, 화면비율을 맞추는 방법 중 하나. 노치 등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에서 노치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노치로 인해 가려져 확인이 어려운 점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치 영역만큼 화면표시를 줄이는 경우에도 레터박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특징

주로 TV 화면비 16:9를 4:3에 맞추거나 영화관에서 와이드스크린 영화를 상영할때 쓰인다. 16:9 화면의 너비를 4:3의 너비에 맞게 일정한 비율로 줄여 주는 방식으로 4:3 화면의 상하에 2개의 검은 띠가 생기는 것을 레터박스라고 하며, 보통 자막이 나오게 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16:9 화면비의 영상 기준으로 1.66:1(15:9), 8:5(16:10) 화면에도 살짝 생긴다.[1] 이 방식은 16:9 화면이 잘림 없는 상태로 맞춰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검은 띠가 생겨서 눈에 거슬린다는 단점이 있다[2] 또한, CRT, PDP, OLED인 경우는 여백 부분에 번인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3]

일부러 영화 종횡비(21:9)로 만들어 영화보는 듯한 기분을 내게 하기 위해[4], 극장판 비율로 촬영하는 작품들이 종종 있다. 미스터 션샤인,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내일 그대와, 과호흡, 나만이 없는 거리, SKY 캐슬, 모범택시 시리즈, 소방서 옆 경찰서 시리즈 등이 그 예시. 다만 단순히 기분 문제를 떠나 실사 드라마의 경우 인물 머리 위에 쫓아붙는 붐마이크와 바닥에 자리 표시를 위해 마킹된 흔적 등을 쉽게 잘라내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런 이유에서 화면 상의 미장센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레터박스가 들어가는 시네마틱 비율을 사용한 저예산 드라마나 저예산 독립 영화도 존재한다. 중국 웹드라마 중 후시녹음 비용과 성우 캐스팅 비용을 아끼기 위해 저품질의 현장 동시녹음을 그대로 사용하는[5] 중국의 저예산 웹드라마 중 소위 말하는 시네마틱 비율을 차용해 레터박스가 생기는 드라마가 많은 이유가 이 때문이다.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 저예산 영화나 드라마면 로케이션 관리[6] 자체도 저예산에서 이뤄지다보니 인물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서[7] 이런 경우가 드물지만 중국은 고퀄리티 세트에서 저예산 작품을 촬영하는 상황이 가능하다보니 이런 기이한 밸런스의 저예산 작품들도 많다.

참고로 원래부터 16:9 화면에 맞춰서 제작된 영상을 억지로 영화 종횡비로 만들기 위해 레터박스를 추가하였다면 화면의 위 아래를 가려버리게 된다. 레터박스는 화면을 가리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가로로 종횡비가 넓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원래대로 영화 종횡비로 제작된 화면을 16:9에 맞춰서 레터박스를 추가한다면 화면을 가리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화면 좌우로 검은띠가 생기는 건 "필러박스(Pillarbox)"라고 한다.

파일:letterbox-pillarbox.jpg

필러박스, 레터박스 모두 있는것을 윈도박스(Windowbox)라고 한다.# 이미 16:9 규격의 영상에 레터박스를 추가해 4:3 규격으로 만들어진 영상을, 또다시 유튜브에 올렸을때 유튜브는 16:9 비율을 기본값으로 지원하기에 필러박스를 추가하게 되는데 따라서 불필요하게 레터박스와 필러박스 두개가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유튜브에 올리는 영상에 이미 레터박스가 추가되어있다면 제거하고 올리는게 화면 비율상 좋다. 차후에 유튜브에서 자동적으로 필러박스나 레터박스 둘 중 하나를 지워서 비율을 맞춰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8] 닌텐도 DS에서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게임을 할 때에도 1:1 픽셀매칭을 위해 윈도박스가 적용된다.


라이프 오브 파이의 경우 블루레이 버젼에서 이 레터박스를 화면 밖으로 튀어나오는 듯한 효과를 내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35초 부터) 물고기와 물이 레터박스를 뚫고 튀어나오는걸 볼 수 있다. 또한 돌고래들이 레터박스를 침범해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실험효과를 살린 사례가 있다.

여담으로 최근 런칭된 OTT 서비스의 경우 4:3/5:4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지, 영상을 화면 맨 위부터 출력해 레터박스을 화면 아래에만 크게 출력하는 경우도 있다. (예시 사진은 애니플러스의 한일동시방영LIVE 스트리밍)
파일:애니플러스 레터박스.jpg

오히려 임의로 레터박스를 만들어서 확장시켜 개방된 분위기를 만드는 기법까지 등장하고 있다. #

2.1. 16:9 → 4:3

4:3 화면으로 맞출 때 16:9 화면비를 그대로 살려 위 아래 레터박스를 삽입하는 경우도 있고, 좌우를 약간 크롭하여 14:9 화면비에 맞는 레터박스를 삽입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지상파 방송국 중 MBCMBC 플러스의 케이블 방송은 16:9 레터박스로 송출했고, KBSKBS N의 케이블 방송이 14:9 레터박스로 송출한 바 있다.[9] 또한 투니버스꿈빛 파티시엘이나 KBS닥터후 일부 에피소드[10]와 같은 일부 방송 역시 14:9 레터박스로 송출한 바 있다. 물론 현재는 FHD방송을 기준으로 송출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들도 그냥 아나모픽이다. 8VSB지원 DTV 컨버터는 14:9, 16:9 레터박스 설정이 가능하다.

2.2. 21:9 → 16:9

21:9 소스로 제작된 극장판 중 일부는 TV 방영시 상하단에 레터박스를 만들어 화면비를 살려 방영하며 아나모픽으로 21:9 영상을 16:9에 우겨넣어 방영한 사례는 아직은 없다. TV에 방영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애초부터 극장판 비율로 제작해서 방영하는 경우도 레터박스를 구차한다. 닥터 프리즈너, 미스터 션샤인이 그 경우, LG전자시네뷰 모니터노치 디자인을 채용한 스마트폰에서 꽉 찬 화면으로 보면 어느 정도는 풀스크린으로 볼 수 있다.

국내의 인터넷 OTT 영화는 21:9인 원본에 레터박스를 넣어 16:9로 맞춰서 유통시키는 경우가 엄청나게 많다. 문제는 TV 및 모니터가 16:9보다 넓거나, 18:9 내외의 비율이 대중화된 스마트폰으로 볼 경우 필러박스까지 더해져 윈도박스가 생긴 채 화면이 더욱 작게 나온다. 외국 영화라면 높은 확률로 붙박이 자막이 레터박스에 걸쳐있기 때문에 확대해서 볼 수도 없다. 그런데 심지어는 21:9 영화를 아예 화면 양 옆을 잘라서 16:9에 맞춰버리는 개막장 업체도 드문드문 있는 탓에 이게 양반으로 보일 수도 있다.

3. 관련 문서



[1] 현재 판매중인 태블릿 PC들은 대부분 4:3~16:10의 화면비율을 가지고 있어서 16:9보다 세로폭(가로화면 기준)이 조금 더 길기 때문에 아나모픽을 하지 않는다면 레터박스가 생긴다.[2] 일부 TV에선 화면이 휘어보이기도 하나, 화면이 휘어보이는 문제는 레터박스 추가로 생기는게 아니라, CRT의 볼록한 화면 때문이다.[3] 단, CRT는 웬만큼 오래 틀지 않으면 상관 없다, PDP의 경우도 공공장소의 경우처럼 오래 안 틀면 상관 없다.[4] 실제로 한국에서는 극장판이나 특선영화를 TV에서 방송해줄때 아나모픽 대신 레터박스를 이용하는게 대부분이다. 따라서 레터박스가 추가된 영상은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을 나게한다.[5] 동시녹음이 왜 만능이 아니며 후시녹음이 필수가 되는지는 녹음 문서의 ADR 항목 참고.[6] 로케이션 섭외 및 정리 혹은 세트 구성의 문제[7] 화면의 좌우 폭이 좁아질수록 인물 집중도는 올라간다.[8] YouTube 동영상이 표시되는 방식: 일부 동영상 및 기기의 가로세로 비율(예: 컴퓨터 브라우저의 9:16 세로 동영상)의 경우 YouTube가 최적의 시청 환경을 위해 패딩(필러&레터박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중략)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동영상에 직접 패딩이나 검은색 띠를 추가하지 마세요. 패딩은 YouTube에서 동영상 크기 및 시청자 기기에 맞춰 동적으로 플레이어를 변경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Youtube 고객센터: 동영상 해상도 및 가로세로 비율#)[9] SBS와 SBS미디어넷의 케이블 방송은 팬&스캔으로 송출했다.[10] 해당 에피소드 이전 방영분은 팬&스캔으로 제작 및 송출했고, 이후 방영분은 FHD 제작분이라 화면 손실없이 그대로 방영되었다.

분류